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콘텐츠별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중독이 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 Changes of accommodative function caused by using smartphone of cont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 강유진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M 681.411 -15-34
형태사항
vi, 5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7963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2015.8. 지도교수: 임현성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I. 서론 10

II. 대상 및 방법 15

1. 연구대상 15

2. 연구방법 15

1) 설문 15

2) 굴절검사 16

3) 조절 반응 16

4) 조절력 17

5) 조절래그 17

6) 상대조절력 18

8) 장비 및 시청물 18

3. 통계분석 18

III. 결과 19

1. 대상자 분석 19

2. 콘텐츠별 조절 기능 변화 비교 20

1) 동영상 콘텐츠 20

2) e-book 콘텐츠 22

3) 콘텐츠별 조절기능의 변화 비교 24

3. 자각적 피로도 변화와 조절 기능의 상관성 29

1) 동영상 콘텐츠 시청 후 자각적 피로도 변화 29

2) e-book 콘텐츠 시청 후 자각적 피로도 변화 31

3) 콘텐츠별 자각적 피로도 변화 비교 33

4) 스마트폰 중독 그룹별 자각적 피로도 변화 36

5) 자각적 피로도와 조절기능의 상관성 38

4. 스마트폰 중독진단 설문에 따른 조절 기능 값과 상관성 분석 42

IV. 고찰 47

V. 결론 53

참고문헌 54

부록 59

Appendix 1. 자각적 피로도 설문지 59

Appendix 2. 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지 60

ABSTRACT 62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19

Table 2.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21

Table 3.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23

Table 4.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using smart... 28

Table 5. Comparison of the questionnaire of visual fatigue before... 30

Table 6. Comparison of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fatigue... 30

Table 7. Comparison of the questionnaire of visual fatigue before... 32

Table 8. Comparison of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fatigue... 32

Table 9. Comparison of visual fatigue variation between video and... 35

Table 10. Comparison of physical fatigue variation between video... 35

Table 11. Comparison of changes in subjective fatigue after... 36

Table 12. Comparison of changes in subjective fatigue after... 37

Table 13.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fatigue and accommodative... 38

Table 14.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fatigue and accommodative... 39

Table 15.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40

Table 16.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41

Table 17. Comparison of accommodative functions before using a... 42

Table 18.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after watching... 43

Table 19.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after reading... 44

Table 20. Comparison of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45

Table 21. Comparison of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s... 46

Figure 1.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to the accommodative... 25

Figure 2.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to the accommodative... 25

Figure 3. Comparison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before and... 26

Figure 4. Comparison of accommodative lag before and after watching... 26

Figure 5. Comparison of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before... 27

Figure 6. Comparison of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before... 27

Figure 7. Comparison of the visual fatigue before and after watching... 33

Figure 8. Comparison of the physical fatigue before and after... 33

초록보기 더보기

 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 그룹을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과 e-book 콘텐츠를 시청 후 나타나는 조절 기능의 변화와 자각적 피로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성인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을 실시해 대상자를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으로 분류하였다. 시청 전, 후 시각적 피로도 5문항, 신체적 피로도 5문항으로 이루어진 자각적 피로도 설문을 진행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동영상과 e-book 콘텐츠를 45분간 시청하게 한 뒤 조절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동영상 콘텐츠 시청 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 양안조절용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e-book 콘텐츠 시청 후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두 콘텐츠 사이의 조절 기능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콘텐츠 모두에서 시청 후 시각적 피로도와 신체적 피로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0) 두 콘텐츠 사이의 자각적 피로도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조절반응과 조절력이 감소하고 조절 래그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동영상 및 e-book 콘텐츠 시청 후 조절력과 양안 및 단안 조절용이성의 감소량이 크고 조절래그의 증가량이 크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의 자극과 상관없이 스마트폰 사용이 조절기능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시각적, 신체적 피로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고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여부를 진단하여 스마트폰 사용이 조절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