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 (A)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support project of the dance art instructor in school / 김소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D 796 -16-288
형태사항
viii, 18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1602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체육학전공, 2016.2. 지도교수: 신현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 목적 15

3. 연구 문제 16

4. 연구의 제한점 16

5. 용어의 정의 17

II. 문화예술교육과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19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및 정책 19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9

2)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22

3) 국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37

2.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현황 49

1) 도입기(2004~2006) 50

2) 안정기(2007~2009) 60

3) 전환기(2010 - 현재까지) 67

III. 연구 방법 84

1. 연구의 설계 84

2. 연구자 및 연구 참여자 87

1) 연구자 87

2) 연구 참여자 88

3. 자료 수집 91

1) 문헌연구 91

2) 델파이(Delphi) 조사 92

3) AHP(계층분석) 기법 96

4) 전문가 회의 97

4. 자료 분석 97

IV. 연구 결과 99

1. 델파이(Delphi) 조사 결과 99

1) 델파이 전문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00

2)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1

3)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4

2. AHP(계층분석)를 활용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110

1) AHP 전문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11

2) AHP 분석결과 112

3) 복합가중치를 이용한 전체 평가항목의 우선순위 117

V.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개선방안 120

1. 행정·재정적 측면 120

1) 학교 예술강사지원 예산확대 120

2) 안정된 근무여건 체제 확립 121

3) 충분한 시수 확보 및 교육의 지속·연계성 강화 124

2. 운영기관 측면 127

1) 주관기관과 예술강사 간의 이해관계 127

2) 일관된 인사시스템 및 업무 역할 분담 재정립 128

3. 교육환경 및 시설 측면 130

1) 독립적인 무용교육 공간 확보 131

2) 교과과정에 맞는 무용 프로그램 운영의 협력 132

4. 학교 무용 예술강사 활동지원 측면 135

1) 무용 예술강사의 처우개선 및 사기진작 135

2) 다양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139

3) 무용 예술강사로서의 책무성 강화 140

5. 인력양성 및 재교육 측면 141

1) 직전 예술강사의 교육강화 141

2) 기존 예술강사 교육의 질적 제고 및 지원확대 143

VI. 결론 및 제언 148

1. 결론 148

2. 제언 152

1) 균형적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위한 제언 153

2)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 155

참고문헌 158

ABSTRACT 169

부록 173

[부록 1] 설문지 동의서 173

[부록 2] 델파이 1차 설문지 176

[부록 3] 델파이 2차 설문지 182

[부록 4] AHP(계층분석) 설문지 187

표 1.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정 현황 : 16개소 32

표 2.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도별 현황(2005~2014) 34

표 3. 학교 장르별 예술강사 현황(2008~2015) 35

표 4.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주요 국가들의 문화예술교육 특징 49

표 5. 도입기 연수 구성 체계 56

표 6. 도입기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58

표 7. 안정기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2007~2009) 64

표 8. 안정기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자격 및 지원교과 66

표 9. 전환기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현황(2010~2014) 69

표 10. 2014년 지역별 무용 예술강사 현황 69

표 11. 무용분야 교급별/ 교육과정 지원 현황 72

표 12. 15'-16' 학교 및 예술강사 지원 시수 73

표 13. 학교 예술강사 배치 단계 74

표 14. 2015 평가 매뉴얼 개선안 77

표 15. 델파이 및 AHP조사 참여자 선정기준 90

표 16. 델파이 및 AHP조사 참여 인원 90

표 17. 1차 델파이 설문 구성 94

표 18. 전문가 회의 참여 인원 97

표 19. 델파이 전문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00

표 20.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3

표 21. 행정·재정 부문 결과 107

표 22. 조직 부문 결과 108

표 23. 교육환경 및 시설 부문 결과 109

표 24. 무용교육 전문인력 부문 결과 110

표 25. AHP 전문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12

표 26. 전체 평가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 종합 119

그림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직도(2015년 기준) 28

그림 2.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추진 체계(2015년 기준) 31

그림 3. 연도별 '예술강사 지원사업' 수혜학교 및 강사 수 36

그림 4. 도입기 예술강사 지원 사업 추진체계도 52

그림 5.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과정 71

그림 6. 2015 학교 예술강사 배치 시수 단계 74

그림 7. 연구의 과정 및 절차 87

그림 8. 델파이 방법의 연구과정 95

그림 9. AHP의 연구과정 96

그림 10. 행정·재정 부문 우선순위 113

그림 11. 조직 부문 우선순위 114

그림 12. 교육환경 및 시설 부문 우선순위 115

그림 13. 무용교육 전문인력 부문 우선순위 116

그림 14.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상위요인 우선순위 117

그림 15. 전체평가항목 우선순위 상위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 11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관련 정책 실무자,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참여하였거나 관련 논문 및 저서 출판 경험이 있는 학자 및 연구원, 학교 무용 예술강사 등 28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델파이(Delphi) 조사를 실시해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개선요소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37명을 대상으로 AHP(계층분석)를 실시한 다음 이를 토대로 균형적이고 바람직한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관한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거쳐 도출된 결과로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개선요인은 크게 '행정·재정', '조직', '교육환경 및 시설', '무용교육 전문인력' 등 4개의 부문으로 범주화되었다. 세부요인은 18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AHP(계층화분석)를 통하여 도출된 4개의 상위 항목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무용교육 전문인력, 교육환경 및 시설, 행정·재정,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각 상위 항목별 세부요인의 1순위는 행정·재정에서는 '학교 예술강사지원 예산확대', 조직에서는 '주관기관(진흥원, 광역센터)과 예술강사 간의 이해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환경 및 시설에서는 '수업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 확보', 와 무용교육 전문인력에서는 '무용 예술강사의 처우개선과 사기진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세부항목별 우선순위는 무용 예술강사의 처우개선과 사기진작의 항목에 대해 전문가 집단이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재정 측면에 대한 개선방안은 문체부와 교육부의 협력 체제 강화방안으로, 정기적으로 관련 사업 업무에 대한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단기적 이벤트성 사업을 지양하고, 중장기적 측면에서 핵심사업에 집중 투자, 강사료 인상 및 안정적인 시수 확보와 예술강사들의 전문성을 향상, 2~3년 정도의 최소한 일관된 학교에 배치, 기존 수혜학교가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지속적이고 연계성을 가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광역 문화예술교육센터의 자율적 운영권리 부여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운영기관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으로 시행 주관기관과 현장의 예술강사의 긴밀한 소통의 협력 구조체계를 확립과 명확한 역할 이를 위한, 행위자 간의 업무 연계성 제고 방안과 지역 특성에 맞는 업무 추진을 위한 광역센터의 인력충원 그리고 학교시설 지원관리 진흥 업무로의 분담과 업무의 체계화를 위해 지역별 모니터링 요원 운영 및 행정 예술강사 배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육환경 및 시설 측면에 있어서는 학교 측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주관기관에서의 지원되는 기자재의 품질 개선 및 적절한 시기의 지원방안을 제안, 교육청과 연계하여 지역별로 학교 무용실 조성을 위한 시설지원 방안 강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을 내실 있게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사항을 매뉴얼에 명기하여 이행여부에 따른 패널티 부여 방식의 제도적 장치 마련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학교 무용 예술강사 활동지원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으로, 인사정책(배치)개선과 수업환경 개선의 대책 마련과 우수 예술강사 등 실적이 있을 경우 포상 및 인센티브제 도입, 각각의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인력양성 및 재교육 측면에서는 직전 예술강사의 무용교육철학의 확립, 대학의 무용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방법의 개선, 신규 예술강사의 연수내용과 연수기간의 확충, 기존 예술강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 의무제 도입과 강사의 자율연구모임 및 연구동아리 지원확대, 예술강사와 학교교사 간의 상호연구 협력 체제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목적 아래 10년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교육환경 및 전문인력을 외면한 양적인 성장에 치우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과 전문인력의 성장의 부진함은 본 사업의 지속적 성장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안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에서의 적용과 비판적 검증 과정을 통해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을 설정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균형적인 발전방안으로서 실효성을 검증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 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바람직한 정책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