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임신 제1삼분기 한국인 임산부의 질 분비물 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종과 질염과의 관계 / 김정현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610 -15-1489
형태사항
vi, 5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79631
주기사항
책등표제: 임신 제일삼분기 한국인 임산부의 질 분비물 내 락토바실러스 균종과 질염과의 관계
학위논문(박사) -- 을지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2015.8. 지도교수: 오관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국문요지

목차

I. 서론(Introduction) 10

II. 연구 대상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4

1. 연구 대상 14

2. 검사 대상물 채취 14

3. 연구 방법 15

1) 락토바실러스 균종(Lactobacillus species)에 대한 중합요소 연쇄반응 정량검사(quantitative PCR) 15

2) 현미경 관찰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 검사] 18

3) 고전적 배양 검사(Conventional culture) 19

4) Ureaplasma urealyticum과 Mycoplasma hominis 배양 검사 19

5) 자료 분석 20

III. 결과(Results) 21

1) 미생물 군집 상태 유형(SCT)에 따른 질염 유병률 비교 22

2) 미생물 군집 상태 유형에 따른 주산기 결과 비교 23

3) 세균성 질염에서의 락토바실러스 균종(Lactobacillus species)들과 혐기성 균주들의 양적 비교(표-9, 그림-4) 24

4) 호기성 질염에서의 락토바실러스 균종(Lactobacillus species)들과 혐기성 균주(anaerobes)들의 양적 비교(표-10, 그림-5) 25

IV. 고찰(Discussion) 26

V. 결론(Conclusion) 32

VI. 참고문헌 34

ABSTRACT 60

Table 1. PCR primers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strains that cause... 39

Table 2. Laboratory examination of vaginal smears and determination... 40

Table 3. The criteria for microscopic diagnosis of aerobic vaginitis. 41

Table 4. The quantification of vaginal microbiota of Korean pregnant... 42

Table 5. The classification of patterns and community state types... 43

Table 6. Demographical distribution and comparison by community... 44

Table 7. The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infection and community... 45

Table 8. The perinatal outcomes by community state types (CST). 46

Table 9. The qua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anaerobes in... 47

Table 10. The qua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anaerobes in... 48

Figure 1. Schematic diagram of the collection of specimens from the... 49

Figure 2. The qua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anaerobes by... 50

Figure 3. The heat map of the vaginal microbiota of Korean pregnant... 53

Figure 4. The qua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anaerobes in... 54

Figure 5. The qua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and anaerobes in... 57

초록보기 더보기

 락토바실러스 균종(Lactobacillus species)은 질 내 정상 균주로서 젖산(lactic acid)을 생성하고, 과산화수소(H₂O₂)와 bacteriocin 등을 분비하여 질 내에 존재하는 여러 세균들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균종들은 180여 종에 이르고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양적인 분포 또한 다르다. 이 균주가 감소할 경우 질 내에 상주하고 있던 여러 다른 균주들이 증식하여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및 호기성 질염(aerobic vaginitis)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행성 감염으로 진행하여 자궁 내 감염 및 골반 내 염증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임산부에서는 질염과 자궁 내 감염이 조산을 유발하는 인자로 밝혀짐에 따라 임산부에서의 질 내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세균성 질염은 자궁 내 감염 및 조산의 주요 인자로 생각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저자들은 한국인 임산부에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 균종들을 확인하고 질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여러 논문에서 이미 질 내에 존재하다고 보고된 Lactobacillus crispatus, Lactobacillus iners, Lactobacillus jensenii,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vaginalis와 세균성 질염 균주로 알려진 Gardnerella vaginalis와 Atopobium vaginae 등 혐기성 균주들을 중합효소 연쇄반응 정량검사(quantitative PCR)를 통해 그들의 양적인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 락토바실러스 균종과 세균성 질염 균주의 분포에 따른 미생물 군집 상태 유형(community state type, CST)을 분류하여 질염과의 연관관계 및 주산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 한국인 임산부에서는 L. crispatus와 L. iner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L. gasseri와 L. jensenii가 소수의 임산부에서 검출되었고, L. vaginalis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세균성 질염 균주로 알려진 G. vaginalis와 A. vaginae도 검출되었다. 검사 대상물 내에서 검출된 세균의 상대적 검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 가장 많은 검출량을 보이는 균주의 검출량이 1이 되도록 변환하여 다른 균주의 상대적 검출량을 구하였다. 변환된 값은 Eisen lab의 Cluster 프로그램과 Tree 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eat map을 작성하여, 6가지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유형(pattern)들을 확인하였다. 세균성 질염 균주들은 한 그룹으로 묶어, 총 5개의 미생물 군집 상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5개 군의 인구학적 특성은 표-5에 보는 바와 같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개 군과 질염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면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군 간의 발생 빈도 비교에서는 L. crispatus 우세군(predominant group)과 L. iners 우세군 사이는 세균성 질염의 발생 빈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L. crispatus 우세군과 세균성 질염 균주 우세군 사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L. iners 우세군과 세균성 질염 균주 우세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기성 질염의 경우 증상 정도에 따라 경증, 중등도와 중증으로 분류하였다. 중증 호기성 질염이 2명으로 그 수가 적어 중등도에 포함시켜 비교하였다. 호기성 질염의 경우도 L. crispatus 우세군에서 L. iners 우세군과 세균성 질염 균주 우세군에 비해 호기성 질염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를 통해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은 L. crispatus 우세군에서 적으며, 반대로 L. iners 우세군과 세균성 질염 균주 우세군에서 호발함을 알 수 있었다.

5개 군의 주산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분만 주수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출생 시 신생아 체중 및 성별 등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진단이 이루어진 이후 질염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진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와 혐기성 균주의 검출량을 정상군과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하였다. 세균성 질염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L. crispatus 검출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며, 중간 세균총(intermediate flora)군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적었다. 그러나 L. iners와 혐기성 균주의 양은 세균성 질염군에서 정상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호기성 질염에서의 각 균주들의 검출량을 정상군, 경증 호기성 질염군과 중등도 호기성 질염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정상군과 중등도 호기성 질염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A. vaginae도 경증과 중등도 호기성 질염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 제1삼분기 임산부의 질 분비물 내에서는 L. crispatus와 L. iners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L. crispatus 우세군에서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이 감소하고, L. iners 우세군과 세균성 질염 균주 우세군에서는 세균성 질염과 호기성 질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인 임산부에서의 질 분비물 내 락토바실러스 균종에 대한 첫 보고로써 한국인의 질 내 미생물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