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1. 연구의 범위 13

2. 연구의 방법 13

제2장 이론적 고찰 15

제1절 원룸의 개념 및 유형 15

1. 원룸의 개념 15

2. 원룸의 유형 17

3. 개념과 유형으로부터 도출 전제 21

제2절 임대료 분석 이론 22

1. 헤도닉 가격이론 22

2. 헤도닉 가격 모형 개요 22

제3절 선행연구 25

1. 대학생주거 및 원룸의 선호도/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25

2. 임대료 관련 선행연구 29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4

제3장 분석의 틀 36

제1절 분석모형 36

1. 자료 수집 방법 36

2. 분석자료 선정 37

3. 분석 대상 37

4. 분석 방법 38

5. 분석모형 설정 39

제2절 변수의 설정 40

1. 종속변수 설정 40

2. 독립변수 설정 41

3. 독립변수 검증 45

4. 독립변수 설정 및 예상효과 46

제4장 실증분석 48

제1절 기초통계 48

제2절 실증분석 결과 50

제5장 결론 5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57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5

표목차

〈표 2-1〉 이영행·최민섭(2009) 원룸 유형 분류 18

〈표 2-2〉 김동철(2013) 원룸 유형 분류 19

〈표 2-3〉 전효진(2011) 원룸 유형 분류 21

〈표 2-4〉 선행연구 정리: 선행연구 요인 정리 28

〈표 2-5〉 선행연구 정리: 주거선호요인 결과 정리 29

〈표 2-6〉 주거용 오피스텔 임대료 선행연구 정리 30

〈표 2-7〉 도시형생활주택 임대료 선행연구 정리 32

〈표 2-8〉 선행연구 정리: 임대료 영향요인 정리 33

〈표 3-1〉 선정한 독립변수 정리 44

〈표 3-2〉 변수와 그 설명 및 예측 부호 47

〈표 4-1〉 변수의 기초통계량 49

〈표 4-2〉 선형모형 회귀분석 결과 51

〈표 4-3〉 선행연구와 비교 56

그림목차

〈그림 3-1〉 소비 행동 평가 - 주 쇼핑 장소 설문조사 43

초록보기

원룸형 주거 공간은 경제적 이유, 1인 가구의 증가 등 사회적인 인구 구조의 변화, 사생활 보장 및 개성 있는 주거 환경 연출 등 문화적인 이유로 새로운 주택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민간 임대사업자의 성장과 대학가의 원룸 수요로 인해서 '원룸'하면 대학가 원룸촌을 떠올리게 되었다. 최근에는 저금리 기조로 인해서 대학가 원룸촌이 빠른 속도로 월세로 전환되고 있고, 안정적인 부동산 투자처로 대학가 원룸을 추천하는 기사가 등장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여 대학가 원룸의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본다면, 투자 및 원룸 계약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공인중개사가 원룸의 특징을 설명할 때 강조하는 요인들이 실제로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한 대학교를 중심으로 보증부 월세로 거래 가능한 매물을 사례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전환임대료를 종속변수로 하는 특성감안가격모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한 결과, 대학생주거 및 원룸의 선호/만족요인인 교통편리성, 주변 환경과의 편리성, 방의 공간 분리, 방 크기, 안전성 등이 대학가 원룸 임대료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특성에서는 편의점, 영화관, 전철역, 백화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술집의 수가 많아질수록 임대료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카페의 수는 많아질수록 임대료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건물특성에서는 풀 옵션 여부, 전용면적, 층수, 분리형 구조, 복층 여부, 주차시설 유무, 추가보안시설 유무가 대학가 임대료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과연수가 늘어날수록 임대료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대학가 원룸을 대상으로 한 초기적 연구 논문으로 대학생 원룸 선호도가 대학가 원룸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룸 계약을 결정할 때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신규 원룸 공급 투자 시 고려할 요인에 대한 방향성 제시에 일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 확보 및 추상적 요인을 계량화할 수 없는 한계와 시계열 요소의 미반영 등의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서울시 대학가 원룸의 임대료를 일반화할 수 있는 임대료 영향요인 모형을 설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