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의의 7

2. 연구문제 11

II. 이론적 배경 12

1.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능력 12

2.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15

3. 스마트러닝의 효과 18

III. 연구방법 26

1. 연구 대상 26

2. 연구도구 28

1) 스마트 학습용 앱 28

2) 수업참여행동 29

3) 평가도구 29

3. 연구절차 30

1) 실험 기간 및 장소 30

2) 실험 설계 31

3) 실험 절차 31

4. 자료처리 33

5. 중재충실도 34

6. 사회적 타당도 35

IV. 연구결과 36

1.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36

1)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36

2) 수세기 유지에 미치는 효과 39

2.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40

1)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40

2) 수업참여행동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43

V. 논의 및 제언 44

1. 논의 44

2.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4

부록 56

〈부록 1〉 연구대상자 신청서 57

〈부록 2〉 학부모 동의서 58

〈부록 3〉 진전도 평가문제 59

〈부록 4〉 일반화 평가문제 61

〈부록 5〉 수업참여행동 관찰 기록지 63

〈부록 6〉 중재 충실도 체크 리스트 64

〈부록 7〉 사회적 타당도 체크 리스트 65

표목차

〈표 III-1〉 연구대상자 특성 27

〈표 III-2〉 수세기 검사도구의 앱 프로그램 구성표 29

〈표 III-3〉 검사도구의 측정내용 30

〈표 III-4〉 중재 프로그램 내용 32

〈표 IV-1〉 대상 학생별 수세기 능력 점수의 평균 및 범위 36

〈표 IV-2〉 대상 학생별 수업참여행동비율의 평균 및 범위 40

그림목차

그림 IV-1. 수세기 점수 변화 37

그림 IV-2. 수업참여행동의 점수 변화 41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on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d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a baseline phase, a interven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The independent variable,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sc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srt, A counting program using smat application had pos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ount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un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econd,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esorders were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