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중년여성의 행복감 구조모형 = (A)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 김수진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610.73 -15-715
형태사항
vi, 10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7963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을지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5.8. 지도교수: 허명행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 목적 14

3. 용어 정의 15

II. 문헌고찰 18

1. 중년여성 18

2. 행복감 19

3. 중년여성의 행복감 영향 요인 22

1) 긍정적 사고 24

2) 자아존중감 25

3) 사회적지지 25

4) 경제적 스트레스 26

5) 건강상태 27

III. 이론적 기틀 28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28

2. 가설적 모형 30

3. 연구 가설 32

IV. 연구방법 33

1. 연구설계 33

2. 연구 대상자 33

3.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34

4. 윤리적 고려 35

5. 연구도구 36

1) 행복감 36

2) 긍정적 사고 36

3) 자아존중감 36

4) 사회적 지지 37

5) 경제적 스트레스 38

6) 건강상태 38

6. 연구도구의 신뢰도 39

7. 자료 분석 40

V. 연구결과 41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 44

3. 가설적 모형의 기술통계 46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와 정규성 검증 46

2) 측정변수의 상관관계 48

4. 가설적 모형검증 50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50

2) 측정모형의 모수 추정치 53

3) 가설적 모형의 분석 55

4) 가설적 모형의 효과분석 58

4) 가설적 모형의 가설검증 60

5. 수정 모형 검증 63

1) 수정 모형의 적합도 검증 63

2) 수정 모형의 모수치 추정치 64

3) 수정모형의 효과 분석 67

VI. 논의 69

1. 중년여성의 행복감 구조방정식 모형 69

2. 중년여성의 행복감 영향요인 70

3. 연구의 의의 79

4. 연구의 제한점 80

VII. 결론 및 제언 81

1. 결론 81

2. 제언 83

참고문헌 84

부록 9

부록 1. 연구심의결과통지서 92

부록 2. 연구 설명서 및 동의서 93

부록 3. 연구설문지 95

부록 4. 도구 사용 동의서 106

ABSTRACT 110

〈Table 1〉 Measurement Scales used for this Study 39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2

〈Table 3〉 Happiness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5

〈Table 4〉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sured Variables 47

〈Table 5〉 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49

〈Table 6〉 Mode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50

〈Table 7〉 Standardized Estimations of the Measured Variables 54

〈Table 8〉 Standardized Estimations of the Hypothetical Model 56

〈Table 9〉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of the Hypothetical Model 59

〈Table 10〉 Model Fit of the Modified Model 63

〈Table 11〉 Standardized Estimations of the Modified Model 65

〈Table 12〉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of the Modified Model 68

〈Figure 1〉 Maslow's needs hierarchy theory(1943, 1998) 28

〈Figure 2〉 Conceptual framework 29

〈Figure 3〉 Hypothetical model 31

〈Figure 4〉 Path diagram of the hypothetical model 57

〈Figure 5〉 Final path diagram of the modified model 66

초록보기 더보기

 중년여성은 생의 발달단계 중 폐경과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자녀의 독립 및 배우자의 은퇴로 인한 다양한 심리적 갈등을 겪는 시기이다. 중년여성의 삶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 전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중년여성이 행복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대한 영향변인들을 조사하고, 영향요인들이 포함된 가설적 모형을 구축 한 후, 변수들 간의 경로를 검증하여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타당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Maslow(1943, 1998)의 욕구단계이론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건강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는 3개의 외생변수와, 자아존중감, 긍정적 사고, 행복감을 포함하는 3개의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가설적 모형은 6개의 잠재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변수는 11개이다.

가설적 모형을 검정하기 위하여 2015년 2월 5일부터 4월 5일까지 국내 4개 광역 및 기타 도시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에서 65세까지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불충분한 자료 22부를 제외한 최종 42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적합지수(X²=93.724, GFI=.961, CMIN/DF=2.929, RMSEA=.068, AGFI=.919, CFI=.979, SRMR=.0324)는 모형 적합도의 권장수준을 만족하였으나, 12개의 경로 중 9개는 직접적으로 유의하였고, 3개는 간접적으로만 효과가 있었다.

2) 간명한 모형을 위해,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3개의 경로를 제외한 수정 모형을 완성하였다. 수정 모형의 적합지수(X²=102.108, GFI=.959, CMIN/DF=2.917, RMSEA=.068, AGFI=.922, CFI=.977, SRMR=.0368)는 모형 적합도의 권장수준을 만족하여 최종 모형으로 확정되었다.

3) 결과적으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사고는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81.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건강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 본 연구를 통해 중년여성의 행복감이 Maslow의 욕구단계이론과 같이 단계적 과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기본적 욕구인 건강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만족된 후,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사고의 심리적 욕구가 단계적으로 충족되어, 결국 최상위 욕구인 행복감이 성취되는 위계적인 과정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건강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긍정적 사고를 중년여성의 행복감 예측요인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건강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같은 기본적 욕구 충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간호중재교육과, 심리적 내적 욕구인 자아존중감 향상 및 긍정적 사고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