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마을단위 거점시설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박성은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D 624 -16-235
형태사항
[viii], 19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2839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성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2016.2. 지도교수: 이석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12

1.2. 연구의 목적 15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6

1.3.1. 연구의 방법 16

1.3.2. 연구의 범위 19

II. 이론적 고찰 20

2.1. 도시재생 의미 20

2.1.1. 도시재생의 개념 및 유형 20

2.1.2.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연구 24

2.1.3.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 26

2.2. 거점시설 31

2.2.1. 거점시설의 개념 31

2.2.2. 거점시설의 성격 및 역할 32

2.2.3. 쇠퇴지역에서의 거점시설의 필요성 36

2.2.4. 지역활성화를 위한 거점시설이 역할 37

2.3. 지속가능한 지역활성화 지표관련 연구 41

2.3.1. 지속가능한 지역활성화 평가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41

2.3.2. 지표개발에 대한 선행연구 45

2.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9

III. 분석의 틀 50

3.1. 연구모형 설정 50

3.2. 조사 및 분석방법 51

3.2.1. 마을단위 거점시설 이용실태 분석방법 51

3.2.2. 델파이 기법 분석방법 53

3.2.3. 고정총합척도법 분석방법 54

3.3. 사례지 선정기준 및 특성분석 55

3.3.1. 부산시 마을만들기 추진 배경 55

3.3.2. 부산시 마을만들기 행정지원형 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60

3.3.3. 사례지역 선정 62

3.3.4. 행정지원형사업 특성분석 63

3.4. 마을단위 거점시설 이용실태 현황분석 83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83

(2) 이용자의 분석결과 85

(3) 비이용자의 분석결과 90

(4) 이용자·비이용자 추가분석 결과 92

(5) 분석결과 종합 92

IV. 지표항목 추출 및 평가지표 도출 95

4.1. 조사연구 추출 모형 95

4.1.1. 선행연구를 통한 지표항목 및 요소 도출 98

4.1.2. 전문가 면담(FGI) 통한 지표항목 및 요소 도출 101

4.1.3. 종합 평가지표 측정항목 설정 116

4.2.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평가지표 도출 118

4.2.1. 1차 델파이 분석결과 118

4.2.2. 평균값 이하 지표간의 상관분석 125

4.2.3. 2차 델파이 분석결과 128

4.3. 고정총합척도법 평가지표 중요도 도출 130

4.3.1. 설문지 조사항목 130

4.3.2. 고정총합척도법 분석결과 131

4.4.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평가지표 도출 145

4.4.1.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평가지표 제시 145

4.4.2.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모델(SVCN) 149

V. 결론 158

참고문헌 162

Abstract 172

부록 176

1. 마을거점시설 사업시행 지역주민 여론조사 176

2. 델파이 1차 설문지 181

3. 델파이 2차 설문지 191

4. 고정총합척도법 설문지 198

표 1. 연구의 흐름 18

표 2. 도시재생 관련 개념 고찰 21

표 3. 국내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 주요내용 26

표 4. 주요주체별 실천항목 30

표 5. 세계문화시설 동향 분류 기준에 의한 거점공간의 해당 범주 34

표 6. 세계도시 문화개발정책 동향 분류 기준에 의한 거점공간의 해당 범주 34

표 7. 공동체복합지원시설 분류 기준에 의한 거점공간의 해당 범주 35

표 8.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비교 43

표 9. SLEN 모델의 구조 45

표 10. SLEN 모델을 통한 지표개발 연구 동향 47

표 11. 마을거점시설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설문지 내용 52

표 12. 고정총합척도법(Constant sum scale) 예시 55

표 13.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현황(2013.06기준) 58

표 14.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 59

표 15. 산복도로르네상스 사업구역 개요 66

표 16. 거점시설 건립현황 70

표 17. 산복도로르네상스 거점시설 71

표 18. 2010-14년까지 사업추진 경과 77

표 19. 행복마을만들기 사업 마을거점시설 81

표 20. 일반적 특성현황 84

표 21. 연령별 마을거점시설의 역할 92

표 22. 연구모형의 주요내용 96

표 23. 전문가 면담 FGI‚ 델파이(Delphi) 기법과 고정총합척도법(Constant Sum)을 적용한 연구모형 97

표 24. 선행연구를 통한 평가지표 선정단계 100

표 25. 전문가 면담(FGI) 대상자 101

표 26. 지속가능한 마을거점시설 활성화 평가지표 도출을 위한 FGI 질문내용 102

표 27. FGI를 통한 평가항목 및 요소도출 112

표 28. 선행연구 및 FGI를 통해 도출한 평가지표 117

표 29. 제1차 델파이 지표 수 비교 120

표 30. 제 1차 델파이 분석결과 121

표 31. 평균값 이하 지표간의 상관분석 127

표 32. 제2차 델파이 지표 수 비교 129

표 33. 고정총합척도법 조사항목 130

표 34. 준비기 중요도 분석결과 137

표 35. 성장기 중요도 분석결과 138

표 36. 성숙기 중요도 분석결과 139

표 37. 주체별 결과(준비기) 142

표 38. 주체별 결과(성장기) 143

표 39. 주체별 결과(성숙기) 144

표 40.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중요도 평가지표분석 148

표 41. 사례 적용 3개 마을거점시설 개요 152

그림 1. 도시계획의 시대적 흐름 14

그림 2. 도시재생의 정의 22

그림 3. 도시재생의 개념 23

그림 4. 연구의 과정 50

그림 5. 부산시 마을만들기의 흐름과 방향 56

그림 6. 부산시 마을만들기 추진 현황 (2013. 06 기준) 57

그림 7. 부산시 마을만들기 목표 59

그림 8. 마을거점시설 문제점 61

그림 9. 사례지역 선정 63

그림 10. 산복도로 옛 모습 65

그림 11. 산복도로 현 모습 65

그림 12.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추진 원칙 66

그림 13. 정주환경 변화 68

그림 14. 텃밭음악회 69

그림 15. 마을상품 판매 69

그림 16. 상자텃밭 분양 69

그림 17. 감천문화마을 축제 69

그림 18. 마을신문 제작 69

그림 19. 마을봉사단 운영 69

그림 20. 행복마을만들기사업 목표 75

그림 21. 행복마을만들기사업 지원체계 변경 76

그림 22. 행복마을만들기사업 2010~14년 사업범위 77

그림 23. 모래톱마을 78

그림 24. 철쭉마을 78

그림 25. 공창마을 78

그림 26. 양달마을 국수제공 79

그림 27. 머드레마을 장난감도서관 79

그림 28. 한내마을 문화교실(카페) 79

그림 29. 오색빛깔 마을 KT은퇴자 재능기부 79

그림 30. 장산길 마을 도활사업 추진 79

그림 31. 반송지역영산대 링크사업 연계추진 79

그림 32. 시설 이용 횟수 85

그림 33. 함께 이용하는 대상 85

그림 34. 운영시간 86

그림 35. 이용목적 86

그림 36. 운영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87

그림 37. 운영프로그램의 주민의견 반영정도 87

그림 38. 마을변화 만족도 88

그림 39. 시설로 인한 변화정도 88

그림 40.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업 89

그림 41. 시설로 인한 마을발전 89

그림 42. 마을 내 만남의 장소 90

그림 43. 주민들 간의 교류 중요도 90

그림 44. 시설 비이용 이유 91

그림 45. 희망하는 시설용도 91

그림 46. 평가지표 측정항목 설정 118

그림 47. 운영자중심의 중요도 분석 132

그림 48. 행정담당자 중심의 중요도 분석 134

그림 49. 전문가 중심의 중요도 분석 136

그림 50. 지속가능한 마을거점시설 활성화 모델(SVCN) 149

그림 51. 해돋이마을 주요행사 153

그림 52. '준비기' SVCN 모델 적용사례 153

그림 53. 한내마을 주요행사 154

그림 54. '성장기' SVCN 모델 적용사례 155

그림 55. 산리협동조합 주요행사 156

그림 56. '성숙기' SVCN 모델 적용사례 156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