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문화정체성을 주제로 한 포스터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사례 분석 = Case analysis on the visual expression of posters under the theme of Korea cultural identity / 남영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741.67 -16-9
형태사항
vii, 10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4667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2016.8. 지도교수: 이나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1

2. 연구방법 15

3. 연구의 구조도 16

I. 이론적 배경 17

1. 문화정체성과 디자인의 이해 17

1.1. 문화정체성의 개념 17

1.2. 문화정체성과 디자인 20

1.3. 한국의 시각디자인과 문화정체성 23

2. 전통의 개념과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31

2.1. 전통과 전통문화의 개념 31

2.2. 전통문화요소의 의미와 분류 32

3. 한국 전통미의식의 이해 35

3.1. 한국 전통조형의식과 조형미의 개념 35

3.2. 한국의 정신문화 일반과 전통미의식 37

3.3. 한국의 자연환경과 전통미의식 39

3.4. 한국의 생활환경과 전통미의식 42

II. 연구 방법 44

1. 분석 목적 및 분석대상 선정 44

2. 분석 모형 46

3. 분석 방법 및 선행논문 검토 47

III. 사례 분석 58

1. 분석 내용 58

2. 사례분석의 종합적 분석 100

결론 108

참고문헌 110

Abstract 113

표1. 전통 포스터에 나타난 소재의 유형 34

표2. 한국과 서양의 관점 비교 38

표3. 한국 전통건축미의 특성 40

표4. 선행논문을 통해 조사된 조형의식과 조형미에 관한 논의 비교 48

표5. 연구자가 추출한 7개 조형의식의 의미와 키워드 정리 55

표6. 선행연구의 분석 틀 56

표7. 연구자의 분석 틀 57

표8. 사례 분석 작품 목록 58

그림1. 한국의 정체성을 바로 잡으려 한 잡지 〈뿌리깊은나무〉 표지 25

그림2. 한국이미지전 출품작 27

그림3. 최동신, 서울 아시안게임 문화포스터 29

그림4. 서울올림픽 문화 포스터 29

그림5. 안상수의 한글실험 30

그림6. 조형의식의 의미 36

그림7. 미의식 키워드 분석 51

그림8. 장고춤 추는 여인과 연꽃 59

그림9. 한국의 이미지 60

그림10. 한국의 색 61

그림11. KSVD-JAGDA 교류전 62

그림12. 제10회 아시안게임 포스터 63

그림13. 제10회 아시안게임 포스터 64

그림14. 바람의 꿈(Dream of the Wind) 65

그림15. 태평소 66

그림16.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공식포스터 67

그림17. 부채춤 68

그림18. 그네 타는 여인 68

그림19. 서울올림픽대회 기념 포스터 69

그림20. 한국의 멋 - 호랑이 포스터 70

그림21. 부채춤 추는 여인 71

그림22. 북한의 봄 72

그림23. 화합부적 73

그림24. 까치와 호랑이 74

그림25. 어울림 75

그림26. 신라여인의 미소 수막새 76

그림27. 어변성룡(魚變成龍) 77

그림28. 사물놀이 농악 78

그림29. Goodwill, Consensus, Sympathy... and Korea 79

그림30. Goodwill, Consensus, Sympathy... and Korea 80

그림31. Together 81

그림32. 문자도 82

그림33. 한글 11,172 83

그림34. 문자진화 시리즈 - 사운드 84

그림35. 환희의 얼굴(요염한 소무) 85

그림36. 파안대소 하는 양반 85

그림37. Beautiful Korean Dream 86

그림38. 효 87

그림39. 대한민국디자인대전 포스터 88

그림40. 담 89

그림41. 문자나무 복(福) 90

그림42. 문자표정 91

그림43. 신비로운 봉황 92

그림44. 자유화 바람 93

그림45. 명당도 94

그림46. 生生+생명평화(生命平和) 95

그림47. 원융(圓融) 96

그림48. 이미지 포스터 97

그림49. 무당춤 98

그림50. 이이-고산구곡가 99

초록보기 더보기

현재 한국의 디자인은 어디에 내놓아도 뒤처지지 않을 만큼의 높은 수준을 이루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디자인이 평준화 되어가고 있는 요즘, 문제는 한국 고유의 독특한 감성의 부재로 탈개성화 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생활로 '전통'이 단절되었고, 그러면서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하였다. 한국의 '시각적 정체성' 찾기에 대한 고민은 7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활발히 이어져 왔다. 그 결과,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실험과 노력으로 '한글'이 우리 문화를 구성하고 정체성을 표현하는 핵심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정체성을 표현함에 있어 많은 디자이너가 한글이라는 소재에 극단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글 외에도 한국 고유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디자인에서 주변국과 차별화할 방법은 주제의 선정과 화면의 구성 등에 있어 독특한 '한국 특유의 정서'를 담아내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문화정체성에 대해 탐색하고 한국의 시각적 정체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당대 그래픽 디자이너의 작품 분석을 통해 차별성 있는 우리의 '문화적 조형 아이콘'은 무엇이 있고, 그 안에 담긴 '한국의 정서'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VIDAK 2003〉연감과 〈페이퍼로드 지적 상상의 길, 2012〉도록에 수록된 포스터를 소재, 메시지, 미의식 3가지 측면으로 분석했다.

'미의식'은 한국의 생활상 전반에서 표출되는 미적 특징을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전통 예술에 표현된 한국의 미적 가치이다. 이를 한국의 시각적 표현특성이라 할 수 있는 '조형미'와 한국의 정서가 담긴 '조형의식'으로 나누었다. 한국 '조형미'의 특징인 선, 색채, 여백의 특성은 선행논문의 분석 틀을 참고하였으며, '조형의식'은 전문가 담론을 통해 자연미, 순리미, 익살미, 소박미, 정신적 의식미, 향토미, 담조미 7가지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바로 현재성, 대중성, 주체성이다. 즉, 정체성을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선택에 있어 과거에 머물러 있는 무언가가 아닌 현재 문화와의 연결성이 있어야 하며, 다른 문화적 집단이 보았을 때 독특해 보이면서도 현재의 한국인이 공감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현재의 한국인이 간과하고 있던 무언가를 발굴하여 대중에게 선보였을 때, 많은 이들이 공감한다면 끊어졌던 맥을 연결하는 동시에 정체성을 회복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당대 한국의 정체성을 주제로 한 포스터에는 우리의 신앙과 풍습을 담은 민속도에 등장하는 동물이 주요 소재를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인이 바라던 꿈과 믿음, 가치관을 담고자 한 작품이 많았다. 한국 고유의 시각적 표현 특성으로 '여백'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며, 소재를 통해 나타나는 한국의 정서는 '소박미'와 '순리미'가 주를 이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시각적 정체성이라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룸으로써 전통문화요소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점과 작품 분석 중 메시지 분석에 있어 깊이 있는 해석이 어려웠음을 밝혀둔다. 하지만 많은 작품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흐름을 탐색하였고, 이는 디자이너들이 한국의 시각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기여되리라 생각한다.

나아가 정체성을 체계화하고 독특한 한국의 정서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