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노인평생교육에서의 사회적 자본 실태분석 = Social capital in the aged's life long education / 이정복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D 353.5 -16-21
형태사항
xi, 18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0068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복지행정전공, 2016.2. 지도교수: 소진광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1. 연구의 배경 17

2. 연구의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1

1. 연구의 범위 21

2. 연구의 방법 22

제2장 이론적 배경 24

제1절 노인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접근논리 24

1. 노인평생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4

2. 노인평생교육의 접근논리 30

제2절 사회적 자본의 개념 및 필요성 33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33

2. 사회적 자본 이론 43

3. 사회적 자본의 개념 요소들 51

제3절 노인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61

1.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 61

2. 사회적 자본 관점의 노인평생교육 65

3. 사회적 자본 관점의 노인평생교육 참여 영역과 참역 특성 67

제4절 선행연구 검토 74

1. 노인평생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74

2. 노인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79

3. 선행연구의 함의 84

제3장 연구 설계 87

제1절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87

제2절 변수의 정의와 측정도구 구성 88

1. 측정문항 구성과정 88

2. 변수의 정의와 측정도구 89

제3절 연구모형 95

제4절 통계분석 방법 96

제4장 분석 결과 97

제1절 응답자의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97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7

2. 응답자의 평생교육 특성 99

제2절 사회적 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및 기술통계 100

1. 사회적 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100

2.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104

제3절 응답자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106

제4절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 결과 123

1. 평생교육 참여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23

2. 평생교육 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134

제5절 연구과제 분석 결과에 대한 함의 149

1. 인구 사회적 요인에 따른 사회적 자본 149

2. 평생교육 참여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152

3.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4

4. 사회적 자본의 요소들 156

제5장 결론 및 제언 159

제1절 연구 요약 159

제2절 정책 제언 161

참고문헌 166

부록 184

부록I : 설문지 184

부록II : 설문조사 현황 194

Abstract 195

〈표 2-1〉 노인여가·복지시설 및 노인 일자리 지원기관 31

〈표 2-2〉 사회적 자본 개념 및 목적과 분석 단위 51

〈표 2-3〉 연구자별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52

〈표 2-4〉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과 기존 계획과의 차별성 62

〈표 2-5〉 사회적 자본의 연계가 평생학습에 미치는 영향 63

〈표 2-6〉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예 70

〈표 2-7〉 노인평생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78

〈표 2-8〉 노인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83

〈표 3-1〉 측정변수의 구성 94

〈표 4-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7

〈표 4-2〉 응답자의 주관적 경제 및 건강 수준 인식정도 98

〈표 4-3〉 응답자의 평생교육 특성 99

〈표 4-4〉 영역별 프로그램 참여 정도 100

〈표 4-5〉 신뢰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101

〈표 4-6〉 참여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102

〈표 4-7〉 네트워크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103

〈표 4-8〉 규범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104

〈표 4-9〉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05

〈표 4-10〉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친구 105

〈표 4-11〉 참여하고 있는 공식, 비공식 단체 수 106

〈표 4-12〉 성별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07

〈표 4-13〉 성별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08

〈표 4-14〉 연령대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09

〈표 4-15〉 연령대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10

〈표 4-16〉 학력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11

〈표 4-17〉 학력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12

〈표 4-18〉 종교 유무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13

〈표 4-19〉 종교 유무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13

〈표 4-20〉 결혼 상태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14

〈표 4-21〉 결혼 상태에 따른 참여하는 공식적, 비공식적 네트워크 115

〈표 4-22〉 동거가족 유무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16

〈표 4-23〉 동거가족 유무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16

〈표 4-24〉 지역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17

〈표 4-25〉 지역특성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18

〈표 4-26〉 주관적 경제수준 인식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19

〈표 4-27〉 주관적 경제 수준 인식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20

〈표 4-28〉 주관적 건강수준 인식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 121

〈표 4-29〉 주관적 건강 수준 인식에 따른 네트워크 크기의 차이 122

〈표 4-30〉 기초문해교육 영역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3

〈표 4-31〉 직업능력교육 영역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5

〈표 4-32〉 문화예술교육 영역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6

〈표 4-33〉 인문교양교육 영역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7

〈표 4-34〉 시민참여교육 영역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8

〈표 4-35〉 평생교육 참여 기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29

〈표 4-36〉 평생교육 참여 빈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30

〈표 4-37〉 참여 프로그램 수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32

〈표 4-38〉 평생교육 참여 기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133

〈표 4-39〉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135

〈표 4-40〉 평생교육 특성이 사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136

〈표 4-41〉 평생교육 특성이 공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138

〈표 4-42〉 평생교육 특성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140

〈표 4-43〉 평생교육 특성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1

〈표 4-44〉 평생교육 특성이 호혜적 규범에 미치는 영향 143

〈표 4-45〉 평생교육 특성이 일반 규범에 미치는 영향 144

〈표 4-46〉 공식적 단체 참여 수에 미치는 영향 요인 146

〈표 4-47〉 참여하는 비공식적 단체 수에 미치는 영향 요인 148

〈그림 2-1〉 평생교육 참여 수준 실태 분석 결과 71

〈그림 2-2〉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비전과 목표 72

〈그림 3-1〉 측정문항 구성과정 89

〈그림 3-2〉 연구모형 95

참고문헌 (16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12).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소장
2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안)(2013~2017) 네이버 미소장
3 (2009). 「노인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미소장
4 (2010). 「노인복지와 르네상스」. 서울: 도서출판 신정. 미소장
5 (2007).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 전문출판 나눔의집. 미소장
6 (2014). 「정책학」. 서울: (주)박영사. 미소장
7 (2014).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8 (2013). 「은퇴가 없는 나라 – 국가 경제를 이모작하라」.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미소장
9 (2010).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및 체계적 지운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0 (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1 (2012). 「광주시민의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연구」. 광주: 광주발전연구원부설 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미소장
12 (2011). 「시스템사고로 본 우리나라 사회갈등의 구조」. 부산: 한국지방정부학회. 미소장
13 (2014). 「국가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평생교육통계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4 (2013). 「사회적 자본의 법제화 II. 공동체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연성 법제화」.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미소장
15 (2001).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서울: 의암출판사. 미소장
16 (2009). 「사회자본: 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서울: 조명문화사. 미소장
17 보건복지부 (2015).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II)」.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18 (2005).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서울: 박영사. 미소장
19 (2006). 「지역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 개발」. 서울: 푸른솔. 미소장
20 (2012).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미소장
21 (2005). 사회적 자본의 생성을 통한 조직 역량 강화(pp. 149-205). In: 나영선 이재열 한준상 이경묵 한성안(2005). 「사회적 자본과... 미소장
22 (2013).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노년교육의 현황과 정책」.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3 (2013). 「사회적 자본과 복지거버넌스」. 제주시: 도서출판 각. 미소장
24 (2007).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양서원. 미소장
25 (2010). 「평생교육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26 (2012).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 생물학자가 진단하는 2020년 초고령 사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미소장
27 한국교육개발원(2006).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8 한국교육개발원(2013). 「한국성인 평생학습 실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9 (2015). 「노인교육론 – 노인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교육」. 서울: (주)학지사. 미소장
30 노인교육 체계화 및 할성화 방안 연구 네이버 미소장
31 (2006). 「세계의 노인교육」. 서울: 학지사. 미소장
32 (2007). 「학습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33 (2008).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교육투자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34 (2002).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대안적 평생교육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2.12). 미소장
35 노인복지대상에 따른 선택적 노인복지서비스공급에 관한 연구 소장
36 노인들의 여가 참여특성에 따른 우울감, 사회적응, 여가만족,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소장
37 고령화사회에서의 지방정부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단위의 노인교육모형을 중심으로 소장
38 (2014).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4.12). 미소장
39 (2015). 노인의 생산 활동 및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미소장
40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소장
41 사회적자본 형성에 관한 초등학교평생교육 참여자의 인식분석 소장
42 (A)study on developing elderly lifelong education for elderly education welfare : focusing on Jeollanamdo province area 소장
43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소장
44 (2015).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5.08). 미소장
45 (2001). 고령화사회의 노인평생교육체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2. 02). 미소장
46 사회자본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s Survey)자료를 중심으로 소장
47 (2003). 대도시 노인의 교육요구 분석 – 서울지역 구립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3.12). 미소장
48 (2013). 노인평생교육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3.12). 미소장
49 사회적 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소장
50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 소장
51 (2012). 노인 평생교육 참여 동기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12) 미소장
52 (2015).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5.02). 미소장
53 노인의 여가 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소장
54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연구 소장
55 지역사회 변화전략으로써의 자원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 사회자본(Social Capital) 관점 적용 소장
56 A Study on the Attribute of Choos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Old at the Welfare Center of Old People in the Aging Society 소장
57 적극적 고령화정책 실현을 위한 노년교육의 발전방향 소장
58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과 평생교육의 역할 소장
59 (2003).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요인 정립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Vol. 8, No.3, pp. 89-109. 미소장
60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기초연구 소장
61 노인평생교육기관의 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 소장
62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Chungcheongnam-Do 소장
63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이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교육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64 The Effects of Elderly`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Ego Integr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소장
65 (2004).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 제38집 제6호, pp. 63-95. 미소장
66 (2014). 지방자치 20년을 진단하다, part 2 - 지방자치 20년의 성과와 과제. 국회입법조사처보, 통권21호(2014년 여름), pp. 22-27. 미소장
67 한국사회의 학연 : 사회적 자본의 창출에서 인적 자본의 역할 소장
68 (2015). 노인기준연령 상향 조정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국회퓨처라이프포럼 제14차 세미나. pp. 6-23. 미소장
69 평생교육을 위한 노인교육현황과 활성화 방안 소장
70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소장
71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의 복합적 양상과 노년기 적응 소장
72 (2007). 사회적 자본의 사회경제적 효과. 교육개발, 제34권 제4호 (통권 162호: 2007. 겨울), pp. 32-37. 미소장
73 (2006).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사회적 자본의 교육적 형성 전략 논의를 위한 세미나(I) - 한국의 사회적 자본,... 미소장
74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f Measuring an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 the Context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소장
75 (2010). 노인교육기관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9권(2003년 봄호), pp. 143-171. 미소장
76 (2013). 노년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의론적 탐색: J. Rawls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 1045-1058. 미소장
77 사회자본의 형성과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쟁점 소장
78 공생발전을 위한 도시 저소득계층의 복지대책 : 노인복지를 중심으로 소장
79 고령화 사회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연구 소장
80 Realities of Korean Welfare, Social Capital, and Communitarian Liberalism 소장
81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소장
82 The Strategy of Community Education for Rural Elderly Women by Biographical Research 소장
83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비교 분석 네이버 미소장
84 The Levels and Determinants of the Koreans` Trust: Interpersonal, Associational, and Mass Media Trust affected b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소장
85 사회자본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연구 : Burt의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 이론을 중심으로 소장
86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네이버 미소장
87 The Implemental Factors of Senior Welfare Center on Leisur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소장
88 Effects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소장
89 The Effect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소장
90 Use of Internet and Social Capital: The Possibility of Formulating the Social Capital in Virtual Community 소장
91 Articles :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Development 소장
92 Articles : Towar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dicators 소장
93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Elderly Education in the Lifelong Learning Period 소장
94 평생교육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소장
95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isure Activities,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소장
96 (2015). Active Aging 촉진을 위한 전략: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2015년 제10회 한국노인복지실천연구회 춘계세미나... 미소장
97 Qualit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elderly learning as self-integrated learning derived from the elderly's learning experiences 소장
98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소장
99 (2001). 정보화 물결의 흔적과 진로. 정보화정책, 제8권 제1호 (2001.05), pp. 105-108. 미소장
100 (2015). 대한노인회, 살신성인의 자세로 ‘노인기준연령 상향조정 공론화 물꼬 트다. 헌정, 통권 397호(2015.07.), pp. 121-125. 미소장
101 A Study on Elderly Education in the Aspect of Social Utility in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소장
102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활용 소장
103 (2001). 평생교육 일환으로서의 노인교육 실태와 발전 방향. 부산대학교 논문집, 제20집, pp. 367-387. 미소장
104 (2003).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 서울시와 자치구의 정책결정과 집행에 주는 함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개원 11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2003년... 미소장
105 노인교육의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 : 지역 자치 활동과 노년교육 연계 가능성을 중심으로 소장
106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혁신의 과제와 방향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07 An Analysis of Elderly Reemployment Activitie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소장
108 Experience and Meaning of Social Capital of Low Income Class Elderly Participat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소장
109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Transformation from Learning Society to Learning Economy 소장
110 (2013). 해방 후 평생학습의 전개과정 분석: 시사회운동 관점에서. 한국평생교육, 제1권 제1호 (2013.11.30.), pp. 1-43. 미소장
111 The Reinterpretation of Saemaul Undong through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네이버 미소장
112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의 도시문제 접근 소장
113 (2013).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 시민교육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5차 대전평생교육정책포럼-사회적 자본 확충을... 미소장
114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소장
115 경제주평 : OECD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사회자본의 현황 및 시사점 -공적신뢰 회복을 위한 국가시스템 개조가 필요하다 네이버 미소장
116 한국 중산층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 경험과 의미 소장
117 Critically Exploring Social Capital in Lifelong Education 소장
118 Social Capital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 Future - Focused on Cohort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소장
119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neighborhoods and social capital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소장
120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 네이버 미소장
121 An Analytical Study on Conditions and Nature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for Lifelong Education 소장
122 A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Civil Organizations Based on the Social Capital 소장
123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Education 소장
124 신뢰와 호혜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자본 : 사회자본 개념의 이념형적 구성 소장
125 The Effects of Senior Professional Volunteering - With a Focus 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Project Supporting Senior Professional Volunteering - 소장
126 중년층과 노년층의 노인교육 연구 소장
127 (2015). 노인기준연령 상향 조정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국회퓨처라이프포럼 제14차 세미나, pp. 37-38. 미소장
128 (2008). 노인여가문화 활성화와 노인대학 현실화와 방안.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전국노인복지단체 부산광역시연합회 정책 토론회 – 고령화시대... 미소장
129 국가법령정보센터(2015: 10) http://www.law.go.kr 미소장
130 안전행정부(2015: 10) http://www.mogaha.go.kr. 미소장
131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2015: 10) http://www.kaswcs.or.kr 미소장
132 (1983). The Logic and Limits of Trust.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3 Contra Contractarianism: Some Reflections on the New Institutionalism 네이버 미소장
134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tport,... 미소장
135 (1998).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in NSW. Centre for Australian Community Organisations and Management(CACOM),... 미소장
136 (1996). Trust and Third-Party Gossip. In: Trust in Organizations, ed. Roderick M. Kramer and Tom R. Tyler. Tousand Oaks, Calif.:... 미소장
137 (2001). Social Capital and Local Capacit Building in Andean Peasant Federations. A Paper presented at SCI, MSU(April 27, 2001). 미소장
138 (1995). Associations and Democracy. London: Verso. 미소장
139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네이버 미소장
140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ssachusetts,annd Lond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1 (2000). Building Community Social capital . A Paper presented at SCI, MSU(November 17, 2000). 미소장
142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미소장
143 (2003). Social Capital and Lifelong Learning. Bristol: The Policy Press. 미소장
144 (1992).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Free Press. 미소장
145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 구승희 역(1997). 「트러스트」. 서울:... 미소장
146 (1999). The Great Disruption: Human Nature and the Reconstitution of Social Order. Free Press. 미소장
147 (ed., 1988).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Oxford: Blackwell. 미소장
148 The Strength of Weak Ties 네이버 미소장
149 (1998). What is Social Capital? The Worald Bank Resource Paper . 미소장
150 (2001).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ocial Capital: A Synthesis of Finding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Social Capital Initiative.... 미소장
151 (1740). Treatise, Book III, Part II, section 5. 미소장
152 Social and Unsocial Capital: A Review Essay of Robert Putnam's Making Democracy Work 네이버 미소장
153 (2000). Poverty and Social Capital: Elements for Discussion. A Paper presented at SCI, MSU(November 17, 2000). 미소장
154 (1990).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5 OECD(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 Paris: OECD. 미소장
156 OECD(2000). Human & Social Capital & Sustained Grouth & Development, Recording New Economies & Science: The Role of Human & Social... 미소장
157 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nited State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15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네이버 미소장
159 (1993a).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13, pp. 35-42. 미소장
160 (1993b).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 tal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안청시 외 역(2014).... 미소장
161 (2000).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미소장
162 (1971).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Belknap Press. 황경식 역(2003). 「정의론」. 서울: 이학사. 미소장
163 Social Capital and People With Learning Difficulties 네이버 미소장
164 (1972). Stone Age Economics. New York: de Gruyter. 미소장
165 So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the learning society 네이버 미소장
166 (2001). Poverty is a multidimensional problem. A resource paper for the lecture, AGEC 891 Social Capital at Michigan State... 미소장
167 (1999). Advocates without Members: The Recent Transformation of American Civic Life. In: Skocpol, T. and Fiorina, M.(Eds.). Civic... 미소장
168 UN(1982). Provisonal Guidelines on Standard International Age Classifications. Statistical Papers, Series M No. 74. New York: United... 미소장
169 (1988). Formal Structures and Social Reality. In: Diego Gambetta(ed., 1988).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