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 목적과 과제 15
2. 연구 내용 15
3. 연구 대상과 방법 18
II. 자연과 결여(缺如)의 존재로서 자아 20
1. 시지각과 감정, 정서 20
2. 자연관의 변화 25
3. 자아의 투사 28
III. 조합의 개념과 의미 32
1. 물성과 가상성의 조합 32
1) 가상과 실재 32
2) 창(window)과 틀(frame) 40
2. 표의와 표상의 조합 43
3. 조형으로서의 조합 46
IV. 내면세계의 표현 48
1. 의식의 흐름 49
2. 상실 57
1) 시선의 상실 58
2) 장소의 상실 63
3. 우울과 우의(寓意) 70
1) 불안과 우울 70
2) 우의(寓意)적 표현 75
4. 비애, 미, 화해 83
V. 풍경을 보는 나의 주관적 시선 92
1. 사색의 장소 92
2. 인생의 은유 106
3. 순환론적 세계관 113
VI. 조합의 형식 126
1. 연결을 통한 조합-병렬 127
1) 이미지의 조합 127
2) 연작의 의도 137
2. 충돌을 통한 조합-대위 145
1) 대비와 통일 148
2) 물질의 다층적 공간 165
3) 반복과 변주 172
VII. 결론 178
참고문헌 181
ABSTRACT 186
[그림1] 〈새-꽃〉, 70x100cm, 석판화,1999 28
[그림2] 〈창2〉, 30x70cm, 와이드 칼라 인화, 할로겐 라이트, 합판, 벽지,1999 37
[그림3] 〈식물원1〉, 76x168cm, 종이에 아크릴, 파스텔, 색연필,1996 53
[그림4] 〈식물원4-1〉, 112x76cm, 아크릴, 파스텔, 색연필, 목탄,1996 54
[그림5] 〈Welcome to 여미지 1〉, 50x210cm, 목판, 석판, 수성실크, 색연필, 갤러리 아트링크 설치 장면1, 2004 64
[그림6] 〈Welcome to 여미지 2〉, 50x190cm, 목판, 석판, 칼라복사, 갤러리 아트링크 설치 장면2, 2004 64
[그림7] 〈2007 세오 갤러리 전시 장면〉 66
[그림8] 〈2007 세오 갤러리 전시 장면 2〉 68
[그림9] 〈이동식정원59 토네이도〉,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1 71
[그림10] 〈액상화1〉,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2 71
[그림11] 〈액상화2〉,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2 71
[그림12] 〈사라지는3〉,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11 76
[그림13] 〈사계5-겨울〉,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2012 77
[그림14] 〈아이슬란드〉,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2 79
[그림15] 〈이동식정원76〉,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 2013-2015 79
[그림16] 〈이동식정원38〉,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09 82
[그림17] 〈창1〉, 60x40cm, 와이드 칼라 인화, 할로겐 라이트, 합판, 벽지,1999 83
[그림18] 〈사계정원2-가을〉,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아크릴. 2011 87
[그림19] 〈사계정원3〉, 100x100cm, 캔버스에 유화/아크릴,2015 89
[그림20] 〈사계정원4〉, 100x100cm, 캔버스에 유화/아크릴,2015 89
[그림21] 〈한택소요-남아프리카온실〉,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94
[그림22] 〈한택소요-호주온실〉,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96
[그림23] 〈한택소요-허브원1〉,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99
[그림24] 〈한택소요-허브원2〉,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9 102
[그림25] 〈사계1-겨울〉, 97x162cm, 캔버스에 유화,2011 107
[그림26] 〈사계4-가을〉, 97x162cm, 캔버스에 유화,2011 107
[그림27] 〈사계2-봄〉, 112x162cm, 캔버스에 유화,2011 108
[그림28] 〈사계3-여름〉, 162x97cm, 캔버스에 유화,2011 111
[그림29] 〈사계7-여름〉, 112x194cm, 캔버스에 유화,2012 111
[그림30] 〈사계10-다시 봄〉, 112x194cm, 캔버스에 유화,2012 116
[그림31] 〈머리카락-나무〉, 100x70cm, 석판화,2007 128
[그림32] 〈공중정원3〉, 70x100cm, 석판화,007 129
[그림33] 〈2007년 세오 갤러리 전시 장면〉 130
[그림34] 〈산세베리아1〉, 115x155cm, 목판, 석판, 디지털프린트,2007 131
[그림35] 〈산세베리아2〉, 115x155cm, 목판, 석판, 디지털프린트,2007 131
[그림36] 〈사라지는1〉,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2 133
[그림37] 〈사라지는2〉,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2 134
[그림38] 〈2012 포스코 미술관 이동식정원 시리즈 설치장면1〉 137
[그림39] 〈2012 포스코 미술관 전시 광경 1〉 139
[그림40] 〈2012 포스코 미술관 전시 광경 2〉 139
[그림41] 〈Welcome to heyri, 헤이리 페스티벌, 커뮤니티 하우스 설치장면, 2003〉 142
[그림42] 〈비밀정원〉, 120x285cm, 목판, 수성목판, 석판,2000 143
[그림43] 〈헤이리 다리가 있는 정원〉, 145x205cm, 목판, 수성목판, 석판화,2003 144
[그림44] 〈한택소요-수생식물원3〉,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1 150
[그림45] 〈사계정원1-봄〉,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1 152
[그림46] 〈이동식정원77〉, 60x60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5 154
[그림47] 〈이동식정원19〉, 60x60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156
[그림48] 〈이동식정원28〉, 60x60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156
[그림49] 〈이동식정원22〉, 60x60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157
[그림50] 〈이동식정원58사계-겨울〉,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1 159
[그림51] 〈이동식정원55〉,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12 159
[그림52] 〈이동식정원61〉,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12 160
[그림53] 〈이동식정원66〉,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11 160
[그림54] 〈이동식정원70〉,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2012 163
[그림55] 〈액상화3〉, 60x60cm, 캔버스에 유화,2012 163
[그림56] 〈사계8-가을〉, 194x112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9 166
[그림57] 〈한택소요-수생식물원1〉, 194x112cm,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08 167
[그림58] 〈사계8-가을〉부분 169
[그림59] 〈2012 포스코 미술관 이동식정원 시리즈 설치장면2〉 172
[그림60] 〈이동식정원60〉, 60x60cm, 옻칠 한지에 유화,2011 175
[그림61] 〈이동식정원57〉, 60x60cm, 캔버스에 아크릴, 유화,2011 175
[그림62] 〈사계6-봄〉, 112x194cm, 캔버스에 유화, 아크릴,2012 176
[참고그림1] 호크니, 〈크리스토와 돈의 방문〉, 183x610cm , 산타모니카,1984 53
[참고그림2] 식물원4-1 의 사진 자료 54
[참고그림3] 세잔, 〈프로방스의 암산〉, 캔버스에 유화, 1886, 런던내셔널갤러리 55
[참고그림4] 프리드리히, 〈까마귀들의 나무〉, 54x71cm, 캔버스에 유화, 루브르 박물관, 1824년경 59
[참고그림5] 마네(Edouard Manet),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96x130cm, 캔버스에 유화, 1881~2, 코롤드 미술관 소장 60
[참고그림6] 〈세미라미스의 공중정원 Hanging Garden〉삽화 67
[참고그림7] 토네이도 71
[참고그림8] 액상화 동영상 캡쳐 화면 72
[참고그림9] 레드리스트 이구아나 76
[참고그림10] 얀 브뢰헬(Jan the Elder Brueghel), 토기 화병 속의 꽃다발 81
[참고그림11] 〈한택소요-호주식물원〉의 바오밥 나무와 고무나무의 사진 96
[참고그림12] 곽희(郭熙), 〈조춘도 (早春圖)〉 부분, 연기가 있는 종축(縱軸), 수묵담채, 158.3cm, 1072년, 송 대북 국립 고궁박물원 97
[참고그림13] 소동파(蘇東坡), 〈月下詩友圖』회권〉, 紙本, 수묵, 높이 29.5cm, 송, 뉴욕 103
[참고그림14] 범관(范寬), 〈계산행려도 谿山行旅圖〉, 絹本, 수묵담채, 206.3cm, 송 대북 국립 고궁박물원 104
[참고그림15] 〈신문 보도 사진 2011년 3월〉 108
[참고그림16] 〈겨울 Winter 대홍수〉, 118x160cm,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1660~64 114
[참고그림17] 〈봄 Spring (Adam & Eve)〉, 118x160cm,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1660~64 114
[참고그림18] 〈여름 Summer (Ruth and Boaz)〉, 118x160cm ,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1660~64 115
[참고그림19] 〈가을 Autumn〉, 118x160cm,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1660~64 115
[참고그림20] 프리드리히, 〈아침 Morning〉, 22x30.5cm, 1821년 120
[참고그림21] 프리드리히, 〈저녁 Evening〉, 22.3x31cm, 1820/21 120
[참고그림22] 프리드리히, 〈산맥이 있는 강 풍경-아침〉, 투명종이에 혼합매체, 76.8x127cm, 카셀국림미술관, 1830-1835년경 122
[참고그림23] 프리드리히, 〈산맥이 있는 강 풍경-저녁〉, 투명종이에 혼합매체, 76.8x127cm, 카셀국림미술관, 1830-1835년경 122
[참고그림24] 프리드리히, 〈바닷가의 수도사〉, 110x171.5cm, 캔버스에 유화, 베를린 국립미술관, 1808 123
[참고그림25] 칸딘스키 135
[참고그림26] 하인에 의해 운반되는 반경(盤景), 산서성 서안 근교, 의덕태자묘의 벽화부분도, 당 143
[참고그림27] Peter Doig, 〈Gasthof Zur Muldentalsperre〉, 196x296cm, oil on canvas, 2000~2 149
[참고그림28] Peter Doig, 〈Buffalo Station〉, 175x270cm, oil on canvas,1997-8, 149
[참고그림29] Peter Doig, 〈Canoe-Lake〉, 200x300cm, oil on canvas,1997-8 154
[참고그림30] (제목없음) 157
[참고그림31] 클림트, 〈Beech ForestⅠ〉,1902 165
[참고그림32] 모네, 〈수련〉, 오랑주리 미술관 170
[참고그림33] 잭슨 폴록, 〈Lavender Mist no.1〉, 221x299.7cm,1950, Oil, enamel, aluminum on canvas, Washington,DC, National Gallery of Art 171
본 연구는 자연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자아와 외부 세계에 대한 주관적 시각을 표현해 온 연구자의 미술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석사학위 과정 이후 현재까지 진행해 온 십여 년간의 작품에서 형성된 소재와 주제, 표현방식 사이의 연관 관계를 고찰하고 변화의 흐름과 배경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주 소재가 되는 자연은 자아의 투사와 세계에 대한 은유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다양한 시점에 따라서 단편적인 이미지로 포착된 자연 풍경은 화면상에서 재조합되고 대위와 병렬, 연작 형식을 통해서 우의적인 주제를 전달하게 된다. '조합' 은 관찰자의 시점과 동선을 통해서 의식의 흐름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회화 매체는 자연의 외적 세계와 그 내부의 생성원리를 모방하는 가상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그림은 하나의 틀(frame)로서 존재하며, 내부의 공간이 독자적인 완결성을 추구하는 닫힌 구조를 지닌다. 캔버스와 안료로 이루어진 매체 자체의 물질적 속성과 그림틀 내부의 가상적 구성이 공존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이러한 물성과 가상성이'조합'을 통해서 서로 어우러지는 효과이다. 여기서의 조합은 상이한 이미지들 사이의 조화와 상충 작용이 반복적으로 변주되는 '대위' 방식으로 확장된다.
보는 행위란 이미 그 속에 추상화(抽象化)의 과정이 포함된 창조적인 활동이며 그 과정에서 보는 주체에 의한 시각적 연상과 투사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소재를 촬영한 사진을 화면으로 옮겨서 조합하는 과정에서 감정과 정서가 생겨나고 투영되게 마련이다. 연구자의 작업에서는 일차적으로 사진 매체의 지각 방식을 의도적으로 차용하여 단편적, 분절적인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이미 무의식적으로 연구자의 내면세계가 투사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투영된 정서는 스스로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외부 세계와 자아 사이의 불일치를 드러내게 된다.
보는 주체와 보이는 객체, 자아와 세계 사이의 불일치는 곧 관계의 결여이자 결핍의 상태이며, 그 결과로 상실감과 우울이 야기된다. 연구자는 이러한 자아 결핍과 불일치의 상황을 우의적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하고자 했다. 우의(알레고리)에는 표의와 표상 사이의 미묘한 불일치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세 가지 개념으로 조합을 보고 있다. '물성과 가상성의 조합으로서 그림' , '표의와 표상의 조합으로서 이미지' , '조형 형식으로서 조합' 이다. 조형으로서의 조합에서 연결을 통한 조합을 '병렬' 로 보았으며 충돌을 통한 조합을 '대위' 라고 보았다. 우의적 이미지와 대위, 병렬 형식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는 비애와 상실감, 그리고 그 너머에 자리 잡고 있는 조화에 대한 지향성이다. 외부 세계에 대한 공허함과 무상감, 그리고 삶에 대한 애착이라고 하는 양가적인 감정이 한 축을 이루며, 내적인 갈등과 고통을 포장하고 외적으로 밝게 보이려고 하는 모순된 태도가 다른 한 축을 이룬다.
연구자가 추구하는 아름다움은 상충하는 요소들 간의 화해와 공존이다. 이러한 미 개념은 동, 서양미술의 다양한 자연관으로부터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은 결과인 동시에, 자연을 소재로 작업을 해 오는 과정에서 구축된 개인적인 경험과 인식의 소산이다.
시기별로 작품을 고찰할 때 자연의 대상물과 범주, 자연에 대한 관점과 태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볼 수 있는데, 먼저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중반까지의 작업에서는 인위성이나 꾸밈이 없이 일상에 존재하는 자연을 소재로 삼았던 반면에, 2000년대 후반의 〈한택소요〉연작에서는 동양의 전통 산수화에서 표현된 사유의 공간으로 자연 풍경을 나타내려 했다. 이 시기는 특히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동양적 자연관에 심취했던 기간이다. 〈한택소요〉의 자연 풍경은 개인이 사색할 수 있는 장소이자 내면과 외면을 연결하는 관문이다. 최근의 〈사계〉 작업에서 자연은 보다 추상화된 대상으로서 우주적 질서의 표상이자 인간 삶의 교훈이 되는 궁극적인 지향점이다. 여기서의 풍경 이미지에 묘사된 계절의 순환은 인생의 순환에 대한 은유이자 세계상이다.
풍경은 인간에 의해서 재현된 자연이자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규정하는 격자이기도 하다. 특히 연구자의 작품들에서 재조합된 풍경은 자연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뿐 아니라 화면의 틀을 통해서 내면의 주관적 세계와 외부의 현실 세계를 연결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조합' 은 대상에 대해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유동적인 시선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시도되었다. 콜라주 기법, 몽타주 기법과 같은 이미지의 조합, 동양 산수화의 다시점 공간, 두루마리와 같은 횡적인 화면, 병풍과 같은 입체적 구조물, 여러 개의 캔버스로 구성된 연작 등은 분절되거나 끊임없이 이어지는 화면들 사이의 관계망을 통해서 의식의 흐름을 표현하고자 하는 수단들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박유하 옮김, 서울: 도서출판b, 2010 | 미소장 |
2 |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서울: 열화당, 1996 | 미소장 |
3 | 『이쾌대』, 서울: 열화당, 1996 | 미소장 |
4 | 『마음의 사회학』, 파주: 문학 동네, 2009 | 미소장 |
5 | 『발터 벤야민: 모더니티와 도시』, 서울: 라움, 2010 | 미소장 |
6 | 『철학이란 무엇인가』,서울: 현대미학사, 1995 | 미소장 |
7 | 『시각적 사고』, 김정오 옮김,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1982 | 미소장 |
8 | 『예술심리학』, 김재은 옮김,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1984 | 미소장 |
9 | 『철학입문』, 이기상, 김재철 옮김,서울: 까치글방, 2006 | 미소장 |
10 | 『근본개념들』, 박찬국, 설민 옮김, 서울: 도서출판 길, 2012 | 미소장 |
11 | 『자연, 풍경 그리고 인간 』, 서울: 아카넷, 2003 | 미소장 |
12 | 『중국의 산수화』, 김기주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2 | 미소장 |
13 |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2 | 미소장 |
14 | 미학대계 간행회,『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15 | 『가면들의 병기창』, 경기도 파주: 한길사, 2014 | 미소장 |
16 |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차봉희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0 | 미소장 |
17 | 『독일비애극의 원천』, 최성만·김유동 옮김, 파주: 한길사, 2009 | 미소장 |
18 |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김정아 옮김, 파주: 문학동네, 2004 | 미소장 |
19 | 『들뢰즈의 철학 사상과 그 원천』, 서울: 민음사, 2002 | 미소장 |
20 | 『미학 강의Ⅰ』, 문병호 옮김, 서울: 세창출판사, 2014 | 미소장 |
21 | 『동양의 자연관』,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6 | 미소장 |
22 | 『영화이론』, 윤종욱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12 | 미소장 |
23 | 『희망의 원리』, 박설호 옮김, 서울: 열린 책들, 2004 | 미소장 |
24 | 『에이젠슈타인 이미지의 모험』, 전양준 편역, 서울: 열린 책들, 1990 | 미소장 |
25 | 『그림 속의 그림』, 서성 옮김, 서울: 이산, 1999 | 미소장 |
26 | 『대위법-전통과 현대』, 세광출판사, 1987, | 미소장 |
27 | 『사진과 회화』, 서울: 시각과 언어, 1994 | 미소장 |
28 | 『욕망이론』, 민승기, 이미선, 권택영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4 | 미소장 |
29 | 『현대미술의 동향』, 서울: 미진사, 1987 | 미소장 |
30 | 『현대미술의 동향2』, 서울: 미진사, 1991 | 미소장 |
31 | 『의식과 무의식의 대화-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서울: 대왕사, 2008 | 미소장 |
32 | 『정서란 무엇인가?』, 서울: 아카넷, 2009 | 미소장 |
33 | 『한국 문학 이해의 길잡이』, 서울: 집문당, 1996 | 미소장 |
34 | 『감각의 논리』, 하태환 옮김, 서울: 민음사, 1997 | 미소장 |
35 | 『니체와 철학』,서울: 민음사, 1998 | 미소장 |
36 | 『파편과 형세』,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 미소장 |
37 |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서울: 도서출판 길, 2014 | 미소장 |
38 |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경기도: 소나무, 2001 | 미소장 |
39 |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경기도 고양: 소나무, 2014 | 미소장 |
40 | 『검은 태양』, 김인환 옮김, 서울: 동문선, 2004 | 미소장 |
41 |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이유경 옮김, 서울: 분석심리연구소, 2008 | 미소장 |
42 | 『죽음 앞의 인간(L′homme devant la mort)』, 고선일 옮김, 서울: 새물결, 1985 | 미소장 |
43 | 『국가Politeia Platonis Respublica』, 박종현 역주, 파주: 서광사, 2013 | 미소장 |
44 | 『존재와 시간』, 이기상 옮김, 서울: 까치, 2006 | 미소장 |
45 | 한국미학예술학회,『예술과 자연』, 서울: 미술문화, 1997 | 미소장 |
46 | 『피로 사회』, 김타환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미소장 |
47 | 『중심의 상실』, 박래경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2002 | 미소장 |
48 | 『물화-인정 이론적 탐구』, 강병호 옮김, 나남출판, 2006 | 미소장 |
49 | 『중국회화사』, 조선미 옮김, 서울: 열화당, 2002 | 미소장 |
50 | 『공간과 장소』, 정영길 옮김, 서울: 태림 문화사, 1995 | 미소장 |
51 | 이미지 텍스트의 읽기교육 방법론 :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52 | 키치 개념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 키치와 숭고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소장 |
53 | [서평] ‘복잡성 패러다임’으로의 초대 : 에드가 모랭, 『복잡성 사고 입문』(1990) (신지은 옮김, 에코리브르, 2012) ![]() |
미소장 |
54 | 아도르노의 사물화 개념과 미학적 우리 | 소장 |
55 | Aesthetic illusions and play | 소장 |
56 | 「김수영 시의 한시적 구조의 병렬 반복 연구」, 2010 | 미소장 |
57 | 일상의 탈중심적 시공간 구조에 대하여 | 소장 |
58 | C. D. 프리드리히(C. D. Friedrich)의 풍경화에 나타난 공간 구성 연구 | 소장 |
59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개념 | 소장 |
60 | The Parallelism as a Poetic Structure in Modern Poetry | 소장 |
61 | 「멜랑콜리와 알레고리」,『한국프랑스학논집』89, | 미소장 |
62 | Baroque et Classicisme dans la peinture française du XVIIe siècle I | 소장 |
63 |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의 역사 시학적 함의 | 소장 |
64 | 『Physica』,Translated by P. H. Wicksteed and F. M. Cornford, The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s of the Works of Aristotle (Vol.Ⅳ and Ⅴ),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 미소장 |
65 | 『A Handbook of Modal Counterpoint』, New York: THE FREE PRESS FP, 1967 | 미소장 |
66 | 『Nicolas Poussin′s Landscapes Allegories』,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 미소장 |
67 | 『사회학 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 미소장 |
68 | Before Photography: Painting and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 |
미소장 |
69 | 『Hockney´s Pictures』, NEW YORK, BOSTON: BULFIMCH PRESS, 2004 | 미소장 |
70 | 『Gustav Klimt LANDSCAPES Edited by Stephan Koja』,PRESTEL, 2006 | 미소장 |
71 | 『Peter Doig』, LONDON: PHAIDON, 2007 | 미소장 |
72 | 『식물을 소재로 한 다층적 시각 체험의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73 | 『들뢰즈의 표현적 유물론』,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논문, 2011 | 미소장 |
74 | 『M. 메를로-퐁티의 예술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75 | John A. Parks,『The Ideal Classicist: Nicolas Poussin and Nature』, www.myAmericanArtist.com , May 2008 | 미소장 |
76 | 『세계의 정원』, 서울: 시공디스커버리 총서, 19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