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 배경 8
2. 연구 목적 및 문제제기 10
3. 연구 범위 및 방법 12
II. 매체 도입에 따른 연극의 변화 15
1. 변화하는 연극성 15
1) 인터미디어 퍼포먼스 연극의 쟁점들 16
2) 포스트드라마 연극 19
3) 라이브니스 21
4) 재현적 양식과 제시적 양식 23
2. 뉴미디어 연극 미학 25
1) 아날로그 연극 언어와 디지털 영상의 상호매체성 27
2) 상호 침투와 재매개 29
3) 몰입 32
4) 인터페이스 34
III. 다매체 연극 속 연극 언어와 영상의 상호작용 37
1. 사진·삽화 37
2. 애니메이션 41
1) 2D 선형 애니메이션: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 일〉, 무용 〈데쉬〉 43
2) 만화적 기법: 멀티미디어 연극 〈사랑의 역사〉 48
3) 디지털 실사합성 기법: 멀티미디어 음악극 〈늙은 뱃사람의 노래〉 53
3. 영화적 촬영·편집 영상 55
1) 장면의 영화화: 연극 〈신 상그레〉 59
2) 연극과 영화의 동시상연: 연극 〈오프닝 나이트〉 61
3) 영화촬영의 연극화: 연극 〈노란벽지〉, 무용 〈키스 앤 크라이〉 65
4. 텔레비전의 실시간 중계 영상 -다원예술 〈극장발생〉, 피지컬 씨어터 〈레오〉 72
5. 비디오 영상 81
1) 로베르 르파주: 연극 〈달의 저편〉, 연극 〈안데르센 프로젝트〉 83
2) 레 두 몽드: 음악극 〈라이트모티브〉, 연극 〈2191 Nights〉 90
3) 빌더스 어쏘시에이션: 연극 〈손택 : 다시 태어나다〉 95
6. 홀로그램 -르미유. 필롱 4D Art: 〈오르페오〉, 〈아니마〉, 〈노만〉, 〈미녀와 야수〉 97
7. 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영상 112
1) 실시간 소통방식: 〈x: 나는 B 가 좋던데. y: 나도 스물 아홉이야.〉 114
2) 인터넷 생중계를 통한 다자간 참여: 다원예술 〈배우 없는 연극〉 117
IV. 영상을 통한 전통적 연극 언어의 변화 119
1. 텍스트 124
2. 몸 125
3. 공간 127
4. 시간 129
5. 관객 132
V. 결론 133
참고문헌 135
국문초록 144
Abstract 146
[그림 1] 뮤지컬 〈빈센트 반 고흐〉 장면 39
[그림 2]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 장면 44
[그림 3] 무용 〈데쉬 DESH〉 장면 46
[그림 4] 연극 〈사랑의 역사 Historia de amor〉 장면 50
[그림 5] 멀티미디어 음악극 〈늙은 뱃사람의 노래〉 장면 53
[그림 6] 연극 〈신 상그레〉 장면 60
[그림 7] 연극 〈오프닝 나이트〉 장면 62
[그림 8] 연극 〈노란벽지〉 장면 67
[그림 9] 무용 〈키스 앤 크라이〉 장면 70
[그림 10] 다원예술 〈극장발생〉 장면 76
[그림 11] 피지컬 씨어터 〈레오〉 장면 79
[그림 12] 연극 〈오타강의 일곱 지류〉 장면 85
[그림 13] 연극 〈달의 저편〉 장면 86
[그림 14] 연극 〈안데르센 프로젝트〉 장면 88
[그림 15] 음악극 〈라이트모티브〉 장면 91
[그림 16] 연극 〈2191 Nights〉 장면 92
[그림 17] 연극 〈손택 : 다시 태어나다〉 장면 95
[그림 18] 판타스마고리 〈페퍼 교수의 유령 Pepper's Ghost〉 장면 98
[그림 19] 연극 〈오르페오〉 장면 103
[그림 20] 연극 〈아니마〉 장면 106
[그림 21] 무용 〈노만〉 장면 108
[그림 22] 연극 〈미녀와 야수〉 장면 110
[그림 23] 다원예술 〈x: 나는 B가 좋던데. y: 나도 스물 아홉이야.〉 장면 115
[그림 24] 다원예술 〈배우 없는 연극〉 장면 117
본고는 공연예술, 특히나 다매체 연극에 있어 20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포착되어온 새로운 예술 형식적 표현들 중에서 영상매체의 도입을 통한 변화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영상이 작품 내에서 개연성을 얻게 되는 방식과 작품의 주제의식과 내러티브전달에 있어 내적 진실을 성취하는 지점을 찾고자 하였다.
라테르나 마기카로부터 역사적 아방가르드 시대 이후, 연극 무대에 도입되기 시작한 영상들에 대한 논의는 꽤나 부정적인 양상으로 이어져왔는데, 그러한 시선의 근간에는 영상의 사용이 형식주의적 차용에 그친 작품들이 많았던 점과 영상을 연극과는 전혀 다른 이질적인 매체로서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상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시대 공연들에 대한 평에 있어서도 결론은 전통적 연극 무대로 회귀하기를 바라는 염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선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며, 본 고에서는 기존의 연극 무대 속 영상에 대한 시선을 제고할 것을 제안한다. 예술은 언제라도 동시대의 기술을 근거로 그 표현성을 선취해왔으며, 디지털 혁명 이후 뉴미디어 전반에 있어 그 주도적 위치를 차지해온 영상 역시 연극의 영역을 확장하며, 표현도구로서의 효과적인 새로운 연극 언어를 만들어냈다. 뉴미디어의 변화된 환경 속에서 관객들의 일상생활 속 주된 매체 경험은 지각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렇게 조건 지워진 삶을 표현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표현의 도구로 기능한 것은 영상이었다. 따라서 연극 무대의 영상을 기존의 연극언어와 더불어 새로운 연극 언어로서 연극 내부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영상 매체의 가시적 특성이 갖는 조형성이 연극의 미장센 창출과 연결되는 부분에 착안하여, 영상의 세부 매체별 특성이 기존의 연극 언어들과 상호매체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에 대하여 해당 작품 군을 예를 들어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매체적 작용을 넘어서 기존의 연극 언어인 배우의 몸, 장소, 시간, 관객성 등이 영상을 통해 치환된 현상들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영상이 기존의 연극언어들을 재매개 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된 무한한 연결가능성이 무대를 인터페이스로 하여 확장가능해진 양상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영상이 도입된 연극에 대한 연구들이 기법의 분류에 따른 설명 혹은 대표적인 작업자의 세부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했던 것과는 차별을 꾀한다. 연극언어의 일부로서 영상이 갖는 다양성에 착안하여 그 세부 매체 별 특성이 확장시킨 연극의 영역에 대한 지형도를 그려본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실상 2010년대 공연 속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기존의 연극 언어들이 변화하는 양상은 보다 다양한 층위를 갖고 있는데, 본 고에서 상정한 분석의 틀을 통해서는 그 전반적인 양상을 포괄하기 어려웠기에 그에 대하여는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확장된 형태의 지형도를 그려나가 볼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