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LED TV 시청에 의해 유발된 주관적 증상과 동공직경, 눈 깜박임 및 안구운동의 변화 = (The)subjective symptoms and the change of pupil diameter, eye blinking and eye movement induced by LED TV viewing / 구본엽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M 681.411 -15-33
형태사항
viii, 6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7963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2015.8. 지도교수: 마기중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제1장 서론 12

제2장 연구 방법 15

1. 대상선정 15

2. 예비검사 15

3. 시청조건 15

3.1. 영상물 15

3.2. 디스플레이 16

3.3. 조도 및 휘도 16

4. 안구운동추적검사 17

5. 주관적 피로도 조사 18

6. 통계분석 18

제3장 연구 결과 19

1. 대상자의 특성 19

2. 시청조건 및 시청시간 증가에 따른 변화 20

2.1. 휘도(Luminosity) 별 변화 20

2.2. 영상물(Viewing Contents) 별 변화 29

2.3. 디스플레이(Display) 별 변화 37

3. 연령 집단(Age Group) 별 변화 45

3.1. 연령 집단 별 평균 동공직경의 변화 45

3.2. 연령 집단 별 평균 눈깜박임 횟수의 변화 48

3.3. 연령 집단 별 평균 주시 횟수의 변화 50

3.4. 연령 집단 별 평균 홱보기 횟수의 변화 52

4. 시청 조건 별 주관적 피로도 54

4.1. 휘도 별 주관적 피로도 54

4.2. 영상물 별 주관적 피로도 56

4.3. 디스플레이 별 주관적 피로도 58

4.4. 연령 집단 별 주관적 피로도 60

5. 주관적 피로도, 동공직경 및 눈깜박임 그리고 안구운동 간 상관성 62

6. 시청 조건이 동공직경 및 눈깜박임 그리고 안구운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63

제4장 고찰 66

제5장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4

부록 76

Table 1.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19

Table 2.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luminosity type. 21

Table 3.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luminosity type. 23

Table 4.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luminosity type. 25

Table 5.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luminosity type. 27

Table 6.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viewing contents type. 29

Table 7.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1

Table 8.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3

Table 9.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5

Table 10.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display type. 37

Table 11.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display type. 39

Table 12.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display type. 41

Table 13.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display type. 43

Table 14.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age group type. 46

Table 15.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age group type. 48

Table 16.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age group type. 50

Table 17.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age group. 52

Table 18.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luminosity type. 54

Table 19.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viewing contents type. 56

Table 20.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display type. 58

Table 21.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age group type. 60

Table 22. Correlation between the pupil diameter, the eye blinking, the... 62

Table 23. Regression between the pupil diameter, the eye blinking, the... 64

Figure 1. Design of the study. 17

Figure 2.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luminosity type. 22

Figure 3.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luminosity type. 24

Figure 4.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luminosity type. 26

Figure 5.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luminosity type. 28

Figure 6.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viewing contents type. 30

Figure 7.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2

Figure 8.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4

Figure 9.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viewing contents type. 36

Figure 10.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display type. 38

Figure 11.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display type. 40

Figure 12.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display type. 42

Figure 13.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display type. 44

Figure 14. Change of the pupil diameter in age group type. 47

Figure 15. Change of the blink counts in age group type. 49

Figure 16.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in age group type. 51

Figure 17.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in age group. 53

Figure 18.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luminosity type. 55

Figure 19.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viewing contents type. 57

Figure 20.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display type. 59

Figure 21. Degree of the subjective fatigue in age group type. 61

Figure 22. The effects on the pupil diameter, the eye blinking, the eye... 65

초록보기 더보기

 108명(20세 미만, 20-40세 사이 및 40세 초과, 각각 36명)을 대상으로 안구운동추적장치(Eye Movement Tracking Device)를 사용하여 전체 재생시간이 30분인 2개의 영상물을 각각 시청하는 동안 휘도(150nit, 200nit, 300nit), 영상물(표준 색상 영상물, 일반 색상 영상물), 디스플레이(곡면 디스플레이, 평면 디스플레이)의 시청조건에 따른 주관적 피로도와, 동공직경, 눈깜박임 및 안구운동(주시와 홱보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체적, 시각적 및 디스플레이 관련 3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 피로도를 측정하였으며, 동공직경, 눈깜박임 및 안구운동의 변화는 안구운동추적장치로 측정하였고, 3분 단위의 10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 평균을 산출하였다.

시청시간 증가에 따라 동공직경은 감소, 눈깜박임 횟수는 증가, 주시 및 홱보기 횟수는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동공직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시청조건 및 연령에 따른 변화에서도 동공직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동공직경, 주시 및 홱보기 횟수는 시청시간 9분, 24분, 27분 구간에서 감소, 증가 및 감소하였으며, 눈깜박임 횟수는 동일한 구간에서 증가, 감소 및 증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동공직경은 선형 및 비선형 3차 다항식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주관적 피로도는 시청 전과 비교하여 시청 후에 더 증가하였고 나이가 작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청조건 및 연령이 변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휘도, 디스플레이는 동공직경에서, 연령은 동공직경, 주시 및 홱보기 횟수에서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p〈0.05).

영상물 시청에 의해 유발된 주관적 피로도와 동공직경의 변화는 디스플레이 형상, 배경의 휘도 또는 영상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동공직경은 주관적 피로도와 시청시간이 증가할수록 선형 및 3차 다항식의 회귀유형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상관성을 보다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