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1.3. 연구의 흐름도 21
제2장 반역사적(反歷史的)복원으로서의 동대문 성곽공원 22
2.1. 역사복원(historical restoration)과 서울의 도시성 22
2.1.1. '역사복원'과 글로벌 서울특별시 22
2.1.2. 서울시의 역사복원 사업의 현황 25
2.1.3. 서울시의 역사복원 사업의 의의 36
2.2. 동대문 일대의 '역사복원'의 풍경 39
2.2.1. 동대문 일대 도시 공간 형성의 진화과정 39
2.2.2. 동대문 디자인플라자(DDP) 및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 42
2.2.3. 동대문 성곽공원 조성사업의 문제 43
2.3. 공공성 회복을 이유로 시행되는 역사복원의 문제 45
2.3.1. 역사에 대한 오해와 '공공성'의 남용 45
2.3.2. 동대문 성곽공원과 복원의 이중성 47
제3장 역사와 역사적인 감각 50
3.1. '역사적인 감각'에 대한 개념적 정의 50
3.1.1. '시간'에 대한 두 가지 견해 51
3.1.2. 객관적 시간, '역사'에 대한 결정론적 사고의 한계 52
3.1.3. 주관적 시간, '역사'에 대한 비-결정론적 사고 52
3.2. 엘리엇(Thomas Stearns Elliot)의 역사적인 감각 55
3.2.1. 〈황무지〉 55
3.2.2. 엘리엇의 니힐리즘(nihilism)적 역사관 55
3.2.3. 역사복원에 대한 새로운 인식 56
3.2.4. '기억의 극장'으로서의 도시와 꼴라주적 사유 57
제4장 건축에서의 풍자(satire/sarcasm) 59
4.1. 찰스 젠크스의 사유에서 보여지는 건축적 풍자(satire) 60
4.1.1. 포스트모던 문학으로부터의 영향 62
4.1.2. 포스트모던 건축의 언어, 찰스 젠크스, 1977 65
4.1.3. '언어'로서의 건축적 풍자(Architectural Satire) 67
4.2. '기관 없는 신체'에 대한 논의 76
4.2.1. 유기체적 관념 76
4.2.2. 유기체적 관념에 대한 부정 - 잔혹연극론 76
4.2.3. 기관 없는 신체 78
4.3. 소결; '건축이 아닌' 건축에 대한 견해 81
제5장 디자인 실험 83
5.1. 디자인 전개 83
5.1.1. 디자인 실험의 범위와 접근방법 83
5.1.2. 동대문 성곽공원 복원의 양면성의 시각화 85
5.1.3. 역사복원의 이중성의 관념 공간적 구체화 88
5.1.4. '기관 없는 신체'를 통한 프로그램 유추; 건축적 풍자 92
5.2. 디자인 결과물 94
제6장 결론 97
참고문헌 99
부록 101
부록 1. "Filtering Landscape"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Isolated Urban Edges 101
부록 2. A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notion of 'Milieu' Found in an Analysis of French Literature in 19th Century - Focus on the revitalization around the Gu-il subway station - 108
부록 3. 건축의 해학적 창조를 통한 도시성 회복에 대한 제안 - 동대문 성곽공원 복원 현장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중심으로 - 114
부록 4. 녹슨 미래, 시간의 길 A revitalization on isolated urban edges - 옛 구의취수장 리모델링 프로젝트 - 119
[표1-1] 연구의 흐름도 21
[표2-1] 청계천 역사 및 복원사업 현황도 29
[표2-2] 역사·문화적 도심 재생의 목표와 기본전략 37
[표3-1] 서로 다른 두 가지 의미의 시간 51
[표3-2] 역사와 역사적인 감각의 의미차이 54
[표4-1] '기관 없는 신체' 개념 도식도 80
[그림2-1] 일제 시대의 청계천의 모습 27
[그림2-2] 청계천 복원공사 현장 28
[그림2-3] 현재까지 알려진 숭례문의 가장 오래된 사진(1890년대, 조선국진경) 30
[그림2-4] 숭례문 동측 판축(왼쪽)과 숭례문 서측 판축(오른쪽), 문화재청 30
[그림2-5] 1907년에 발간된 〈황태자전하한국어도항기념사진첩〉에 수록된 숭례문 33
[그림2-6] 숭례문 오른편으로 옮겨진 전차 노선을 보여주는 엽서, 1930년대 이후 추정. 33
[그림2-7]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방화사건 34
[그림2-8] 왼쪽부터 데르벤트의 성채(2003, 러시아), 마추피추 역사보호지구(1983, 페루),... 36
[그림2-9] 왼쪽부터 시밤 옛 성곽도시(1982, 예멘), 쿠엥카 성곽도시(1996, 스페인), 탕롱의... 36
[그림2-10] 1905년부터 2003년까지의 동대문 운동장과 시장일대 변천과정 40
[그림2-11] 성곽추정 도식 41
[그림2-12] 동대문디자인 플라자 지명현상 설계에서 당선된 자하하디드의 계획안 43
[그림2-13] 동대문교회 철거과정 44
[그림2-14] 동대문일대 변화과정 위성사진, 이화여대 병원, 동대문 교회 등 서구... 44
[그림2-15] 동대문교회가 철거된 자리에서 예배를 드리는 신자들 47
[그림2-16] 2015. 10. 19. 인터넷뉴스. 동대문교회가 철거되고 동대문 성곽공원이 정비되는... 48
[그림3-1] 영화 '더 기버: 기억전달자(The Giver, 2014) 52
[그림3-2] 엘리엇(T.S. Elliot, 1888-1965) '황무지(The Waste Land)' 55
[그림4-1] 포스트모던 건축의 진화 계보도, 1960-1980... 61
[그림4-2] 왼쪽부터 제임스조이스(James Joyce),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62
[그림4-3] 늑대와 춤을, Dances With Wolves, 1990 64
[그림4-4] 쥬라기 공원(Jurassic Park, 1993) 65
[그림4-5] 미스 반 데어 로에, 시그램 빌딩, 코너부 디테일 66
[그림4-6] Nakagin Capsule Tower, Ginza, Tokyo 73
[그림4-7] 엑소노메트릭과 평면도, Nakagin Capsule Tower, Ginza, Tokyo 74
[그림4-8] 단면도, Nakagin Capsule Tower, Ginza, Tokyo 75
[그림4-9] 기관 없는 신체, 프란시스베이컨과 들뢰즈 78
[그림5-1] DE-Dongdaemun Park 83
[그림5-2] 사이트 동대문 성곽공원일대 항공뷰 84
[그림5-3] 도시풍자 회화, 동대문 유네스코 테마파크, 김한빛 & 박혜영, 2015... 85
[그림5-4] 동대문 성곽공원의 시간과 장소의 대립상황의 관념을 표현한 3D 모델 - 1차 86
[그림5-5] 황소 머리, 피카소. 1943 87
[그림5-6] 1차 모형 박스 내부 - 1 88
[그림5-7] 1차 모형 박스 내부 - 2 89
[그림5-8] 1차 모형 박스 내부 - 3 90
[그림5-9] 1차 모형 박스 내부 - 4 91
[그림5-10] Replaced Mass, 마이클 헤이저 92
[그림5-11] 메인 조감도 94
[그림5-12] 대지 단면도 94
[그림5-13] 배치도 95
[그림5-14] 구체화된 비(非)형상적 공간 내부 - 1 96
[그림5-15] 구체화된 비(非)-형상적 공간 내부 - 2 9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