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창신동 봉제골목의 지역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 (A)study of complex cultural space planning using modern industrial heritage : focusing on the regional resources of Changsin-dong sewing alley / 이동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729 -16-32
형태사항
x, 1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3856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2016.2. 지도교수: 윤은경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7

1.3. 연구 흐름도 18

제2장 근대산업유산과 복합문화공간의 이론적 고찰 19

2.1. 근대산업유산의 이론적 고찰 20

2.1.1. 근대산업유산의 개념 20

2.1.2. 근대산업유산의 역할 및 필요성 25

2.1.3. 근대산업유산의 보존 및 재생 28

2.1.4. 미래유산으로써 산업유산의 가치 및 활용 43

2.2. 복합문화공간의 이론적 고찰 47

2.2.1.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47

2.2.2. 복합공간의 역할 및 조건 53

2.2.3. 복합공간 조성 및 활용 57

2.3. 근대산업유산인 문화산업의 활용 62

2.3.1. 근대산업유산 배경의 문화산업 62

2.3.2. 지역문화산업 활용 및 복합화 67

2.4. 소결 72

제3장 창신동 봉제골목 지역분석 및 자원활용 74

3.1. 창신동 봉제골목의 이해 75

3.1.1. 창신동 봉제골목의 변천 75

3.1.2. 창신동 봉제골목의 특성 83

3.1.3. 창신동 봉제골목의 기능 및 역할 88

3.2. 창신동 봉제골목 지역자원 및 유형 93

3.2.1. 역사 문화 지역자원 93

3.2.2. 사회 문화 지역자원 97

3.3. 창신동 봉제골목 지역자원의 활성화 방향 111

3.3.1. 선행연구 고찰 111

3.3.2. 지역자원의 활성화 사례 114

3.3.3. 지역자원의 활성화 방향 119

3.4. 소결 122

제4장 사례조사 및 분석 123

4.1. 사례대상 선정기준 및 분석방법 124

4.2. 국내사례분석 126

4.2.1. 이화동 마을박물관 126

4.2.2.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129

4.2.3. 문래예술창작촌 133

4.3. 국외사례분석 135

4.3.1. 삿포로 팩토리 (Sapporo Factory) 135

4.3.2. 크리에이티브 센터 오사카 (CCO) 138

4.3.3. 교토 아트센터 (KYOTO ART CENTER) 142

4.3.4. 사크라 빌딩 (Sacra Building) 147

4.3.5. 살롱 드 아만토 카페마을 (Salon de AmanTO / Self Build Cafe) 150

4.3.6. 시라카와 마을 (白川鄕) 154

4.4. 분석의 종합 158

제5장 공간 계획 및 디자인 159

5.1. 계획의 개요 160

5.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162

5.2.1. 대상지 선정 162

5.2.2. 대상지 개요 164

5.2.3. 대상지 현황 및 분석 165

5.2.4. 디벨롭먼트 167

5.3. 디자인 전개 168

5.3.1. 디자인 컨셉 168

5.3.2. 디자인 모티프 169

5.4. 공간 계획 170

5.4.1. 공간 조닝 및 동선 170

5.4.2. 평면 계획 172

5.4.3. 입단 계획 176

5.5. 투시도 179

5.6. 패널 187

제6장 결론 188

참고문헌 192

ABSTRACT 196

[표01] 근대역사 환경의 일반적 유형 21

[표02] 세계문화유산의 분류 23

[표03] 산업유산 활용의 필요성 27

[표04] 마치야의 재생·복원 30

[표05] 등록문화재 중 산업시설물 32

[표06] 산업유산의 재생적 가치 36

[표07] 보존·활용·재생의 사례 39

[표08] 미래유산의 유형 44

[표09]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공간구성 45

[표10] 함석헌 기념관 현황 46

[표11]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50

[표12] 복합화의 특징 52

[표13] 복합문화공간의 역할 54

[표14] 복합문화공간에서 문화수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55

[표15] 복합문화공간 조성시 고려사항 56

[표16] 복합문화공간에서의 복합화 유형 57

[표17] 문화산업 특성별 분류 63

[표18] 문화산업 기준별 분류 64

[표19] 문화관광부 문화산업 실태 조사별 분류 65

[표20] 창신동의 역사적 변천 과정 81

[표21] 창신동 양호한 한옥 (2009) 84

[표22] 주택건립시기별 공장변용 85

[표23] 공종별 점유순서 및 위치 86

[표24] 창신동 문화재 93

[표25] 기타 역사 자원 94

[표26] 근 현대 문화자원 95

[표27] 관광자원 95

[표28] 지역 주변 문화 관광자원 96

[표29] 문화예술 지역공동체의 유형 101

[표30] 해송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103

[표31] 공공공간과 협업 재단 108

[표32] 선행연구 목록 111

[표33] 국내·외 사례 개요 124

[표34] 분석의 틀 125

[표35] 이화동 마을박물관 분석 126

[표36]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분석 129

[표37] 문래예술창작촌 분석 133

[표38] 삿포로 팩토리 분석 135

[표39] 크리에이티브 센터 오사카 분석 138

[표40] 교토 아트센터 분석 142

[표41] 사크라 빌딩 분석 147

[표42] 살롱 드 아만토 카페마을 분석 150

[표43] 시라카와 마을 분석 154

[표44] 분석의 종합 158

[표45] 계획의 개요 160

[표46] 대지현황 165

[표47] 공간 조닝 및 동선 170

[그림01] 연구 흐름도 18

[그림02] 산업유산의 개념적 범위 25

[그림03] 시정촌이 전개한 경관행정의 최후 목표 40

[그림04]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조감도 44

[그림05] 함석헌 기념관 조감도 46

[그림06] 복합공간의 이해 47

[그림07] 문화공간의 기능도 48

[그림08] 분야별 예술사례 49

[그림09] 창신동 내 공정별 위치 87

[그림10] 서울도심의 주요 장소 창신동의 위치 89

[그림11] 동대문시장과 창신동의 생산유통 구조개념 90

[그림12] 동대문시장의 생산 및 유통구조 91

[그림13] 동대문 패션유통센터와 창신동간의 관계 92

[그림14] 창신마을넷 개념도 102

[그림15] 뭐든지 도서관 104

[그림16] 어반하이브리드의 비전 104

[그림17] 창신 테이블의 개념도 105

[그림18] 창신 테이블의 역할 106

[그림19] 뭐든지 예술학교 106

[그림20] 아트브릿지 시스템 107

[그림21] 공공공간 전경 108

[그림22] 창신동 라디오 덤 110

[그림23] 가먼트 디스트릭트(Garment District)의 형성 115

[그림24] 가먼트 디스트릭트(Garment District) 115

[그림25] 공정별 분포 116

[그림26] Flanders Fashion Institute 로고 117

[그림27] Savile Row st. 118

[그림28] 오사카 아만토 카페마을 파사드 및 온그라운드 119

[그림29] 오사카 남바 우키요코지 골목 120

[그림30] 오사카 주택박물관 및 우메다 스카이빌딩 다키미코지 120

[그림31] 교토 사크라 빌딩 내 AVRIL Shop 121

[그림32] 오사카 도톤보리 거리 122

[그림33] 삿포로 팩토리 배치도 137

[그림34] 이에 프로젝트 153

[그림35] 갓 쇼즈 쿠리 양식의 단면 157

[그림36] 배경 및 목적 161

[그림37] 창신동 남북 및 동서 단면 162

[그림38] 대상지 위치 164

[그림39] 대지분석 및 보강계획 166

[그림40] 디벨롭먼트 167

[그림41] 디자인 컨셉 168

[그림42] 디자인 모티프 169

[그림43] 지상 1층 평면도 172

[그림44] 지상 2층 평면도 173

[그림45] 지상 3층 평면도 174

[그림46] 지상 RT층 평면도 175

[그림47] 입단면도 176

[그림48] 입단면도 A-A' 176

[그림49] 입단면도 B-B' 177

[그림50] 입단면도 C-C' 178

[그림51] 1F 로비·전시공간 179

[그림52] 1F NEEDLE ALLEY 180

[그림53] 1F 뭐든지 도서관 181

[그림54] 2F 패브릭 스토어 182

[그림55] 2F 공방·패턴실 183

[그림56] 3F 창신커피#1 184

[그림57] 3F 창신커피#2 185

[그림58] RT NEEDLE GARDEN 186

[그림59] 패널 187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의 단계를 거치며 성장해왔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 양극화를 초래하였고, 대부분의 활동이 경제적 논리에 치우치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공간들의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는 시대가 도래 하게 되었다. 이는 현재 우리 공간의 시간과 기억을 잊게 하였고, 가치를 잃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시대의 추이를 배경으로 추진되어진 도시재생 선도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있어 시작되었으며, 또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여 유기되어진 근대산업유산으로 인해 낙후된 종로구 창신동은 위 사업의 일환을 배경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게 되었다.

창신동은 이전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근대산업유산을 배경으로 특유의 지역 컨텍스트(Context)와 봉제산업의 희귀성으로 도시와 건축 공간 및 조경 등 여러 범주에서 더욱 실험적이고 대안적인 계획들이 제안되어왔다. 또한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도시재생 선도사업의 일부로 도시재생 분야에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업추진에 있어서 민·관의 갈등을 겪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과의 불안정한 커뮤니티와 관련제도의 부재로 인해 한 번 더 난황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히 대안적인 공간을 내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근대산업유산과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주민과 지역공동체의 커뮤니티 활성화가 실현될 수 있는 공간모델의 제안을 최종목적으로 두었다. 또한 그 목적의 연장선으로 창신동이 미래유산으로써 후세에게 되 물려줄 역사적 유산의 가치보존에 있다.

연구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헌과 연구논문을 고찰하여 근대산업유산의 보존 및 재생·활용측면에서의 문제점·가치·미래유산의 활용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복합화와 지역문화산업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창신동 봉제골목의 역사와 변천 및 역사·지역문화자원들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의 동향분석과, 선진 사례를 토대로 기본활성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사례분석으로 복합문화공간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공간분석을 종합하여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의 실내공간계획 및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제 6장에서는 앞선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되어진 근대산업유산은 이에 관한 법률 구체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지역산업과 복합문화공간의 활용 가치의 무한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동향과 선진사례 분석으로 지역공동체는 지역재생의 주체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계획의 다섯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공간을 재활용한다.', 둘째, '지역자원과 연계된 공간프로그램을 갖춘다.', 셋째, '역사적 건축물을 보전 및 재현 한다.', 넷째, '주민참여를 도모한다', 다섯째, '지역을 브랜딩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감성과, 향수를 자극하고 공감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공간모델을 제시하였다.

위 연구를 반영한 결과로 첫째, 공간 환경 측면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구조변경으로 지역의 컨텍스트(Context)를 지켜냈다. 둘째, 지역 환경 측면에서 지역특성인 산업사·역사·생활사 등의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공간프로그램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타 복합문화공간과의 차별성으로 두었다. 셋째, 역사적 건축물의 일부를 보존하고 보전함에 따라, 공간 안에서 생활사 및 산업사의 기억을 지켜냈다. 넷째, 주민참여 도모를 위하여 또 다른 형태의 지역도서관과 오픈 팟캐스트를 제공하였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패턴실, 교육공방, 카페, 전시공간 등을 계획하였다. 다섯째, 메이드 인 창신동이라는 공간의 정체성을 부여하여 장소가 새롭게 기억되도록 지역 브랜딩을 하였다.

이를 종합한 또 다른 관점의 대안적 공간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이 자료가 창신동 지역분석과 자원분석을 통한 또 다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