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스마트 앱을 이용한 수세기 프로그램이 초등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능력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현아 인기도
발행사항
완주군 :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371.9 -16-1
형태사항
iii, 5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0280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특수교육전공, 2016.2. 지도교수: 방명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의의 7

2. 연구문제 11

II. 이론적 배경 12

1.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능력 12

2.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15

3. 스마트러닝의 효과 18

III. 연구방법 26

1. 연구 대상 26

2. 연구도구 28

1) 스마트 학습용 앱 28

2) 수업참여행동 29

3) 평가도구 29

3. 연구절차 30

1) 실험 기간 및 장소 30

2) 실험 설계 31

3) 실험 절차 31

4. 자료처리 33

5. 중재충실도 34

6. 사회적 타당도 35

IV. 연구결과 36

1.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36

1)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36

2) 수세기 유지에 미치는 효과 39

2.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40

1)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40

2) 수업참여행동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43

V. 논의 및 제언 44

1. 논의 44

2.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4

부록 56

〈부록 1〉 연구대상자 신청서 57

〈부록 2〉 학부모 동의서 58

〈부록 3〉 진전도 평가문제 59

〈부록 4〉 일반화 평가문제 61

〈부록 5〉 수업참여행동 관찰 기록지 63

〈부록 6〉 중재 충실도 체크 리스트 64

〈부록 7〉 사회적 타당도 체크 리스트 65

〈표 III-1〉 연구대상자 특성 27

〈표 III-2〉 수세기 검사도구의 앱 프로그램 구성표 29

〈표 III-3〉 검사도구의 측정내용 30

〈표 III-4〉 중재 프로그램 내용 32

〈표 IV-1〉 대상 학생별 수세기 능력 점수의 평균 및 범위 36

〈표 IV-2〉 대상 학생별 수업참여행동비율의 평균 및 범위 40

그림 IV-1. 수세기 점수 변화 37

그림 IV-2. 수업참여행동의 점수 변화 41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on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d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a baseline phase, a interven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The independent variable,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sc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srt, A counting program using smat application had pos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ount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un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econd,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esorders were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