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전환기 중국의 도시문화공간 생산 연구 [전자자료] : 청두시(成都市)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space of city culture under the transition period in China : a case study of Chengdu City / 조영승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1 온라인자료 : PDF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7191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문화경영학과 문화경영학전공, 2015.8. 지도교수: 백승국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논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12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5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7

제2장 사회·문화적 이론 21

제1절 중국에서 전환기 개념의 등장과 문화전환 21

1. 전환기 개념 21

2. 문화전환 24

제2절 전환기 도시공간의 변화 28

1. 전환기 도시전환 28

2. 전환기 도시의 공간 33

3. 전환기 문화공간으로의 전환 41

제3절 이론적 배경 - '공간생산' 이론 중심으로 46

1. 서양에서 공간인식의 발전과정 46

2. '공간생산' 이론과 그 확장 50

제4절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구성 요소 60

제3장 공간생산을 위한 중국 국내와 해외 사례 분석 63

제1절 공간생산을 위한 중국 내 성공사례 63

1. 항저우시 인상서호(印象西湖) 프로젝트 63

2. 베이징 798 예술지구 69

제2절 공간생산을 위한 동아시아 사례 75

1. 한국의 전주 한옥마을 75

2. 일본의 이시가와현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80

제3절 공간생산을 위한 유럽의 사례 85

1. 영국의 테이트 모던(Tate Modern) 86

2. 이탈리아 볼로냐 91

제4절 소결 95

제4장 청두시 문화산업 및 도시문화공간 분석 98

제1절 청두시와 청두시 문화산업 98

1. 청두시 개황 98

2. 청두시 문화산업 100

3. 청두시 문화산업의 문제점 103

제2절 역사·문화공간으로서의 콴자이샹즈(寬窄巷子) 106

1. 콴자이샹즈의 형성 106

2. 시기별 공간의 생산 108

3. 청두 콴자이샹즈의 공간생산 111

제3절 문화창의공간으로서의 '동교기억(東郊記憶)' 120

1. '동교기억'의 형성과 문화창의산업단지(文化創意産業園區) 120

2. 청두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공간생산 124

제4절 청두시 도시문화공간의 공간생산 한계점 131

1) 콴자이샹즈 역사·문화공간의 경우 131

2)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공간)의 경우 133

제5장 청두시 도시문화공간의 공간생산 방안 136

제1절 도시문화공간 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136

1. 도시문화공간 생산 논리의 성찰 136

2. 도시문화공간 생산 논리의 핵심 요소 141

3. 도시문화공간 생산 기본모델 144

제2절 콴자이샹즈 역사·문화공간의 공간생산에 대한 제안 148

1. 정책 지원 149

2. 공간 정체성 구축 152

3. 역사·문화공간 생산을 위한 공간 콘텐츠 구축 155

제3절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공간생산에 대한 제안 159

1. 정책 지원 160

2. 창의성을 위한 기반환경 조성 165

3. 문화창의공간 생산을 위한 창의성 요소 마련 168

제6장 결론 및 연구의 한계 174

참고문헌 178

ABSTRACT 185

〈표 2-1〉 중국 국내 학계의 도시전환에 관한 견해 31

〈표 2-2〉 도시공간 인식을 위한 핵심 은유모델 36

〈표 2-3〉 (사회적)공간생산의 변증관계 53

〈표 2-4〉 하비의 '공간적 실천' 57

〈표 2-5〉 공간 콘텐츠의 분류 61

〈표 2-6〉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구성 요소 62

〈표 3-1〉 798 예술지구의 주요 예술가들의 작업실 운영 상황 73

〈표 3-2〉 798 예술지구의 주요 예술기구 74

〈표 3-3〉 전주시 관주도 성격의 축제 77

〈표 3-4〉 전주 한옥마을 예술공동체 상설공연 프로그램 79

〈표 3-5〉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공간 구성 83

〈표 3-6〉 테이트 모던의 커뮤니티 프로젝트 88

〈표 3-7〉 테이트 모던의 교육 프로그램 89

〈표 3-8〉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진화 단계 96

〈표 4-1〉 청두시가 획득한 영예 100

〈표 4-2〉 전국 상위 10개 도시 문화산업 발전 현황 비교 104

〈표 4-3〉 청두시 문화산업 문제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105

〈표 4-4〉 청나라 만성의 공간적 실천 110

〈표 4-5〉 콴자이샹즈의 문화행사 119

〈표 4-6〉 콴자이샹즈의 현대적 '신화'체계 구축 120

〈표 4-7〉 계획경제시대 공업지구 공간실천 120

〈표 4-8〉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현대적 '신화'체계 구축 130

〈표 4-9〉 콴자이샹즈 역사·문화공간의 공간 콘텐츠 구성 132

〈표 4-10〉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공간 콘텐츠 구성 133

〈표 5-1〉 성공적인 장소의 중요한 특성 139

〈표 5-2〉 공간정체성 핵심 요소의 세분화 154

〈표 5-3〉 콴자이샹즈 역사·문화공간 생산을 위한 공간 콘텐츠 구성 156

〈표 5-4〉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 갖추어야 할 창의성 요소 169

〈그림 1-1〉 논문의 주요 관점과 연구의 흐름 20

〈그림 2-1〉 도시전환의 지지체계 32

〈그림 2-2〉 인간 기본욕구 5단계 모델의 도시공간 적용 39

〈그림 2-3〉 '공간생산'의 메커니즘 60

〈그림 3-1〉 항저우시 서호 전경 및 인상서호 공연 장면 66

〈그림 3-2〉 베이징 798 예술지구 70

〈그림 4-1〉 청두시 위치 99

〈그림 4-2〉 청나라 성도부(成都府) 금수하도 중의 만성 108

〈그림 4-3〉 청두시 콴자이샹즈의 위치 113

〈그림 4-4〉 콴자이샹즈 관련 언론 보도 편수 117

〈그림 4-5〉 콴자이샹즈 문화의 벽(文化墻) 118

〈그림 4-6〉 사천 전통연극 변검 118

〈그림 4-7〉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 지도 123

〈그림 4-8〉 언론 보도 편수 127

〈그림 4-9〉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 재현의 공간 일부 128

〈그림 4-10〉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 문화행사의 일부 130

〈그림 5-1〉 공간의 각 욕구단계에 따른 도시문화공간 생산 기본모델 147

〈그림 5-2〉 콴자이샹즈 도시역사·문화공간 생산 방안 159

〈그림 5-3〉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공간생산 방안 173

초록보기 더보기

 중국은 현재 사회·경제·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서 국가발전의 대 전환기에 놓여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도시화의 추진, 내수확대 등을 위한 국가발전전략이 실시됨에 따라 도시의 중요성과 역할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도시 전환을 위한 기존의 시도는 현 시점에서 전환기를 맞으면서 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는 도시재생과 맥을 같이 하면서 한층 가속화되고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시도는 구체적인 도시공간으로 이어졌고 그 한 부분으로서 다양한 도시문화공간을 생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많은 도시들에서는 도시문화공간을 구축하여 궁극적으로 도시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향상시키고, 도시민들에게 더 많은 문화적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전환기를 맞아 도시재생의 한 부분으로 구체적인 도시문화공간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또는 이미 생산된 도시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검토하여 현 단계 어떻게 하면 도시문화공간을 문화공간답게 구축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사회학자 앙리·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청두시(成都市)의 대표적인 도시문화공간인 콴자이샹즈(寬窄巷子, The Broad and Narrow Alley)와 '동교기억(東郊記憶, Eastern Suburb Memory)' 문화창의산업단지(文化創意産業園區,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ark)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도시공간 관련 이론의 제시, 중국 내 및 해외 성공사례 고찰, 연구 대상 분석, 연구 대상에 대한 공간생산 방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사회·문화적 이론에서는 우선 전환기의 개념, 도시와 문화의 전환에 대해 언급하면서 전환기에 맞게 기존의 낙후된 도시공간이 도시문화공간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시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과 그 이론의 확장으로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공간실천'론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간생산의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 연장선에서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사례 고찰에서는 중국 국내, 동아시아의 한국과 일본, 유럽의 성공사례를 선정한 후 도시문화공간을 역사·문화공간과 창의공간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중국 내의 경우 항저우(杭州) 서호(西湖)와 베이징 798 예술지구, 동아시아의 경우 한국 전주 한옥마을과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유럽의 경우 영국의 테이트 모던과 이탈리아의 볼로냐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각각의 대표적인 도시문화공간마다 문화공간을 생산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중점으로 고찰하였다. 이들의 성공사례를 종합하여 각 도시마다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진화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문화공간의 경우 문화코드(항저우 서호) - 다양한 문화행사(전주 한옥마을) - 문화공간의 사회적 책임(테이트 모던), 창의공간의 경우 기업의 운영(베이징 798 예술지구) - 재단의 운영(가나자와 시민예술촌) - 협동조합의 힘(이탈리아 볼로냐)의 단계를 거치고 있다. 특히 현 단계 청두시 역사문화공간의 경우 전주 한옥마을처럼 다양한 공간 콘텐츠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동교기억' 문화창의공간의 경우 이익 창출을 최우선 목적으로 하는 기업운영의 한계를 넘어 정부의 여러 차원의 정책적 지원, 창의성 창출 및 창의성 요소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 외 도시문화공간으로서의 테이트 모던과 이탈리아 볼로냐의 성공사례는 향후 중국의 도시문화공간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이라고 판단된다.

연구대상 분석에서는 청두시 대표적인 역사·문화공간 콴자이샹즈와 창의공간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 두 곳에 대해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하비가 제시한 '공간실천'론의 '접근성과 거리화', '공간의 전유와 활용', '공간의 지배와 통제', '공간의 생산' 네 요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두 도시문화공간이 공간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이상의 다양한 사례 고찰과 연구 대상의 분석을 통해 청두시 도시문화공간의 생산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성찰로 우선 세계적인 범위에서 공간생산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음을 지적하고, 공간생산 논리의 재구축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도시공간은 유기체라는 기본관점과 '공간생산' 이론에 근거하여 현 단계 도시문화공간의 생산을 위한 기본모델을 제시하였다. 또 이 모델을 바탕으로 청두시의 대표적인 도시문화공간의 생산방안을 제시하였다. 콴자이샹즈와 같은 역사·문화공간은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정체성 구축의 측면·콘텐츠 생산의 측면에서,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와 같은 경우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창의성 창출 및 창의성 요소 구축의 차원에서 공간생산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전반적으로 현재 전환기 도시재생 과정에서 중국의 많은 도시의 도시문화공간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에 입각하여 도시는 유기체라는 기본인식을 근거로, '공간생산'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문화공간의 올바른 생산방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