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18
II. 이론적 배경 19
1. 교육정책집행의 개념 19
2. 적응적 정책집행의 논의 배경 21
3. 적응적 집행의 이론적 접근 24
가. 거시적 집행 25
나. 미시적 집행 27
4. 성취평가제의 개념 32
가. 성취평가제의 의미와 특징 32
나. 성취평가제 도입 배경 33
다. 성취평가제의 운영 35
III. 연구방법 41
1. 연구의 분석틀 41
2. 연구방법 42
가. 자료수집 42
나. 면담 과정 44
다. 면담 결과 분석 47
IV. 성취평가제의 적응적 집행과정 49
1. 정책 차원의 적응 49
가. 단위학교 분할방식 개발 49
나. 성취기준 비율 설정 50
다. 특목고 입시 시 상대평가 시행 51
2. 집행기관 차원의 적응 53
가. 교육부 53
나. 서울시 교육청 57
다. 교육지원청 59
라. 현장지원단 62
3. 실질 집행자 차원의 적응 64
가. 성취평가제에 대한 기초적 이해 수준 64
나. 교사의 정책 무관심과 저항 66
다. '기술적 학습'과 '흡수'의 적응양태 67
V. 논의 71
1. 정책 차원의 적응 71
2. 집행기관 차원의 적응 73
3. 실질 집행자 차원의 적응 76
VI. 요약 및 결론 78
1. 요약 78
2. 결론 81
참고문헌 85
ABSTRACT 93
〈표 1〉 Berman(1978)의 거시적 집행과정 26
〈표 2〉 Berman(1978)의 미시적 집행과정 31
〈표 3〉 학교급 및 교과별 성취평가제 단계적 추진 일정 34
〈표 4〉 교과별 학업성취사항과 정보공시 내용 및 시기 36
〈표 5〉 성취기준별 정의 및 성취율 37
〈표 6〉 성취수준 기술의 예 38
〈표 7〉 성취평가제에 따른 중학교 성적기재방식 변화 39
〈표 8〉 본 연구의 분석틀 41
〈표 9〉 성취평가제 집행과정 분석을 위한 질문 구성 45
〈표 10〉 집행기관 수준 면담 참여자 46
〈표 11〉 실질 집행자 수준 서울시 S 중학교 면담 참여 교사 47
〈표 12〉 성취평가제 집행과정 분석을 위한 면담 결과내용 분류 48
[그림 1] 외고·국제고 입학 성적산출방식 발표 내용 5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