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6
I. 서론 8
1. 연구의 배경 8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3. 연구 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13
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 13
가. 개발의 방향성 13
나. 초등 특수학급 교육과정 활용 지침 16
다. 교육과정 재구성 17
2. 특수학급 교육과정 관련 연구 19
가.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생각 및 태도 관련 연구 19
나. 특수학급 운영 실태, 문제점에 대한 관련 연구 21
III. 연구 방법 25
1. 연구 참여자 선정 25
가. 김 교사(남) 26
나. 이 교사(여) 26
다. 임 교사(남) 27
라. 윤 교사(여) 27
마. 정 교사(남) 28
바. 연 교사(여) 28
2. 자료 수집 및 분석 28
IV. 연구 결과 33
1.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태도 33
가. 교육과정 실행력을 떨어뜨리는 낮은 관심과 부정적 인식 33
나. 교육과정 개정에 대응하지 않고, 영향을 받지 않는 교사들 36
다. 공통교육과정을 무비판적으로 따라한 학년군제에 대한 불만 37
라. 명료성과 계열성이 낮은 성취기준에 대한 아쉬움 40
마. 학급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차 41
2. 초등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43
가. 통합교육을 위한 공통교육과정 교과교육 위주의 수업 43
나. 특수학급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구체적 지침 부재 46
다. 개별화수업이 어려운 복수학급 형태로 운영되는 특수학급 47
라. 굳이 내가 먼저… 쉽지 않은 통합학급 지원 48
3. 초등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49
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학습된 무기력 탈피 49
나.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자의적 해석 줄이기 51
다. 특수학급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대학 교육 52
라. 도움이 안 되고 단순 전달에 그치는 형식적인 교육과정 연수 54
4. 같은 듯 다른 연교사 이야기 56
가. 충격과 좌절을 안겨준 특수교사로서의 첫 발걸음 56
나. 갈등과 고민의 시행착오를 겪고 알게 된 기본교육과정의 유용성 58
다. 교사도 학생도 같이 행복해지는 길 찾기 58
라. 개정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정도-교사가 중심 바로 잡기 59
마. 공통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부족해 아쉬운 기본교육과정 60
바. 교사의 소진을 줄여줄 수 있는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 61
사. 연교사의 고군분투는 현재 진행형 62
아. 개별 학습을 위해 학생 수를 조절하는 수학 수업 63
자. 통합교사에게 당당하게 요구하기 64
차. 통합 교육만큼 중요한 통합교사들과의 화합 65
V.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2. 제언 70
참고문헌 71
ABSTRACT 74
부록 76
〈그림 II-1〉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 1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