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제기 12

제2절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사회복무제도의 이해 17

1. 사회복무제도의 개념 및 도입배경 17

2. 사회복무요원의 실태 19

3. 사회복무요원의 교육과정과 내용 24

제2절 복지의식 26

1. 복지의식의 개념 26

2. 복지의식의 선행연구 28

3. 복지의식의 관련 변인 29

제3절 낙인감 33

1. 낙인감의 개념 33

2. 낙인 이론 36

3. 낙인감의 관련 변인 38

제4절 사기 42

1. 사기의 개념 42

2. 사기와 관련한 이론 44

3. 사기의 관련 변인 47

제5절 선행연구에 나타난 변인들의 관계 51

1. 낙인감과 복지의식의 인과관계 51

2. 사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 53

제3장 연구방법 58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58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60

1. 낙인감 60

2. 사기 60

3. 복지의식 61

4. 통제변수 61

제3절 조사방법 62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62

2. 자료분석방법 63

제4장 연구결과 65

제1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65

제2절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67

1. 낙인감 67

2. 사기 70

3. 복지의식 72

제3절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74

제4절 연구모형과 가설검증 76

1. 사회복무요원의 낙인감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검증 76

2. 사기의 주효과 및 조절효과 79

제5장 결론 및 제언 83

제1절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 83

제2절 사회복무요원의 실천과 정책을 위한 제언 8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89

참고문헌 91

Abstract 102

부록: 설문지 104

표목차

〈표 2-1〉 사회복무요원의 복무분야와 직무 구분 20

〈표 2-2〉 연도별 사회복무요원 배정현황 21

〈표 2-3〉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영역 22

〈표 2-4〉 보건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의 근무기관 및 주요업무 23

〈표 2-5〉 사회복무요원 교육과정 24

〈표 2-6〉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교육의 기본직무교육과정 25

〈표 2-7〉 낙인의 개념 요소 35

〈표 2-8〉 보상체제의 구성요소 49

〈표 3-1〉 주요 변수의 측정도구 62

〈표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65

〈표 4-2〉 조사대상자의 가족 특성 66

〈표 4-3〉 조사대상자의 복무 관련 특성 67

〈표 4-4〉 낙인감의 수준 68

〈표 4-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낙인 경험에 대한 차이 분석 69

〈표 4-6〉 사기의 수준 70

〈표 4-7〉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사기에 대한 차이 분석 71

〈표 4-8〉 복지의식의 수준 72

〈표 4-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복지의식에 대한 차이 분석 73

〈표 4-10〉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75

〈표 4-11〉 사회복무요원의 낙인감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77

〈표 4-12〉 사회복무요원의 사기가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79

〈표 4-13〉 사회복무요원의 복지의식에 대한 사기의 조절효과 81

그림목차

[그림 2-1] 사회복무제도의 변화 18

[그림 2-2] 낙인의 악순환 41

[그림 3-1] 연구모형 58

[그림 4-1] 사회복무요원의 낙인감과 복지의식과의 관계에서 사기의 조절효과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