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대표작품

국문초록

목차

서론 10

I. 작품의 형성배경 12

1. 한국집단문화의 의미와 특징 12

2. 한국집단문화에 대한 비판 15

1) 학벌주의 16

2) 집단 폭력 17

3. 융의 집단무의식 18

II. 작품의 내용적 전개 19

1. 집단문화의 상징으로서의 이미지 19

1) 군인 19

2) 마스크 21

2. 집단문화의 비판적 표현 24

1) 나체 표현 24

2) 집단행동 27

III. 작품의 조형적 분석 29

1. 이미지의 반복과 집적 29

1) 반복 29

2) 집적 31

2. 심리적 색채 34

결론 36

참고문헌 38

ABSTRACT 40

【도판 1】 〈MOB〉 20

【도판 2】 〈MOB〉 20

【도판 3】 〈MOB〉 22

【도판 4】 〈MOB〉 23

【도판 5】 〈MOB〉 26

【도판 6】 〈MOB〉 27

【도판 7】 〈MOB〉 27

【도판 8】 〈MOB〉 31

【도판 9】 〈MOB〉 33

【도판 10】 〈MOB〉 33

【참고도판 1】 Sandro Botticell, 〈Birth of Venus〉, 1485 24

【참고도판 2】 Lucian Freud, 〈Benefits Supervisor Resting〉, 1994 25

【참고도판 3】 Andy Wahol, 〈Licorice Marilyn〉, 1962 29

【참고도판 4】 Frank Stella,〈Tomlinson Court Park〉, 1959 30

【참고도판 5】 Armand Pierre Fernandez 〈Long Term Parking〉 1982 32

【참고도판 6】 Edvard Munch 〈The Scream〉, 1895 35

초록보기

 아놀드 하우저는 "예술은 모든 환상과 극단을 향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밀착된 것이다"고 말했다. 예술가는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을 제작하지만 동 시대의 작품을 한 공간 안에서 모아 놓고 봤을 때, 이전 시대와 구별되는 동시대 작가들만의 유사성이 있다. 이것은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것이 예술가의 내면세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작품으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예술과 사회는 뗄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인 것이다.

한국사회는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이익을 중시하고, 구성원들끼리 상호 의존적 관계를 갖는 집단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는 구성원 사이의 조화를 중요시하고 개인의 가치보다 집단의 가치를 더욱 중요시한다. 많은 한국 사람들은 집단생활을 하면서 스스로를 자기집단과 동일시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한다. 이는 개인의 역량보다 집단의 히스토리에 의존하게 되어 정체성이 흔들리게 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집단의식에 동조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자는 한국 집단문화의 폐해를 학교, 군대, 회사를 통해 겪어왔고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지금의 한국 집단문화는 공동체의 강조가 아닌 집단 집단광기, 이기주의, 권력의 도구로 전락하였고, 서로의 이익을 위해 이성적 판단 없이 맹목적으로 집단을 추종하거나 타인에게 집단폭력을 행사 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작품의 이론적, 내용적, 조형적 분석을 통해 한국 집단문화의 비판에 대한 주제의식을 구체화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작품의 명확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논문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스위스 심리학자 융(Carl Gustav Jung)의 집단무의식에 대한 이론과, 한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통해 작품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작품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집단문화를 상징하는 군인, 마스크, 나체의 이미지를 통해 작품 속 이미지들이 개별로 가지는 의미와 다른 이미지들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작품의 조형적 측면에 있어서는 반복, 집적, 색채로 나누고 미술사조의 대표적 작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작품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반복표현은 1960년대 등장한 팝아트의 앤디워홀(Andy Warhol), 옵아트의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작품을, 집적표현은 1960년대 파리를 중심으로 일어난 누보레알리즘(Nouveau Réalisme)의 페르난데스 아르망(Armand Pierre Fernandez)의 작품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색의 3가지 속성을 통해 작품에 표현된 색의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은 융의 집단무의식에 대한 이론과 한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통해 한국의 집단문화의 형성배경의 원인과 이로 인한 문제점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2014부터 2015년 현재까지 집단을 상징하는 이미지들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는 〈MOB〉시리즈 작품을 통해 "한국의 집단문화에 대해 비판에 대한 이미지 표현 연구"라는 주제로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작품의 주제는 이미지의 반복 및 집적 표현을 통해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집단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다시 고찰해보게 된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작품에 대한 반성과 보다 더 발전된 작품 세계를 구축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