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2장 본론 14
제1절 앤드류 로이드 웨버 (Andrew Lloyd Webber, 1948. 3. 22 - ) 14
1. 생애와 작품 14
2. 뮤지컬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93》 17
3. 마치 작별 인사를 하지 않은 것처럼 : As if we never say good bye 23
제2절 리차드 로저스 (Richard Charles Rodgers, 1902. 6. 28. - 1979. 12. 30) 34
1. 생애와 작품 34
2. 뮤지컬 《오클라호마: Oklahoma, 1943》 37
3. 아니라고 말 할 수 없어 : I can't say no 46
제3절 클로드-미셸 쇤베르그(Claude-Michel Schönberg, 1944- ) 55
1. 생애와 작품 55
2. 뮤지컬 《마르탱 게르: Martin Guerre, 1996》 58
3.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려야 하나요? : how many tears 67
제4절 프랭크 와일드 혼 (Frank Wildhorn, 1959- ) 74
1. 생애와 작품 74
2.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Jekyll & Hyde, 1997》 77
3. 위험한 게임 : Dangerous Game 86
제5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1. 27. - 1791. 12. 5.) 96
1. 생애와 작품 96
2.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1786 99
3. 그대는 아시나요, 사랑의 괴로움을 : Voi che sapete 107
제6절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 1. 31 - 1828. 11. 19) 115
1. 생애와 작품 115
2. 송어 : Die Forelle, 1817 118
제7절 프랭크 로서 (Frank Henry Loesser, 1910. 6. 29.- 1969. 7. 28.) 125
1. 생애와 작품 125
2.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 Guys and Dolls, 1951》 128
3. 내가 만약 종이라면 : If I were a bell 136
제8절 콜 포터 (Cole Albert Porter, 1891. 6. 9 -1964. 10. 15.) 144
1. 생애와 작품 144
2. 뮤지컬 《키스 미 케이트: Kiss me Kate, 1948》 147
3. 나는 남자들을 증오해 : I hate men 154
제3장 결론 164
참고문헌 166
abstract 173
우리나라의 뮤지컬은 《살짜기 옵서예, 1966》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변화, 발전하여 왔으나 뮤지컬의 역사가 짧은 만큼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연구 분야가 미비했다.
때문에 본 작품집에서는 오페라, 가곡, up- tempo, Ballad, 이중창 등 다양한 장르의 뮤지컬 및 성악곡을 중심으로 작품 분석, 인물 분석, 음악 분석을 함으로서 연주자가 보다 깊이 있는 연주를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우선,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의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1786》 중 〈그대는 아시나요, 사랑의 괴로움을 : Voi che sapete〉은 가사의 내용과는 상반되는 밝은 선율로 사춘기 소년의 순수한 마음을 표현한 곡으로 경쾌한 선율이지만 진지함을 가지고 노래해야 하는 곡이었고,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 - 1828)의 〈송어 : Die Forelle , 1817〉는 6잇단음표와 반음계로 상향 진행되는 반주로 송어의 움직임을 경쾌하게 표현하고 있는 곡이었다.
또한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 )의 뮤지컬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93》의 〈마치 작별 인사를 하지 않은 것처럼 : As if we never say good bye〉은 무성 영화 시대의 스타 노마가 옛날의 향수에 취해 단순한 선율을 반복함으로서 그리움을 자아내는 곡으로 절정부에서 벨팅 창법으로 감정을 폭발하며 불러야 하는 곡이었고, 쇤베르그(Claude-Michel Schönberg, 1944 - )가 작곡한 뮤지컬 《마르탱 게르: Martin Guerre, 1996〉 중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려야 하나요? : how many tears 〉는 펼쳐지듯 흐르는 반주부의 선율이 베르트랑드의 불안한 심리를 표현해주고 있는 곡으로 배역으로서의 섬세한 감정 표현이 중요한 곡이었으며 로저스(Richard Charles Rodgers, 1902 - 1979)의 뮤지컬 《오클라호마: Oklahoma, 1943》 중 〈아니라고 말 할 수 없어 : I can't say no〉는 미국식 사투리와 멜로디 라인을 그대로 따라가는 단순한 반주부가 애니의 캐릭터를 유쾌하게 표현해 주는 곡으로 가사의 억양을 살려 말하듯이 노래해야 하는 곡이었다.
로서(Frank Henry Loesser, 1910 - 1969)가 작곡한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 Guys and Dolls, 1951》의 〈내가 만약 종이라면 : If I were a bell〉은 가사의 각운과 선율을 통해 술에 취한 사라의 상태를 표현해주는 동시에 종소리를 상징하는 화성 진행이 특징인 곡으로 술에 취한 연기와 노래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연주하여야 하며 포터(Cole Albert Porter, 1891 - 1964)의 뮤지컬 《키스 미 케이트: Kiss me Kate, 1948》 중 〈나는 남자들을 증오해: I hate men〉는 남성 혐오증을 가진 카타린느의 캐릭터를 단순한 선율을 통해 코믹하게 표현한 곡으로 단순한 선율의 반복이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감정을 서서히 증폭시켜야 하는 곡이었다.
마지막으로 이중창인 와일드혼(Frank Wildhorn, 1959 - )의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Jekyll & Hyde, 1997)의 〈위험한 게임 : Dangerous Game〉은 무반주로 시작되는 도입부, 대화를 주고받는 선율 구성이 화려하게 변주되는 곡으로서 절정부에서 토해내는 듯 한 벨팅 창법을 구사해야하는 곡이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