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II. 한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역사적 및 형태적 고찰 11

1. 한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역사적 고찰 11

1.1. 한국 수학의 발전과정 11

1.2. 5차 교육과정 16

1.3. 6차 교육과정 16

1.4. 7차 교육과정 17

1.5. 7차 개정 교육과정 18

1.6. 2007 개정 교육과정 19

1.7. 2009 개정 교육과정 20

2. 한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형태적 고찰 21

2.1. 교과서 검정 21

2.2. 검정제도 변천사 22

2.3. 인정 또는 검정제도의 필요성 30

2.4. 검정과정과 심사내용 31

III. 가독성에 따른 문제 해결력 연구의 고찰 32

1. 가독성 관련 선행 연구 검토 32

IV. 한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가독성 실험 및 분석 35

1. 매체 선정 및 필요성 35

1.1. 교과서의 개념 및 기능 35

1.2. 교과서의 편찬 방향 37

2. 연구문제 38

3. 실험 38

3.1. 실험 방법 38

3.2. 실험 결과 40

4. 실험 결과에 대한 종합 분석 43

V. 결론 및 제언 45

1. 결론 45

2.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 48

부록 A. 가독성 관련 평가지-1 48

부록 B. 가독성 관련 평가지-2 53

부록 C. 가독성 관련 설문지 57

표목차

〈표-1〉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12

〈표-2〉 교과서 검정 22

〈표-3〉 검정제도의 변화 과정 23

〈표-4〉 가독성 인자들 39

〈표-5〉 대응표본 검정 39

〈표-6〉 글자크기1 40

〈표-7〉 글자크기2 40

〈표-8〉 글자색1 41

〈표-9〉 글자색2 41

〈표-10〉 글씨체 41

〈표-11〉 글자간격 42

〈표-12〉 제시유형 42

〈표-13〉 공간활용 42

그림목차

[그림-1] 검정과정과 심사내용 31

초록보기

 가독성이란,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이 얼마나 쉽게 읽히는가 하는 능률의 정도를 말하며,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글자체, 색체, 명도 등이 있을 수 있다.

우리가 글을 읽을 때 가독성에 따라 능률의 고저가 상당함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본인의 심적 상태가 가독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뜻한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런 생각이 학생들의 시험문제풀이에도 적용되어 학습능력의 향상이나 성적의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독성이 시험 성적의 향상과 어떤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고, 이 연구로 가독성에 의한 성적향상의 어떤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면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져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수준에 따른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함으로써 얻은 결론으로 가독성에 의한 학력증진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