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序論 10
II. 正祖代 宮中畵員制度의 변화 27
1. 正祖代 圖畵署와 差備待令畵員 28
1) 正祖 이전의 畵員制度 변천과 正祖의 圖畵署 개혁 28
2) 정조대 도화서와 차비대령화원제의 제도 비교 46
2. 정조대 차비대령화원의 업무와 운영 58
1) 차비대령화원의 업무 58
2) 차비대령화원의 세대 분석 72
3) 차비대령화원의 실상과 한계 88
III. 정조대 御眞과 臣下 肖像 94
1. 어진의 제작과 眞殿의 운영 94
1) 정조 이전의 전통-숙종·영조 연간을 중심으로 94
2) 영조 어진의 처리와 모사 시도 106
3) 正祖 御眞의 제작과 봉안 121
2. 臣下 肖像의 閱覽과 製作 138
1) 正祖의 御眞 圖寫時 제작된 臣下 肖像 138
2) 正祖가 下賜한 臣下 肖像과 畵像讚: 天理大學校圖書館 소장 《肖像畵帖》 145
IV. 正祖代 前期 宮中行事圖와 世子의 위상 강화(1783-1785) 166
1. 文孝世子 誕生과 思悼世子 尊號追上: 〈陳賀圖〉(1783) 167
1) 1783년 思悼世子의 尊號追上과 陳賀禮 169
2) 陳賀禮의 의례와 재현 175
3) 官衙 배경의 의미 177
4) 制作과 分給 방식 179
2. 文孝世子의 元子 추대: 〈文孝世子輔養廳契屛〉(1784) 183
1) 文孝世子 誕生時 정국 동향 184
2) 元子 輔養官의 임명과 相見禮의 진행 187
3) 序文과 聯詩를 통해서 본 제작 동기 192
4) 輔養官 相見禮의 의례와 재현 196
5) 非儀禮的 배경의 역할 201
3. 文孝世子의 冊封: 〈文孝世子冊禮契屛〉(1784) 207
1) 正祖代 侍講院 위상 강화 208
2) 座目과 제작 주체 분석 210
3) 〈仁政殿宣冊圖〉와 宣冊儀 214
4) 〈重熙堂受冊圖〉와 受冊儀 220
4. 東宮에서의 親臨都政: 〈乙巳親政契屛〉(1785) 227
1) 正祖 이전의 親政契屛 傳統 227
2) 正祖代 人事 制度의 변화 236
3) 座目과 제작주체 분석 240
4) 行禮 장면과 親臨都政 243
5) 昌德宮 重熙堂과 世子 248
V. 正祖代 後期 宮中行事圖와 《華城園幸圖屛》(1796) 258
1. 華城 園幸 관련 기록과 시각매체 259
1) 『景慕宮儀軌』(1783)·『顯隆園園所都監儀軌』(1789) 259
2) 『園幸乙卯整理儀軌』(1796) 270
3) 『華城城役儀軌』(1800) 282
2. 《華城園幸圖屛》의 諸問題 296
1) 《華城園幸圖屛》의 명칭 296
2) 制作機關과 畵員 298
3) 分給과 受容 305
4) 《華城園幸圖屛》 異本 비교 312
3. 《華城園幸圖屛》의 내용과 의미 317
1) 全體 구성과 의미 317
2) 宴享圖 전통과 혁신- 〈奉壽堂進饌圖〉와 〈洛南軒養老宴圖〉 326
3) 軍事的 의례와 공간- 〈西將臺夜操圖〉 350
4) 行次의 상징적 의미- 〈還御行列圖〉 357
5) 遠近法과 과학적 사실주의- 〈漢江舟橋還御圖〉 370
VI. 결론 381
참고문헌 387
Abstract 481
도 1. 작자미상, 〈蔡濟恭 65세상〉, 1784년 424
도 2. 李命基, 〈채제공 72세상〉, 草本, 1791년 424
도 3. 이명기(추정), 〈채제공 72세상〉, 1791년(추정) 424
도 4. 이명기, 〈채제공 73세상〉, 1792년,견본채색 424
도 5-1. 《肖像畵帖 (正祖御製近臣帖)》 18세기말~19세기 425
도 5-2. 《초상화첩》, 〈吳載純〉. 425
도 5-3. 《초상화첩》, 〈兪彦鎬〉. 425
도 5-4. 《초상화첩》, 〈李在協〉. 426
도 5-5. 《초상화첩》, 〈金致仁〉. 426
도 5-6. 《초상화첩》, 〈洪樂性〉. 426
도 5-7. 《초상화첩》, 〈徐命善〉. 427
도 5-8. 《초상화첩》, 〈趙暾〉. 427
도 5-9. 《초상화첩》, 〈李福源〉. 427
도 5-10. 《초상화첩》, 〈鄭存謙〉. 427
도 5-11. 《초상화첩》, 〈김치인〉(부분). 427
도 5-12. 《초상화첩》, 〈채제공〉(부분). 428
도 5-13. 《초상화첩》, 〈鄭民始〉(부분). 428
도 6. 이명기〈유언호 상〉1787년 425
도 7. 이명기〈김치인 72세상〉1787년 426
도 8. 이명기(추정), 〈채제공 70세상〉, 1789년 428
도 9. 〈陳賀圖〉1783년 429
도 9-1. 〈진하도〉, 행사장면 부분 430
도 9-2. 〈진하도〉, 諭書와 銀印,閣臣 부분 430
도 9-3. 〈진하도〉, 摛文院 부분 430
도 9-4. 〈진하도〉, 寶慶堂 부분 431
도 10. 〈仁政殿正至誕日朝賀圖〉, 『國朝續五禮儀 序例』. 429
도 11. 〈正衙朝會之圖〉, 1778년 429
도 11-1. 〈정아조회지도〉어 좌 부분. 437
도 12. 정조의 銀印. 430
도 13. 寶慶堂 현액. 431
도 14. 〈文孝世子輔養廳稧屛〉, 1784년 431
도 14-1. 〈문효세자보양청계병〉大臣 부분(4첩) 432
도 14-2. 〈문효세자보양청계병〉風俗 장면(6첩) 432
도 14-3. 〈문효세자보양청계병〉序文 부분(1첩) 432
도 14-4. 〈문효세자보양청계병〉大恩院 내부(4첩) 432
도 14-5. 〈문효세자보양청계병〉(2~6첩) 434
도 14-6. 〈문효세자보양청계병〉(2~6첩)대은원 전정표시 434
도 14-7. 〈문효세자보양청계병〉(6첩) 435
도 14-8. 〈문효세자보양청계병〉(2첩) 435
도 15. 《王世子入學圖帖》, 〈世子入學儀〉, 1817년 433
도 16. 《受敎圖帖》, 〈世子降階拜師傅賓客圖〉, 1817년 433
도 17-1. 〈東闕圖〉, 1828년 435
도 17-2. 〈동궐도〉, 중희당 부분 444
도 18-1. 《文孝世子冊禮稧屛》, 1784년 436
도 18-2. 《문효세자책례계병》, 〈受冊圖〉부분 436
도 18-3. 《문효세자책례계병》, 〈선책도〉仁政殿 내부 437
도 18-4. 《문효세자책례계병》, 〈선책도〉, 正使와 副使부분 437
도 18-5. 《문효세자책례계병》, 〈선책도〉, 謝箋부분 437
도 18-6. 《문효세자책례계병》, 〈수책도〉, 重熙堂내부 438
도 18-7. 《문효세자책례계병》, 〈수책도〉, 正使와 副使 부분 438
도 18-8. 《문효세자책례계병》, 〈수책도〉, 祗迎位부분 438
도 18-9. 《문효세자책례계병》, 〈수책도〉, 輿와 輦부분 439
도 18-10. 《문효세자책례계병》, 〈선책도〉, 輿와 輦부분 439
도 19. 〈乙巳親政契屛〉1785년 439
도 19-1. 〈을사친정계병〉, 어좌 부분 443
도 19-2. 〈을사친정계병〉, 시위 부분 443
도 19-3. 〈을사친정계병〉, 의례 순서 표시 443
도 19-4. 〈을사친정계병〉, 小宙合樓와 貳貳窩 부분 444
도 19-5. 〈을사친정계병〉, 誠正閣과 喜雨樓 부분 444
도 19-6. 〈을사친정계병〉, 風旗 부분 445
도 19-7. 〈을사친정계병〉, 2첩~3첩 445
도 20. 《(肅宗辛未)親政契屛》, 1691년 440
도 20-1. 《(숙종신미)친정계병》, 〈흥정당친정도〉 441
도 20-2. 《(숙종신미)친정계병》, 〈흥정당선온도〉 441
도 21. 《(景宗辛丑)親政契屛》 1721년 440
도 21-1. 《(경종신축)친정계병》, 〈진수당친정도〉 441
도 22. 《(英祖戊申)親政契帖》, 1728년 441
도 23. 《(英祖甲寅)親政契帖》 1734년 442
도 24. 《(英祖)乙卯親政後宣醞稧屛》 1735년 442
도 24-1. 《(영조)을묘친정후선온계병》, 선온 장면 442
도 25-1. 『(莊獻世子)上諡封園都監儀軌』(규13337),1776년 446
도 25-2. 『(장헌세자)상시봉원도감의궤』, 배안상 부분 446
도 25-3. 『(장헌세자)상시봉원도감의궤』, 죽책 부분 446
도 26-1. 『宣祖懿仁王后仁穆王后尊崇都監儀軌』(규14899), 1604년 446
도 26-2. 『선조의인왕후인목왕후존숭도감의궤』, 배안상 부분 446
도 26-3. 『선조의인왕후인목왕후존숭도감의궤』, 죽책 부분 446
도 27-1. 『景慕宮改建都監儀軌』(규13633),1783년,'景慕宮改建圖' 447
도 27-2. 『경모궁개건도감의궤』, "神欌圖說" 447
도 27-3. 『경모궁개건도감의궤』, "神榻圖說" 447
도 28-1. 『宗廟儀軌』(규14220),1706년, "洗" 447
도 28-2. 『종묘의궤』, "犧尊" 448
도 28-3. 『종묘의궤』, "象尊" 448
도 28-4. 『종묘의궤』, "鳥彛" 448
도 28-5. 『종묘의궤』, "編鐘" 449
도 29-1. 『社稷署儀軌』(규14229), 1804년, "세" 447
도 29-2. 『사직서의궤』, "상준" 448
도 29-3. 『사직서의궤』, "편종" 449
도 29-4. 『경모궁의궤』, "편종"-"鐘" 449
도 30-1. 『景慕宮儀軌』, "세" 447
도 30-2. 『경모궁의궤』, "희준" 448
도 30-3. 『경모궁의궤』, "상준" 448
도 30-4. 『경모궁의궤』, "조이" 449
도 30-5. 『경모궁의궤』, "편종" 449
도 30-6. 『경모궁의궤』, "편종"-"종" 449
도 31-1. 『宮園儀』(규2035), 1780년,"희준"(내용없음) 415
도 31-2. 『궁원의』, "상준"(내용없음) 415
도 31-3. 『궁원의』, "편종"(내용없음) 415
도 31-4. 『궁원의』, "편종"-"종"(내용없음) 415
도 32-1. 『(莊獻世子)永祐園遷奉都監儀軌』(규13624), 1789년,반차도 450
도 32-2. 『영우원천봉도감의궤』, "香大廳" 450
도 33-1. 『仁祖長陵遷陵都監儀軌』(규14597), 1732년,반차도 450
도 33-2. 『인조장릉천릉도감의궤』, "靑繡紅繡鞍馬" 450
도 34-1.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규13586), 1776년,"四獸圖" 450
도 34-2. 『영조원릉산릉도감의궤』, "甕家圖" 451
도 35-1. 『(莊獻世子)顯隆園園所都監儀軌』(규13628), 1789년 사수도 450
도 35-2. 『장헌세자 현륭원원소도감의궤』, "園上閣" 451
도 35-3. 『장헌세자 현륭원원소도감의궤』, "隅屛風石" 451
도 35-4. 『장헌세자 현륭원원소도감의궤』, "別造轆轤" 451
도 35-5. 『장헌세자 현륭원원소도감의궤』, "文人石" 452
도 35-6. 『장헌세자 현륭원원소도감의궤』, "武人石" 452
도 36-1. 『國朝喪禮補編』(규3920), 1752년,"欄干石" 451
도 36-2. 『國朝喪禮補編』, "문인석" 452
도 36-3. 『국조상례보편』, "무인석" 452
도 36-4. 『국조상례보편』, "陵上閣" 452
도 37. 『大射禮儀軌』(규14941), 1743년, 〈御射圖〉 453
도 38. 《大射禮圖券》, 1743년 453
도 39-1. 『園幸乙卯整理儀軌』(규14532), 1796년, 〈奉壽堂進饌圖〉 453
도 39-2. 『원행을묘정리의궤』, 〈駕轎圖〉 454
도 39-3. 『원행을묘정리의궤』 수라가자 부분 475
도 39-3. 『원행을묘정리의궤』, 〈班次圖〉 454
도 39-4. 『원행을묘정리의궤』, 반차도 479
도 40-1. 〈華城園幸班次圖〉 454
도 40-2. 〈화성원행반차도〉 474
도 41-1. 〈華城園幸班次圖〉, 1795년 455
도 41-2. 〈화성원행반차도〉, 의장 부분 474
도 42-1. 『園幸整理儀軌圖』, 19세기 455
도 42-2. 『원행정리의궤도』, 〈봉수당진찬도〉 455
도 43-1. 『華城城役儀軌』, 〈華城全圖〉 456
도 43-2. 『화성성역의궤』, 〈迎華亭圖〉 456
도 43-3. 『화성성역의궤』, 〈華西門內圖〉 456
도 43-4. 『화성성역의궤』, 〈長安門外圖〉 456
도 43-5. 『화성성역의궤』, 〈西北空心墩內圖〉 457
도 43-6. 『화성성역의궤』, 〈西北空心墩外圖〉 457
도 43-7. 『화성성역의궤』, 〈西北空心墩裏圖〉 457
도 43-8. 『화성성역의궤』, 〈擧重機 全圖〉 458
도 43-9. 『화성성역의궤』, 〈거중기 分圖〉 458
도 43-10. 『화성성역의궤』, "游衡車-輪" 459
도 44. 『武備誌』, 1621년, 〈城制圖〉 457
도 45-1. 『奇器圖說』, 1627년, 〈起重第十四圖〉 458
도 45-2. 『奇器圖說』, 〈起重第十一圖〉부분 460
도 46-1. Faustus Verantius, Machinae novae, 1615년 458
도 46-2. Faustus Verantius, Machinae novae(1615) 460
도 47. 『與猶堂全書』, 〈起重圖說〉 459
도 48. 『泰西水法』, 玉衡 459
도 49. 음운기호(17세기 음운기호 음차대조표) 460
도 50. 〈봉수당진찬도〉, 1796년(추정) 461
도 50-1. 〈봉수당진찬도〉, 봉수당진찬도, 어좌 부분 461
도 50-2. 〈봉수당진찬도〉, 봉수당 월대 부분 466
도 50-3. 〈봉수당진찬도〉, 봉수당 전정 부분 466
도 50-4. 〈봉수당진찬도〉, 백관 시위 부분 467
도 50-5. 〈봉수당진찬도〉, 헌선 부분 467
도 50-6. 〈봉수당진찬도〉, 향발무 부분 467
도 50-7. 〈봉수당진찬도〉, 아박무 부분 467
도 50-8. 〈봉수당진찬도〉, 쌍무고 부분 468
도 50-9. 〈봉수당진찬도〉, 선유락 부분 468
도 50-10. 〈봉수당진찬도〉, 헌선 장면 468
도 50-11. 〈봉수당진찬도〉, 포구문과 지당판 부분 468
도 50-12. 〈봉수당진찬도〉, 검과 전립 부분 469
도 51. 〈還御行列圖〉, 1796년(추정) 461
도 51-1. 〈환어행렬도〉, 의장 부분 474
도 51-2. 〈환어행렬도〉, 혜경궁의 가마 부분 474
도 51-3. 〈환어행렬도〉, 행렬 부분 475
도 51-4. 〈환어행렬도〉, 혜경궁의 가마와 수라가자 475
도 51-5. 〈환어행렬도〉, 蛟龍旗와 纛旗 475
도 51-6. 〈환어행렬도〉, 시흥행궁 476
도 51-7. 〈환어행렬도〉, "관광민인" 476
도 51-8. 〈환어행렬도〉, 청록 설채 부분 477
도 52. 〈得中亭御射圖〉, 18세기말~19세기초 461
도 53-1. 《화성원행도병》, 〈봉수당진찬도〉, 19세기 462
도 53-2.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472
도 54. 《화성원행도병》, 〈西將臺夜操圖〉, 19세기 462
도 55-1. 《화성원행도병》, 〈득중정어사도〉, 18세기말~19세기초 462
도 55-2.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471
도 55-3.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창룡문부분 472
도 55-4.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남공심돈 473
도 55-5.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청록설채부분 477
도 55-6.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之 원근" 478
도 55-7.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초가집과 시위 부분 478
도 55-8.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원경 부분 479
도 56-1. 《화성원행도병》, 〈득중정어사도〉, 18세기말~19세기초,8첩 병풍... 462
도 56-2. 《화성원행도병》, 〈봉수당진찬도〉 463
도 56-3. 《화성원행도병》, 〈洛南軒養老宴圖〉 463
도 56-4. 《화성원행도병》, 〈華城聖廟展拜圖〉 464
도 56-5. 《화성원행도병》, 〈洛南軒放榜圖〉 464
도 56-6.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464
도 56-7. 《화성원행도병》, 〈득중정어사도〉 464
도 56-8.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465
도 56-9. 《화성원행도병》, 〈漢江舟橋還御圖〉 465
도 56-10. 《화성원행도병》, 〈낙남헌양로연도〉, 낙남헌 470
도 56-11. 《화성원행도병》, 〈낙남헌양로연도〉, 화성 노인부분 470
도 56-12. 《화성원행도병》, 〈낙남헌양로연도〉, 장외 노인부분 470
도 56-13. 《화성원행도병》, 〈낙남헌양로연도〉, "관광민인" 부분 470
도 56-14.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국립중앙박물관 471
도 56-15.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창룡문부분 472
도 56-16.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남공심돈부분 473
도 56-17.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서장대 부분 473
도 56-18.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上言부분 476
도 56-19.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청록설채 부분 477
도 56-20. 《화성원행도병》, 〈한강주교환어도〉, 근경의 배 부분 480
도 56-21. 《화성원행도병》, 〈한강주교환어도〉, 용양봉저정 부분 480
도 56-22. 《화성원행도병》, 〈한강주교환어도〉, "관광민인"부분 480
도 57-1. 《화성원행도병》, 〈득중정어사도〉, 18세기말~19세기초 463
도 57-2. 《화성원행도병》, 〈봉수당진찬도〉 463
도 57-3. 《화성원행도병》, 〈환어행렬도〉, 청록설채 부분 477
도 58. 〈進宴圖帖〉, 1706년(1712년 後序) 465
도 59. 〈崇政殿進宴圖〉, 1710년 465
도 60. 〈崇政殿甲子進宴圖〉, 그림부분,1744년 466
도 61. 〈英祖丙戌進宴圖〉 466
도 62. 《耆社契帖》, 〈景賢堂錫宴圖〉, 1719년 469
도 63. 〈親臨宣醞圖〉, 1765년경 469
도 64. 〈英祖乙酉耆老宴·景賢堂授爵宴圖〉, 1765년 469
도 65. 《화성원행도병》, 〈서장대야조도〉 473
도 66. 《北塞宣恩圖》, 〈吉州科試圖〉, 1664년 476
도 67. 〈中廟祖書筵官賜宴圖〉, 1535년 476
도 68. 《擁正十二月行樂圖》 중〈四月行樂〉, 軸 清(18세기) 478
도 68-1. 《擁正十二月行樂圖》 중〈四月行樂〉원경부분 479
도 69. 郎世寧,《平定西域回部得勝圖》, 제1엽,1769 479
도 70. 〈太平城市圖〉, 18세기말-19세기초 48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朝鮮王朝實錄. | 미소장 |
2 | 承政院日記. | 미소장 |
3 | 日省錄. | 미소장 |
4 | 內閣日曆. | 미소장 |
5 | 經國大典, 1474년. | 미소장 |
6 | 續大典, 1746년. | 미소장 |
7 | 大典通編, 1785년. | 미소장 |
8 | 六典條例, 1866년. | 미소장 |
9 | 國朝五禮儀, 1474년. | 미소장 |
10 | 國朝續五禮儀, 1744년. | 미소장 |
11 | 國朝喪禮補編, 1758년. | 미소장 |
12 | 春官通考, 1788년. | 미소장 |
13 | (太祖)影幀模寫都監儀軌, 1688년. | 미소장 |
14 | 宗廟儀軌, 1706년. | 미소장 |
15 | (世祖)影幀模寫都監儀軌, 1735년. | 미소장 |
16 | 宗廟儀軌續錄, 1741년. | 미소장 |
17 | 『大射禮儀軌』, 1743년. | 미소장 |
18 |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 1776년. | 미소장 |
19 | 社稷署儀軌, 1783년. | 미소장 |
20 | 景慕宮儀軌, 1784년. | 미소장 |
21 | (莊獻世子)永祐園遷奉都監儀軌, 1789년. | 미소장 |
22 | (莊獻世子)顯隆園園所都監儀軌, 1789년. | 미소장 |
23 | 園幸乙卯整理儀軌, 1796년. | 미소장 |
24 | 華城城役儀軌, 1801년. | 미소장 |
25 | 武備誌, 1621년. | 미소장 |
26 | 奇器圖說, 1627년. | 미소장 |
27 | 宮園儀, 1777년. | 미소장 |
28 | 宮闕志, 19 세기. | 미소장 |
29 | 弘齋全書, 正祖(1752-1800). | 미소장 |
30 | 與猶堂全書, 丁若鏞(1762-1836). | 미소장 |
31 | 樊巖集, 蔡濟恭(1720-1799). | 미소장 |
32 | 金陵集, 南公轍(1760-1840). | 미소장 |
33 | 「진경시대 초상화 양식의 이념적 기반」, 진경시대 2, 돌베개, 1998, pp. 261~317. | 미소장 |
34 | 「朝鮮時代 後期 畵員畵의 視覺的 事實性」, 『澗松文化』 49, 1995. | 미소장 |
35 | 奎章閣 差備待令畵員 硏究 ![]() |
미소장 |
36 | 조선 후기 궁중화원 연구-규장각의 자비대령화원을 중심으로, 돌베개, 2001. | 미소장 |
37 | 조선시대 초상화의 圖像과 心像 : 조선 중후기 선비 초상화의 修己的 의미를 통해서 본 再現的 圖像의 實存的 의미와 기능에 대한 성찰 | 소장 |
38 | 「조선후기 '민화'개념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小考: 조선후기 궁중책가도」, 美術資料 66, 2001, pp. 79-95. | 미소장 |
39 | 朝鮮 中期의 宋言愼 影幀 | 소장 |
40 | 털과 눈 : 조선시대 초상화의 祭儀的 命題와 造形的 課題 | 소장 |
41 | 「조선의 국왕과 궁중화원」, 이성미 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pp. 237-288. | 미소장 |
42 |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 제도」, 화원-朝鮮畵員大展, 삼성미술관 Leeum, 2012, pp. 261-282. | 미소장 |
43 | 「정조대 화성의 방어체제」. 한국학보 82, 1996, pp. 197-230. | 미소장 |
44 | 英·正祖代의 咸鏡道 地域開發과 位相强化 | 소장 |
45 |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2000, 경세원. | 미소장 |
46 | 「19세기 京華士族 洪敬謨의 생애와 사상」, 韓國史硏究 112, 2011, pp. 165-195. | 미소장 |
47 | 조선시대 진전 탄신다례 연구 | 소장 |
48 | 「규장각의 도서편찬 간인 및 유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 미소장 |
49 | Daesarye`s operation and the management in the Chosun Dynasty - Centering around 『Daesaryeeukue』 ![]() |
미소장 |
50 | 고려대학교 박물관,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고려대학교박물관, 2001. | 미소장 |
51 | 국립고궁박물관, 궁궐의 장식그림, 국립고궁박물관, 2009. | 미소장 |
52 |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御寶, 국립고궁박물관, 2010. | 미소장 |
5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2. | 미소장 |
54 |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서화, 국립고궁박물관, 2012. | 미소장 |
5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2-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 미소장 |
56 | 국립문화재연구소, 신선원전: 최후의 진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미소장 |
57 |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 -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005. | 미소장 |
58 |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 -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005. | 미소장 |
59 | 국립중앙박물관, 18세기의 한국미술, 국립중앙박물관, 1993. | 미소장 |
60 | 국립중앙박물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 미소장 |
61 | 국립중앙박물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 미소장 |
62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을 일으킨 땅, 함흥, 2010, 국립중앙박물관. | 미소장 |
63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I~III, 국립중앙박물관, 2011~2012. | 미소장 |
64 | 「고종 황제의 초상: 근대 시각매체의 유입과 어진(御眞)의 변용 과정」,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65 | A Study on the Portrait Photographs of Emperor Gojong | 소장 |
66 | Nokhundogam Uigwe and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Mid-Joseon period | 소장 |
67 | 「朝鮮中期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68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 1~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3~2005. | 미소장 |
69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왕실자료 해제·해설집 1~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5. | 미소장 |
70 | 朝鮮 正祖朝의 昌德宮 建物構成의 變化 | 소장 |
71 | 김동욱,「화성성역에 사용된 자재운반기구에 대해서」, 『근대를 향한 꿈』, 경기도박물관, 1998, pp. 111-120. | 미소장 |
72 | 『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 화성』, 돌베개, 2002. | 미소장 |
73 | 朝鮮王朝時代의 圖畵署와 畵員 ![]() |
미소장 |
74 | 차비대령화원의 신분과 세전 및 혼인 | 소장 |
75 | 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미소장 |
76 | 「18세기 후반 正祖 陵幸의 意義」, 『한국학보』 23-3 통권88, 1997, pp. 37-65. | 미소장 |
77 | 徐命膺의 생애와 규장각 활동 | 소장 |
78 | 正祖의 華城 경영과 문헌 배포 | 소장 |
79 | 「惠慶宮 부부의 尊崇에 관한 국가전례」, 박용옥 엮음, 여성: 역사와 현재, 국학자료원, 2001, pp. 93-125. | 미소장 |
80 |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미소장 |
81 |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 미소장 |
82 | 「1719년의 숙종의 기로연 행사」, 史學志 40, 단국사학회, 2008, pp. 25-47. | 미소장 |
83 | 「정조시대의 규장각」, 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pp. 1-41. | 미소장 |
84 |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편찬 양상 | 소장 |
85 | 홍경모가 기록한 정조의 화성 행차 | 소장 |
86 | 「儀軌事目」에 나타나는 의궤의 제작 과정 | 소장 |
87 | 김문식, 「1795년 정조의 화성 행차와 그 기록」, 『화성능행도병』, 용인대학교박물관, 2011. | 미소장 |
88 | 「관암 홍경모의 華城 관련 기록」, 이종묵 외,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경인문화사, 2011, pp. 321-370. | 미소장 |
89 | 18세기 단종 유적의 정비와 <越中圖> | 소장 |
90 | 영조어제첩의 체제와 특성 | 소장 |
91 | 「조선 왕실의 의례와 국조상례보편」, 국립문화재연구소편, (국역)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pp. 21-33. | 미소장 |
92 | 正祖代의 文班職 運營과 政治構造의 變化 | 소장 |
93 | 조선후기 탕평정치 연구, 지식산업사, 1997, pp. 291-319. | 미소장 |
94 | 朝鮮時代 御眞에 관한 硏究 : 의궤를 중심으로 | 소장 |
95 | 조선시대 방한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96 | 「1872년 강원도지도의 회화적 표현 방식:「양양읍지도」를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 4-1, 2012, pp. 57-74. | 미소장 |
97 | 조선시대 眞殿 의례의 변화 | 소장 |
98 | 조선시대 眞殿 의례의 변화 | 소장 |
99 | 조선초기의「제조」제에 관한 연구 | 소장 |
100 | 歷代 帝王의 故事를 그린 조선후기 왕실 鑑戒畵 | 소장 |
101 | The Reforms of the Sacrificial Rites in the Original Palaces(本宮) in Hamheung(咸興) and Yeongheung(永興) in the Late Joseon Period | 소장 |
102 | 「李朝의 畵員」, 鄕土 서울 11, 1961. | 미소장 |
103 | 조선후기 세화 연구 | 소장 |
104 | 「정조의 회화관」, 이성미 외 엮음,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pp. 291-321. | 미소장 |
105 | 「조선시대 궁중연향 고찰-진연을 중심으로」,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6, 2002, pp. 143-171. | 미소장 |
106 | 조선후기 內宴 儀禮의 변천 | 소장 |
107 | 「正祖代 壯勇衛 설치의 政治的 推移 正祖代 壯勇衛 설치의 政治的 推移」, 史學硏究 78, 2005, pp. 147-188. | 미소장 |
108 | 18세기 畵員의 활동과 畵員畵의 변화 | 소장 |
109 | 김지영, 「1789년 현륭원 천원과 현륭원원소도감의궤 」, (국역)현륭원원소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3a, pp. 21-32. | 미소장 |
110 | 김지영, 「숙종대 진전제도의 정비와 《(태조)영정모사도감의궤》,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 1, 서울대학교규장각, 2003b, pp. 627-637. | 미소장 |
111 | 「1713年(肅宗 39) 御眞 圖寫와 <御容圖寫都監儀軌>」.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2,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4a, pp. 527~541. | 미소장 |
112 | 肅宗·英祖代 御眞圖寫와 奉安處所 확대에 대한 고찰 | 소장 |
113 | 김지영, 「英祖代 眞殿政策과 <影幀模寫都監儀軌>」,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2, 서울대규장각, 2004c, pp. 542-558. | 미소장 |
114 | 「18세기 후반 國家典禮의 정비와 《春官通考》」, 한국학보 30-1, 2004d, pp. 95-131. | 미소장 |
115 | 「朝鮮後期 국왕 行次에 대한 연구-儀軌班次圖와 擧動記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a. | 미소장 |
116 | 김지영, 「조선후기 影幀 模寫와 眞殿 營建에 대한 고찰」,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b, pp. 195-216. | 미소장 |
117 | 김지영, 「1837年(憲宗3) 濬源殿 太祖影幀 파괴사건과 <影幀模寫都監儀軌>」,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c, pp. 522~533. | 미소장 |
118 | 김진영,「1836년(헌종2) 宗廟 및 永禧殿 增修와 《宗廟永禧殿增修都監儀軌》」.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pp. 505~521. | 미소장 |
119 | 김진영, 「조선후기 宗廟 및 永禧殿의 증수와 관련의궤」.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pp. 149-168. | 미소장 |
120 | 조선 전기 太祖眞殿 儀禮의 정비 과정 | 소장 |
121 | Cranes(Grus japonensis) Adopted as a Traditional Factor in Landscaping and Gardening Culture | 소장 |
122 | 乾隆二十九年二月 日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 慶基殿 太祖影幀의 修補 | 소장 |
123 | 김홍남, 「18세기의 궁중회화: 유교국가의 실현을 향하여」, 18世紀의 韓國美術: 自我發見과 獨創性, 국립중앙박물관, 1993. | 미소장 |
124 | 朝鮮時代 ‘宮牡丹屛’硏究 | 소장 |
125 | 김홍남, 「궁화: 궁궐 속의 "민화(民畵)"」, 민화와 장식병풍, 국립민속박물관, 2006, pp. 334-347. | 미소장 |
126 | 「조선시대 '일월오봉병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 「'일월오봉병과 정도전」, 중국한국미술사, 학고재, 2009, pp. 440-457, 458-467. | 미소장 |
127 | 김홍남, 「나의 학문 나의 실천-편린들」, 동아시아의 궁중미술, 한국미술연구소, 2013, pp. 8-19. | 미소장 |
128 | 김홍남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동아시아의 궁중미술, 한국미술연구소, 2013. | 미소장 |
129 | 조선시대 영정의 모사본 제작에 관한 연구 | 소장 |
130 | 『의궤(儀軌)』를 통해 본 조선후기 도감(都監)의 구조와 그 특성 | 소장 |
131 | The Acceptance of Western Science and Technnique during the Reign of King Chongjo(正祖) and King Chongjo s Policy on SeoHak(西學) | 소장 |
132 | 조선시대 오봉병 연구 : 흉례도감의궤기록을 중심으로 | 소장 |
133 | 조선시대 흉례도감의궤에 나타난 오봉병 연구 | 소장 |
134 | 이하응초상 -금관조복본- 채색안료의 과학적 연구 | 소장 |
135 | 조선후기의 水車 | 소장 |
136 | 문화재관리국, 宮中遺物圖錄,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6. | 미소장 |
137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미소장 |
138 | 「<文孝世子 輔養廳契屛>-1784년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행사」, 미술자료 80, 2011, pp. 97-112. | 미소장 |
139 | 민길홍,「1795년 정조의 화성행차와 《화성원행도병》 제작 양상」, 정조, 8일간의 수원행차, 수원화성박물관, 2015, pp. 290-307 참조. | 미소장 |
140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명성황후발인반차도> 연구 | 소장 |
141 | 박광성, 「정조의 현륭원행과 시흥」, 『시흥군지』, 시흥군지편찬위원회, 1983, pp. 283-323. | 미소장 |
142 | 탕평론과 정국의 변화 | 소장 |
143 | 정조년간 時僻당쟁론에 대한 재검토 | 소장 |
144 | 조선후기 「탕평」 연구 | 소장 |
145 | 英·正祖代 佛敎版畵의 特徵과 樣式 | 소장 |
146 | 朝鮮朝의 儀軌 : 파리所臧本과 國內所藏本의 書誌學的 比較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5. | 미소장 |
147 | 「오라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十長生屛風) 연구 :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王世子痘候平復陳賀稧屛)의 일례」, 古宮文化2, 2008, pp. 10-38. | 미소장 |
148 | A Study of Gaeseong Kim Family Painters in Late Joseon Period | 소장 |
149 | 조선후기 왕실 가례용 병풍 연구 | 소장 |
150 | An Iconographical Consideration of 8 pancel screen presented for the Prince Royal by a T'an Gang-Gathering ![]() |
미소장 |
151 | 正廟朝<왕세자책례계병>;신선도계병의 한가지 예 | 소장 |
152 | 朝鮮時代 王世子冊禮儀軌 班次圖 硏究 | 소장 |
153 | 朝鮮 後期 進饌儀軌와 進饌儀軌圖;己丑年 「進饌儀軌」를 중심으로 | 소장 |
154 | 「조선 후기 진찬의궤와 진찬의궤도」, 민족음악악학 17, 1995, pp. 175-209. | 미소장 |
155 | 박은순,「朝鮮後期 深陽館圖 畵帖과 西洋畵法」, 美術資料 58, 1997, pp. 25-55. | 미소장 |
156 | The Portrait Painting of Yi Hyeon-bo (1467-1555) and Its Copy Mak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소장 |
157 | 19세기 文人影幀의 圖像과 樣式 : 李漢喆의 <李裕元像>을 중심으로 | 소장 |
158 | 조선후기 의궤의 판화도식 | 소장 |
159 | 「명분인가 실제인가: 조선 초기 궁중회화의 양상과 기능(1)」,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pp. 132-159. | 미소장 |
160 | 畵員과 宮中繪畵 : 조선 초기 궁중회화의 양상과 기능.2 | 소장 |
161 | 19世紀 繪畵式 郡縣地圖와 地方文化 | 소장 |
162 | 「朝鮮時代 營建儀軌의 建築圖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미소장 |
163 | 「18-19세기 咸鏡道 王室史蹟의 시각화 양상과 의의」, 정신문화연구 35, 2012, pp. 116-155. | 미소장 |
164 | 朝鮮時代 宮中行事圖의 繪畵史的 硏究 ![]() |
미소장 |
165 | 朝鮮時代 宜寧南氏 家傳畵帖 | 소장 |
166 | <水原陵幸圖屛>硏究 | 소장 |
167 | 홍익대학교 박물관 소장 <回婚禮圖屛> ![]() |
미소장 |
168 | 朝鮮時代 冊禮都監儀軌의 繪畵史的 硏究 | 소장 |
169 | 儀軌를 통해서 본 朝鮮時代의 畵員 | 소장 |
170 | 조선시대의 역사화(歷史畵) | 소장 |
171 |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일지사, 2000. | 미소장 |
172 | 박정혜, 「19세기의 궁중연향과 궁중연향도병」, 조선시대 진연·진찬·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pp. 221-267. | 미소장 |
173 | 朝鮮時代 賜궤杖圖帖과 延諡圖帖 | 소장 |
174 | 『華城城役儀軌』의 회화사적 고찰 | 소장 |
175 | 16·17세기의 司馬榜會圖 | 소장 |
176 | 박정혜,「대한제국기 화원 제도의 변모와 화원의 운용」, 근대미술연구, 국립현대미술관, 2004, pp. 88-118. | 미소장 |
177 | 「조선시대 왕세자 교육과 《왕세자입학도첩》」, 『해설 왕세자입학도첩』, 문화재청, 2005. | 미소장 |
178 |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5, pp. 10~52. | 미소장 |
179 | 박정혜, 「광무 연간 국조(國祖) 묘역의 확립과 회화식 지도의 제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pp. 550-573. | 미소장 |
180 | 그림으로 기록한 가문의 역사 : 조선시대 《풍산김씨세전서화첩》 연구 | 소장 |
181 | 藏書閣 소장 일제강점기 儀軌의 미술사적 연구 | 소장 |
182 | <<顯宗丁未溫幸契屛>>과 17세기의 산수화契屛 | 소장 |
183 | 박정혜, 「우학문화재단 소장 《화성능행도병》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시기」, 화성능행도병, 용인대학교박물관, 2011, pp. 64-99. | 미소장 |
184 | 「붓 끝에서 살아난 창덕궁-그림으로 살펴본 궁궐의 이모저모」,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김동욱 외 9인 지음, 창덕궁 깊이 읽기, 글항아리, 2012, pp. 48-103. | 미소장 |
185 | Production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Paintings of Tribute Mission to the Son of Heaven in the Late Joseon Period | 소장 |
186 | 영조대의 잔치 그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미소장 |
187 | 왕과 국가의 회화, 돌베개, 2011. | 미소장 |
188 |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 미소장 |
189 | 조선 궁궐의 그림, 돌베개, 2012. | 미소장 |
190 |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정조와 순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 소장 |
191 | 박효은, 「조선후기 화원의 使行과 회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지6, 2010. | 미소장 |
192 | 「朝鮮初期 圖畵機構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193 | 조선초 畵員 崔逕의 御眞제작과 당상관 제수 | 소장 |
194 | 「부채를 보내며-정조 어찰」, 문헌과 해석. | 미소장 |
195 | LA 카운티 미술관 소장 <戊辰進饌圖屛>에 관한 연구 : 기록 자료와 장식적 표현 | 소장 |
196 | 삼성미술관리움, 화원-朝鮮畵員大展, 삼성미술관 Leeum, 2012. | 미소장 |
197 | 17세기 후반 안동권씨의 기념 회화繪畵와 남인의 정치활동 | 소장 |
198 | 朝鮮時代 '行實圖' 板本 및 板畵에 관한 硏究 | 소장 |
199 | 정조대 음악정책 연구, 태학사, 2007. | 미소장 |
200 |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 소장 |
201 | 朝鮮朝 士林政治 의 權力構造 - 전랑 과 三司 를 中心 으로 - | 소장 |
202 | 「조선조 진풍정에 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 1990. | 미소장 |
203 | <대한제국 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 연구 | 소장 |
204 | 대한제국기의 御眞 제작 | 소장 |
205 | 「英祖代 大射禮의 실시와 『大射禮儀軌』」, 韓國學報 28-1, 2002, pp. 61-90. | 미소장 |
206 | 朝鮮前期 遞兒職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미소장 |
207 | 朝鮮後期 佛畵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 (上) | 소장 |
208 | 「홍경모의 지적과 지적 경향」, 이종묵 외, 관암 홍경모와 19세기학술사, 경인문화사, 2011, pp. 479-483. | 미소장 |
209 | 궁궐 내 원묘건축 연구 | 소장 |
210 | 임오년 가례 왕세자·왕세자빈 복식연구, 2009,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1 |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court banquets in the Joseon dynasty | 소장 |
212 | 조선 후기 궁중연향도 연구 | 소장 |
213 | 「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小考 ![]() |
미소장 |
214 | New Trends of Koran Painting in the Late Chos?n Period ![]() |
미소장 |
215 | 韓國繪畵史 | 소장 |
216 | 高麗 및 朝鮮王朝 의 文人契會 와 契會圖 | 소장 |
217 | 안휘준, 「朝鮮王朝實錄所載 繪畫關係記錄의 性格」, 朝鮮王朝實錄의 繪畫史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pp. 6-12. | 미소장 |
218 | 안휘준, 「한국민화산고], 민화걸작전, 호암미술관,1983. | 미소장 |
219 | 「韓國 肖像畵 槪觀」, 國寶 10, 예경산업사, 1984, pp. 222-219. | 미소장 |
220 | 「朝鮮時代의 畵員」, 韓國文化 9, 1988, pp. 147-178. | 미소장 |
221 | 奎章閣所藏 繪畵의 內容과 性格 | 소장 |
222 | 「韓國의 宮闕圖」, 東闕圖,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1991, pp. 21-62. | 미소장 |
223 | 「한국의 古地圖와 繪畫」, 해동지도 3,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 미소장 |
224 | 안휘준, 「조선 왕조 전반기 화원들의 기여」, 화원-朝鮮畵員大展, 삼성미술관 Leeum, 2012, pp. 238-260. | 미소장 |
225 | 藏書閣所藏繪畫資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미소장 |
226 | 高麗の?院と?師 ![]() |
미소장 |
227 | 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 미소장 |
228 |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 소장 |
229 | <萬古奇觀帖>과 18세기 전반의 畵員 繪畵 | 소장 |
230 | 정조시대 화성 신도시의 건설, 백산서당, 2001. | 미소장 |
231 | 유송옥의 「조선시대 궁중 의궤에 나타난 반차도」, 풍속화, 중앙일보사, 1988, pp. 188-193. | 미소장 |
232 | 추모의 정치성과 재현 : 정조의 단종 사적 정비와 <월중도(越中圖)> | 소장 |
233 | 어제(御製)가 있는 근신(近臣) 초상 : 일본 천리대도서관(天理大圖書館) 소장, 『초상화첩』 1권을 중심으로 | 소장 |
234 | The Portraits of the King and His Courtiers during Jeongjo’s Reign : The Monarch-Subject Relationship Reflected in Portraiture | 소장 |
235 | 조선 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 소장 |
236 | 「정조대 실용적 회화와 <주교도>」,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1. | 미소장 |
237 | The Politics of Clebration ─ A Study of Congratulatory Ceremony Offered to the King(Jinhado, 陳賀圖, National Museum of Korea) | 소장 |
238 | 「정조의 <환어행렬도>」,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태학사, 2013, pp. 373-389. | 미소장 |
239 | 朝鮮時代 記錄畵·實用畵의 類型과 內容 | 소장 |
240 | 유홍준, 「天理大學校 『초상화첩』해제」, 『해외소장 한국문화재-일본소장 4』 v.7, 한국국제교류재단, 1997, pp. 378~390. | 미소장 |
241 | 조선시대 화론연구, 학고재, 1998, pp. 76-81. | 미소장 |
242 | 「조영석과 秦再奚의 <趙榮福肖像>에 대하여」, 京畿道博物館年報3, 1999, pp. 23-47. | 미소장 |
243 | 유홍준, 「헌종의 문예 취미와 서화 컬렉션」, 조선왕실의 인장, 국립고궁박물관, 2006, pp. 202-219. | 미소장 |
244 | 「古版畵의 특성과 미술사적 의의」, 『朝鮮의 古版畵, 한국출판문화주식회사, 1992, pp. 33-43. | 미소장 |
245 |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2008. | 미소장 |
246 | 18세기 국왕의 '문치'사상 연구 : 조종 사적의 재인식과 '계지술사'의 실현 | 소장 |
247 | 정조의 本宮 祭儀 정비와 '中興主' 의식의 강화 | 소장 |
248 | 정조의 세자 책례 시행에 나타난 '군사' 이념 | 소장 |
249 | 숙종 14년 太祖 影幀 模寫의 경위와 政界의 인식 | 소장 |
250 | 朝鮮前期 圖畵署畵員의 硏究 | 소장 |
251 | 「조선시대 계회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 미소장 |
252 | 「藏書閣 所藏 『御眞圖寫事實』의 正祖~哲宗代 御眞圖寫」, 藏書閣11, 2004. 7, pp. 283-336. | 미소장 |
253 | 장서각 소장의 태봉도 3점 | 소장 |
254 | 「조선후기의 왕실 태봉도」,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pp. 325-364. | 미소장 |
255 | 강세황 작 <福川吳夫人 影幀> | 소장 |
256 | 「단종의 애사와 충절의 표상: 《월중도》」, 越中圖,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6, pp. 22-30. | 미소장 |
257 | 「조선시대 왕의 그림취미」, 왕과 국가의 회화, 돌베게, 2011, pp. 162-223. | 미소장 |
258 | 왕의 초상을 그린 화가들」,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pp. 128-215. | 미소장 |
259 | 「조선중·후기 虎圖의 유형과 도상」, 장서각 28, 2012, pp. 192-234. | 미소장 |
260 | 「경주 집경전에 관한 연구」, 경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미소장 |
261 | 「李朝의 圖畵署 雜考」, 朝鮮 美術史 硏究, 서울신문사, 1946. | 미소장 |
262 | 조선왕조의 궁궐건축과 정치 : 세자궁의 변천을 중심으로 | 소장 |
263 | 조선후기 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 소장 |
264 | 御眞圖寫過程에 對한 小考 : 李朝 肅宗朝를 中心으로 | 소장 |
265 | 「哲宗大王御眞 復元에 대한 小考」, 文化財 20,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7, pp. 219~238. | 미소장 |
266 | 한국회화소사, 서문당, 1972, pp. 159-167. | 미소장 |
267 | 園幸定例에 나타난 京水 路程語 硏究 | 소장 |
268 | Court Painting during the Reign of King Yongjo and His Attitude toward Art | 소장 |
269 | 효명세자·헌종대 궁궐 영건의 정치사적 의의 | 소장 |
270 | 「선종의 서화애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pp. 113-151. | 미소장 |
271 | 이성미, 「장서각소장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의 미술사적 고찰」, 장서각소장 가례도감의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pp. 33-115. | 미소장 |
272 | 이성미, 「조선왕조 어진관계 도감의궤」, 이성미¸유송옥¸강신항 공저, 朝鮮時代御眞關係都監儀軌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pp. 95-118. | 미소장 |
273 |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pp. 189-190. | 미소장 |
274 | 왕실 혼례의 ( 기록)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미소장 |
275 |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 미소장 |
276 | History Paintings during Sukjong’s Reign and the Political Sub-text of Xie Xuan Defeats Fu Jian’s One Million-strong Force | 소장 |
277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평성시도> 병풍 연구 | 소장 |
278 | 이수미, 「궁중장식화의 개념과 성격」, 태평성대를 꿈꾸며, 국립춘천박물관, 2004, pp. 82-89. | 미소장 |
279 | 경기전 태조 어진(御眞)의 조형적 특징과 봉안의 의미 | 소장 |
280 | 「경기전 태조어진(御眞)의 제작과 봉안(奉安)」, 왕의 초상: 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pp. 228-241. | 미소장 |
281 | 「조선후기의 왕릉도」,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pp. 205-234. | 미소장 |
282 | 「조선시대 御畵 小考」, 조선조 궁중생활연구, 문화재관리국, 1992, pp. 433-462. | 미소장 |
283 | 「책거리 小考」,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992, pp. 103-126. | 미소장 |
284 | 「김치인 초상 외」, 古美術저널 32, 2007. 4/5, pp.46-53. | 미소장 |
285 | 이원복,「정조의 그림 세계: 전래작을 중심으로 본 畵境」, 정조, 예술을 펼치다, 수원화성박물관, 2010, pp. 136-141. | 미소장 |
286 | 「조선시대의 포백척에 관한 연구」, 복식 16, 1991, pp. 111-123. | 미소장 |
287 | 『현륭원』 석물 조성 연구 | 소장 |
288 | 藏書閣 소장 『列聖御製』와 國王文集의 편찬과정 | 소장 |
289 | 조선 후기 국장용(國葬用) 모란병[牧丹屛]의 사용과 그 의미 : 정조(正祖) 국장(國葬) 관련 의궤(儀軌)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290 | 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 變遷, 韓國硏究院, 1985. | 미소장 |
291 | 조선시대의 초상화 | 소장 |
292 |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정조 시절 정약용의 증언과 이명기의 초상화법을 중심으로」, 다산학 6, 2005, pp.101-134. | 미소장 |
293 |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조선 후기 초상화와 카메라 옵스큐라, 생각의 나무, 2008. | 미소장 |
294 | Painting from Actual Sceneries or from Memory With Focus Onview Point and Angle of View i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소장 |
295 | 「舟橋司 設置와 變遷」, 『鄕土서울』 36, 1979, pp. 7-46. | 미소장 |
296 | 조선후기 통제영 화원 연구 | 소장 |
297 |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화원 연구 | 소장 |
298 | 이현진, 「국조상례보편의 편찬과 의의」,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해설집 2,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미소장 |
299 | 이복원의 궁원의(宮園儀) 편찬 과정 | 소장 |
300 | 「1789년(정조 13) 永祐園에서 顯隆園으로의 遷園 절차와 의미」, 서울학연구 51,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3, pp. 85-113. | 미소장 |
301 | 正祖時代 官版本 版畵 硏究 | 소장 |
302 | 이홍렬, 「<水原陵行圖>에 對하여」, 考古美術 95, 1968.6, pp. 417-418. | 미소장 |
303 | 낙남헌방방도와 혜경궁홍씨의 일주갑 : 수원능행도와 관련하여 | 소장 |
304 | 「17-18세기 조선의 工筆 彩色人物畵 연구」, 美術史學硏究 267, 2010, pp. 5-47. | 미소장 |
305 | 조선후기 지방 파견 화원들과 그 제도, 그리고 이들의 지방 형상화 | 소장 |
306 | 「1795년 화성에서의 진찬과 양로연, 원행을묘정리의궤 」,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 해석사,2000, pp. 74-85. | 미소장 |
307 | 「조선시대 왕세자 책봉례의 제도화와 의례의 성격」, 조선왕실의 가레,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pp. 57-98. | 미소장 |
308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奉壽堂進饌圖> | 소장 |
309 | 고려시대의 景靈殿 | 소장 |
310 | 朝鮮時代 宮闕 正殿·便殿의 機能과 變化 | 소장 |
311 | 조선시대 궁궐 운영 연구, 역사문화, 2014. | 미소장 |
312 | 「華山館 李命基 繪畵에 대한 硏究」,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313 | Thematic Map of The Emperor Kangxi’s Southern Inspection Tour Scrolls ![]() |
미소장 |
314 | 장진성,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의 경제적 여건과 사적활동」, 화원-朝鮮畵員大展, 삼성미술관 Leeum, 2012, pp. 297-307. | 미소장 |
315 | 「《登俊試武科圖像帖》의 공신도상적 성격」, 美術資料 78, 2009, pp. 62-93. | 미소장 |
316 | 복원연구를 통한 영희전의 고찰 | 소장 |
317 | 화성성역의궤 도설(圖說)의 도법적 특징에 관한 연구: 도(圖)와 설(設)의 관계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318 | 東아시아의 蘭亭修禊圖 硏究 | 소장 |
319 | 「19세기 경화사족의 기록벽과 정리벽」, 이종묵 외, 관암 홍경모와19세기 학술사, pp. 485-489. | 미소장 |
320 | 정병모, 「<園幸乙卯整理儀軌>의 판화사적 고찰」, 문화재 22, 1989, pp. 96-121. | 미소장 |
321 | 『무예도보통지』의 판화 | 소장 |
322 | 정연식, 「조선시대 가마와 왕실의 가마」, 조선왕실의 가마, 국립고궁박물관, 2006. | 미소장 |
323 |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 미소장 |
324 |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조선후기 중인문화 연구, 일지사, 2005. | 미소장 |
325 | 규장각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 | 소장 |
326 | 「1760年 庚辰冬至燕行과 《瀋陽館圖帖》」, 明淸史硏究 25, 2006, pp. 97-138. | 미소장 |
327 | 《강화부궁전도》의 제작배경과 화풍 | 소장 |
328 |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 소장 |
329 | 조선후기 繪畵式 郡縣地圖 연구 | 소장 |
330 |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 미소장 |
331 | 정조의 수원 園幸路와 그 성격 | 소장 |
332 | 조선후기의 기술도-서양과학의 도입과 미술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333 | study of 18th-century Banchado | 소장 |
334 | 조선시대 儀禮 班次圖 연구 | 소장 |
335 | 제송희, 「정조시대 반차도와 화성원행」, 정조, 8일간의 수원행차, 수원화성박물관, 2015. | 미소장 |
336 | 명종의 친정체제(親政體制) 강화와 회화(繪畵) | 소장 |
337 | 朝鮮王朝時代의 御眞製作 過程에 관하여 | 소장 |
338 | 「朝鮮王朝時代에 있어서의 眞殿의 發達 -文獻上에 나타난 記錄을 中心으로」, 考古美術 145, 1980, pp. 10~23. | 미소장 |
339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hinchun in th YI Dynasty ![]() |
미소장 |
340 | For the portait of a meritorious retainers in Chosun Dynasty ![]() |
미소장 |
341 | 韓國의 肖像畵, 열화당, 1983. | 미소장 |
342 | 한국의 초상화-形과 靈의 예술, 돌베게, 2009. | 미소장 |
343 | 왕의 얼굴: 한·중·일 군주 초상을 말하다, 사회평론, 2012. | 미소장 |
344 | Political Significance of Royal Portraits in the Early Choson Period ![]() |
미소장 |
345 | 조인수, 「경기전 태조 어진과 진전의 성격: 중국과의 비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 -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005, pp. 266-278. | 미소장 |
346 | 「세종대의 어진과 진전」,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권, 사회평론, 2006, pp. 160-179. | 미소장 |
347 | 전통과 권위의 표상 : 高宗代의 太祖 御眞과 眞殿 | 소장 |
348 | 조인수, 「조선 후반기 어진의 제작과 봉안」, 다시 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pp. 6-33. | 미소장 |
349 | 초상화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 소장 |
350 | 한국장황사료 Ⅰ ; 影幀模寫都減儀軌 | 소장 |
351 | <英祖宸章聯和詩圖>六疊屛風에 대하여 | 소장 |
352 | 英祖,正祖代 御眞圖寫와 畵家들 | 소장 |
353 | 肅宗代 御眞圖寫와 畵家들 | 소장 |
354 |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 소장 |
355 |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 소장 |
356 | 韓日通商條約調印祝宴圖 ![]() |
미소장 |
357 | 정조의 화성 건설 | 소장 |
358 | 정조의 화성 경영 연구 | 소장 |
359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 미소장 |
360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1~3, 민속원, 2003~2005. | 미소장 |
361 | 朝鮮時代 中人의 身分·階級的 性格 | 소장 |
362 |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 미소장 |
363 |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 미소장 |
364 | 동궐도, 효형출판, 2007. | 미소장 |
365 | (문화정치의 산실) 규장각, 지식산업사, 2008. | 미소장 |
366 | 李漢喆작 崔北肖像畵에 대하여 | 소장 |
367 | 「한국회화사연구 30년-일반회화」, 미술사학연구 188, 1990. 12, pp. 23-46. | 미소장 |
368 | 朝鮮時代 繪畫史論, 문예출판사, 1999. | 미소장 |
369 | 「치장과 액막이 그림: 조선민화의 새로운 이해」,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pp. 488-499. | 미소장 |
370 | 한국의 전통회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 미소장 |
371 | 홍선표, 「화원의 형성과 직무 및 역할」, 화원-朝鮮畵員大展, 삼성미술관 Leeum, 2012, pp. 336-356. | 미소장 |
372 | 朝鮮王朝 宮闕 經營과 “兩闕體制”의 변천 | 소장 |
373 | 「19세기 궁중 서화수장의 형성과 전개」, 미술자료 70·71, 2004, pp. 131-145. | 미소장 |
374 |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375 | 「조선시대 畵員과 궁중회화」, 박정혜 외,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pp. 12-125. | 미소장 |
376 | "Ch'aekkŏri Painting: AKorean jigsaw Puzzle", Archives of Asian Art XLVI, 1993. | 미소장 |
377 | Accumulating Culture : the Collections of Emperor Huizong,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c2008. | 미소장 |
378 | The Heritage of Giotto's Geometry: Art and Science on the Eve of the Scientific Revolution(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pp. 256-257. | 미소장 |
379 | Kim, Hongnam ed., Korean Arts of Eighteenth Century-Splendor& Simplicity (New York: The Asia Society Galleries, 1994. | 미소장 |
380 | Imperial illusions : Crossing Pictorial Boundaries in the Qing Palaces, Seattle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5. | 미소장 |
381 | Empresses, Art, and Agency in Song Dynasty China, London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c2010. | 미소장 |
382 | The Shogun's painted culture : Fear and Creativity in the Japanese States, 1760-1829, London : Reaktion Books, c2000. | 미소장 |
383 | "Comparative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Chinese and Korean Court Documentary Paint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14. | 미소장 |
384 | The Meeting of Eastern and Western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 미소장 |
385 | "The Screen of th the Five Peaks of the Choson Dynasty" Oriental Art XLII-4, 1996/97, pp. 13-24. | 미소장 |
386 | 清宮绘画与"西画东渐", 紫禁城出版社, 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