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I. 서론 9
1. 연구의 목적 9
2. 연구의 필요성 12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5
4. 초기불교 수행의 마음챙김의 위치와 역할 16
5. 용어정리 24
1) 도박 24
2) 중독의 정의 및 유형 25
3) 도박중독 관련 주요 표준화 용어 25
II. 도박 중독의 특성 27
1. 도박중독의 사회적인 문제 27
2. 도박중독자의 중독요인과 특성 28
1) 중독요인 28
2) 도박중독자의 심리사회적특성 30
III. 도박중독의 치유과정 34
1. 국내 마음챙김을 활용한 도박중독자 치유관련 연구동향 34
2. 도박중독의 회복 및 유지과정과 치유효과의 기제 36
1) 회복 및 유지과정 36
2) 회복 및 유지과정에서 마음챙김 치유효과의 기제(선행연구 중심) 37
3. 불교경전에 나타난 偸盜心 40
IV. 도박중독자 치유를 위해 심리치유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 43
1. 이완명상(Relaxation Response) 43
2.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47
3.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53
4. DBT(Dialectical Behavior Therapy. 변증법적 행동치료) 59
5. 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62
6. K - MBSR(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65
7. 논의(마음챙김의 심리치유 기제) 70
V. 결론 74
1. 연구결과 요약 74
2. 논의 78
3.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 80
참고문헌 85
Abstract 95
〈그림1〉 국가별 도박중독 유병률 비교(2010년 기준) 13
〈그림2〉 위빠싸나 수행 중 발현하는 심리적 양태 21
본 연구는 이완명상· MBSR· MBCT· ACT· DBT·K - MBSR 프로그램의 根幹을 이루고 있는 초기 불교 마음챙김의 치유기제를 도박중독 치유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도박중독이 우리 사회에 주는 경제, 재정, 고용, 교육, 복지 등 지역사회의 부정적인 영향과 폐해로 인하여 그 파급효과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박중독자를 대상으로 실행한 치유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기존의 도박중독의 연구의 분야는 도박중 독자의 특징 및 사회 심리적 영향에 대한 연구와 도박중독의 실태파악연구 및 도박관련척도의 타당성연구라는 사회정책학적 분야에 편중되어 있었다. 최근 들어 마음챙김을 다양한 중독문제를 해결하거나 재발을 예방하는 기법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2000년 이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러한 최근의 시대적 경향에 부응하여 각종 심신치유프로그램에서 이미 확인되고 검증된 마음챙김의 치유기제를 도박중독자의 사회 심리적 특징과 비교하여 도박중독 치유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적용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각 심리프로그램에서 활용하고 있는 마음챙김의 치유기제를 도박중독자 회복프로그램에 적용 할 경우, 도박 갈망, 도박증상 및 도박관련인지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논문의 대주제와 소주제와 관련 있는 문헌과 논문 그리고 경전을 비교하거나 분석하고 직접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도박 갈망, 도박증상 및 도박 관련인지 등에 마음챙김의 치유기제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마음챙김의 기제와 도박중독의 기제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박중독의 사회심리학적인 특성으로 돈을 딸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승률을 스스로가 조작할 수 있다는 인지적인 왜곡은 이완명상 중 만트라기법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을, MBCT의 건포도 먹기 명상과 바디스캔법을, DBT의 생각을 감정과 신체감각과 분리하는 법을, K - MBSR의 정좌·호흡명상을 통한 무상· 고· 무아의 수련기법을 적용한다면 인지적 왜곡 극복에 유효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도박중독의 특성으로 자긍심결여, 주도적 인생태도 결여, 도박동기(사교동기, 돈 추구동기, 긴장해소동기, 유희동기, 흥분과 스릴, 여가시간 활용), 고민과 우울 등 부정적정서 해소는 각 심신치유프로그램에서 활용하고 있는 정좌명상· 하타요가 · 대인관계기술 · 고통감내기술 · 감정조절기술 · 심리적 유연성 배양기술 · 도박으로 인한 유쾌한 또는 불쾌한 사건일지 작성 프로그램들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에 대한 것은 〈표5〉 에서 설명하였다. 위와 같은 각종심리치유프로그램에서 작용하고 있는 마음챙김의 치유기제는 탈동일시 · 노출효과 · 비판적인 수용적자기관찰· 행동양식에서 존재양식으로 전환 · 탈자동화 등으로 함축하여 말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도박중독의 사회 심리적 특징과 마음챙김을 활용한 도박중독회복 프로그램이 효과 및 치유기제를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마음챙김 수련이 도박중독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향후 초기 불교의 수행법의 핵심인 마음챙김을 근간으로 한 효율적인 도박중독 회복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였다. 둘째, 도박중독 회복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있어 여러 마음챙김 치유기제 중에 어떤 부분을 도박중독 회복기제에 비추어 집중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도박중독의 원인과 유형이 다양하고 그 치료법 또한 매우 다양 하지만, 그에 걸 맞는 치유 방법이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필요성이 인식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 연구한 각종 심신치유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마음챙김의 치유기제의 공통점은 불교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모든 심신치유 프로그램의 근저에는 탐, 진, 치 삼독심을 고통과 집착의 근원으로 보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상의 무상함을 이해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