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사회과 통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ocial studies / 이송한 인기도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300.7 -16-29
형태사항
v, 4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1508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2016.2. 지도교수: 김해성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내용 및 방법 11

II. 통일교육의 이해 13

1. 통일교육에 대한 이해 13

1) 통일 및 통일교육의 개념 13

2) 통일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16

2. 사회과 교육과 통일교육 22

1) 사회과 교육의 의미와 목적 22

2) 사회과 교육에서의 통일교육 23

3. 선행연구 고찰 25

III. 사회과 통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8

1. 사회과 통일교육의 현황 28

1) 사회과 통일교육의 특징 28

2) 사회과 통일교육의 편성 현황 31

2. 사회과 통일교육의 문제점 34

1) 통일교육 목표와의 부합정도 34

2) 분량과 단원 구성의 문제 39

3. 사회과 통일교육 개선방안 40

1) 사회과 통일교육의 목표 정립 42

2) 교과 내용 구성에 대한 개선방안 43

IV.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2

〈표II-1〉 통일교육의 개념 변천 15

〈표II-2〉 통일교육 목표의 변천 17

〈표II-3〉 사회과 교육과 통일교육의 목표 24

〈표III-1〉 교육과정별 학교 통일교육의 특징 29

〈표III-2〉 사회과와 도덕과의 통일교육 목표 30

〈표III-3〉 중등 교과과정에서의 일반사회과 통일교육 단원과 내용 32

〈표III-4〉 사회과 통일교육의 내용요소 및 강조점 35

〈표III-5〉 사회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접근 방향 42

초록보기 더보기

 분단 70년을 보내며 대립과 반목이 팽팽했던 관계의 남과 북은 이제는 점차 화해와 협력의 관계로 새로운 지평을 열어 나가고 있다. 하지만 통일 환경의 긴박한 변화와는 달리 통일교육은 우선 통일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과 통일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 등에 따라 형식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통일교육의 현실 앞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과 통일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기존 교육이 지닌 한계를 진단하며, 실질적인 통일 역량을 기르는 통일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통일 준비 세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통일교육은 균형 잡힌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현 사회과 통일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내용과 현행 교과서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필요성 등을 바탕으로 학교 통일교육이 변화되어 온 모습을 살펴보며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진단해 보았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의 의미, 그리고 사회과 교육과 통일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사회과 교육은 민주시민교육, 즉 민주시민의 자질함양이라는 측면에서 통일교육과 연결된다. 우리가 지향하는 통일한국 사회가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기에 통일 과정에서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교육으로서 통일교육에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과 통일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목내 단원의 구성 및 편성 현황을 분석하며, 앞서 살펴본 통일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와의 부합 여부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교과과정의 개편 과정에서 단원의 축소와 통합으로 현 교육과정 하에서 사회과 통일교육의 분량은 절대적으로 적은 것이 사실이며, 교과 내용의 비중이 줄어들었음에 따라 수업 시수 또한 적게 배정됨으로써 통일교육이 경시되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과거의 통일교육이 지나치게 통일의 당위성만을 강조해왔음에 여러 비판이 있었던 반면, 현행 통일교육은 오히려 그 당위성에 대한 강조를 피해 경제적 문제와 통일 비용에 중점을 두고 서술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자칫 통일비용을 희생과 부담으로 여기어 통일 자체에 대한 반대 의견을 갖게 할 우려를 낳는다는 비판점도 존재한다. 통일교육은 미래지향적 통일관과 건전한 안보관, 그리고 균형있는 북한관의 정립을 통하여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며 이러한 교육목표의 달성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사회과 통일교육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새로운 교육목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지도방법 및 평가 등이 하나의 일관된 패러다임에 의해 실시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민주시민의식의 함양, 통일의 당위성 인식,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확신, 남북한의 이질성 극복과 동질성 회복을 통한 사회통합, 상대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포함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주도의 획일적 통일교육 체제에서 벗어나 정부와 민간단체, 교육주체들의 충분한 협력 하에 남북분단의 현실과 북한의 실상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