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미국의 선택적 비확산정책 분석 : 중국과 인도의 핵무기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An)analysis of the U.S.' selective non-proliferation policy : the cases of China and India / 손한별 인기도
발행사항
고양 :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355.03 -15-60
형태사항
v, 25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6769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안보정책전공, 2015.8. 지도교수: 이석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비확산의 이상과 확산의 현실 10

제2절 비교사례 연구: 중국과 인도 18

제3절 연구범위와 논문의 구성 24

제2장 이론적 고찰 28

제1절 기존논의 검토 28

1. 상이한 비확산정책의 유형 29

2. 비확산정책 결정요인: 이익과 비용 31

3. 비확산정책의 결정과정 36

제2절 선택적 비확산정책 38

1. 이론적 기반: 확산선택론과 확산관리론 38

2. 비확산정책의 결정요인: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핵개발국의 역량 평가 42

3. 비확산정책의 스펙트럼 58

4. 논문의 가설과 분석틀 64

제3장 미국의 對중국 비확산정책 69

제1절 중국의 핵개발 69

1. 양극체계에 대한 중국의 도전 69

2. 핵프로그램의 집권화 76

제2절 미국의 군사공격 계획 (1955-1965) 90

1. 핵우위의 상실 우려 90

2. '신생공화국'의 핵개발 초기단계 100

3. 미국의 군사공격계획 구체화 113

제3절 NPT체제 편입 강압 (1965-1972) 123

1. 중소분쟁과 유연반응전략 123

2. 문화혁명의 혼란기 131

3. NPT 편입 및 핵유용성 제한정책 138

제4절 소결론 146

제4장 미국의 對인도 비확산정책 148

제1절 인도의 핵개발 148

1. 비동맹노선의 추구 148

2. 국내정치의 분절과 핵프로그램의 관성 154

제2절 미국의 지원정책 (1955-1966) 173

1. 중국 견제를 위한 핵무장 고려 173

2. 인도의 선진과학기술력 181

3. 안전한 원자력개발 지원 189

제3절 연성 강압정책 (1966-1980) 193

1. NPT체제에 대한 위협 193

2. 과도한 핵개발 비용과 국내정치의 분절 201

3. 모호하고 모순된 핵정책 217

제4절 소결론 226

제5장 결론 228

제1절 논의의 정리 228

제2절 중국과 인도 사례의 비교 232

제3절 함의와 한계 236

참고문헌 240

Abstract 260

〈표1〉 핵 지위(nuclear status)의 범주와 사례 22

〈표2〉 기존 논의의 대표적 주장 28

〈표3〉 핵(비)확산에 대한 시각 39

〈표4〉 미국의 핵인식 패러다임 46

〈표5〉 핵무기화 단계와 위험성 판단 56

〈표6〉 논문의 연구설계 66

〈표7〉 중국의 핵연료주기 구축 83

〈표8〉 중국의 초기 전략미사일 85

〈표9〉 중국의 핵무기개발 연표 86

〈표10〉 인도의 핵무기개발 연표 169

〈표11〉 중국과 인도의 비교 235

〈표12〉 미국의 비확산정책 유형과 결정요인 237

〈그림1〉 비확산정책의 스펙트럼[원문불량;p.50] 59

〈그림2〉 논문의 분석틀[원문불량;p.56] 65

〈그림3〉 중국 핵개발 관련 조직(1959-1964)[원문불량;p.69] 78

〈그림4〉 인도 정책결정자들의 핵정책 태도변화 163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중국과 인도의 핵무기 개발 사례를 분석하면서, '왜 미국은 개별 국가별로 상이한 비확산정책을 펼쳤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기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 비확산정책이란 무엇인가? 미국은 왜 선택적인 기준을 가지고 비확산정책을 선택했는가? 둘째, 미국의 선택지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핵개발국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대응했는가? 셋째, 선택적 비확산정책의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어떠한 변수에 의해서 강경한, 또는 온건한 비확산정책을 취하게 되는가? 또 비확산정책의 전환은 언제, 어떻게 일어나는가?

본 논문은 때로는 선택적으로 확산을 지원하고, 때로는 선택적으로 확산을 저지한 미국의 비일관적 비확산정책을 "선택적 비확산 정책(selective non-proliferation policy)"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또 미국의 전략적 선택의 결정요인으로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핵개발국의 역량"에 대한 평가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동맹/적대관계와 미국의 핵인식, 핵개발국가의 능력과 의지, 핵개발단계가 평가의 기준이 된다. 미국이 핵확산에 대한 순수주의적 인식을 가질수록, 적대국의 핵개발을 큰 위협으로 받아들이며, 개발국의 능력과 의지가 크지 않고 핵개발 단계도 낮다면 보다 강경한 비확산정책을 취하게 된다. 반대로 미국이 실용주의적 인식을 가지고, 동맹 또는 우호국이 핵개발을 할 경우, 개발국의 능력과 의지가 크고 핵개발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보다 온건한 비확산정책을 취하게 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논문은 비교연구의 사례로서 중국과 인도의 핵개발을 제시하였다. 먼저 1955년 중국이 공식적으로 핵개발을 선언하면서부터 미국은 중국의 핵열망을 좌절시킬 수 있는 군사공격을 고려하고 있었다. 중국의 핵개발은 지역 동맹국들을 군사적, 심리적으로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이미 핵독점이 무산된 상황에서 대소 핵우위마저 빼앗길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또 내전과 한국전쟁에서 보여준 중국의 국가능력은 미국의 군사력에 미칠 수 없었으며, 여전히 핵실험의 초기 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군사공격을 통한 핵시설 파괴는 구체적으로 고려되었다. 그러나 1965년에 이르면 미국의 대중국 핵정책은 강경한 강압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핵무기에 대한 인식은 순수주의에서 실용주의적 관점으로 바뀌면서 중국에 대한 군사공격 계획을 철회하였고 한층 온건한 강압정책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특히 길패트릭(Gilpatric) 보고서는 대중국 비확산정책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결국 미국은 중국에게 핵무기 보유국의 지위를 인정하면서 NPT 체제로의 편입을 강압했다.

인도 역시 선택적인 미국 비확산정책의 중요한 사례였다. 우선 미국은 비동맹 노선을 견지한 인도의 핵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었다. 1960년대 중국의 핵프로그램이 명시적인 위협으로 인식되면서, 미국은 이를 상쇄하면서 핵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도의 핵무장 옵션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또 "평화적핵이용"의 기조 아래 다양한 원자력 분야에서 인도와 협력했다. 1960년대 초반까지도 미국은 '모호한' 지원자의 입장에 서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미국의 대인도 핵정책은 강압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이같은 미국의 대인도 비확산정책의 변화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보다는 인도의 역량이 크지 않았다는데서 기인한다. 미국의 비확산 수단에 대한 내구력과 대응의지 면에서 인도의 국내정치는 정상적인 '균형행위'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분절되어 있었다. 인도의 정치적 혼란은 미국이 관여할 수 있는 여지를 주었고, 미국은 인도 국내의 핵프로그램 비용-이득계산에 정보를 제공하면서 직접 개입했다. 미국은 개입을 통해 인도의 NPT가입을 유도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저지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미국의 비확산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비확산정책이 일관적이지 않았음을 밝히고자 했다. 1964년 중국의 핵실험을 계기로 '선택적인 기준'에서 '비확산의 일반화' 기조로 돌아섰다는 주장을 반박한다. 미국이 스스로 수립한 NPT체제를 부정할 수 없어 공식적으로는 비확산을 주장하고 있지만, 비확산보다는 전략적 이익계산에 따라서 개입, 강압, 묵인, 협력, 지원, 군사공격 등 다양한 비확산정책을 선택적으로 취해온 것이다. 논문이 사례분석을 통해서 확인한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적 비확산정책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결정요인으로서 전략적 이익과 핵개발국의 역량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고려했다. 둘째 핵인식의 논쟁, 즉 핵가용론과 불가용론을 이론적으로 정리하면서 미국의 핵전략 및 비확산정책이 관련되어 있음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책결정의 "과정"에 주목하여 핵전략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정치성과 환류과정을 다루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