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브랜드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가치가 추가비용 지불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혁신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The)research about the effect of aesthetic value shown in brand design on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 based on mediated effect of recognized innovativeness / 고진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070 -16-132
형태사항
iv, 11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5127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2016.8. 지도교수: 김유경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0

제2장 이론적 논의 13

제1절 미적가치와 디자인 13

1.1. 미적 가치(The Aesthetic Value)와 소비자 선택 13

1.2. 디자인 경영(Management of Design) 15

제2절 브랜드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정의 및 요소 17

2.1. 브랜드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17

2.2. 브랜드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20

2.3. 브랜드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가치 평가요소 22

제3절 브랜드 디자인과 지각된 품질 속성 29

3.1.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29

3.2. 브랜드디자인과 지각된 혁신성 33

제4절 추가비용 지불의향 35

제3장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설정 39

제1절 연구모형 39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설정 40

2.1. 브랜드디자인의 미적 가치와 소비자 인식 차원의 관계 40

2.2. 브랜드디자인의 미적 가치와 지각된 혁신성 간의 관계 41

2.3.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 간의 관계 43

2.4. 브랜드디자인의 미적 가치와 추가비용 지불의향 간의 관계 44

제4장 연구방법 45

제1절 조사방법 45

제2절 조사절차 46

2.1. 브랜드 선정 및 조사대상 분류 47

2.2.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유목 설정 49

2.3. 설문지 작성 55

2.4.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56

제3절 자료 분석방법 57

3.1. 측정변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58

3.2.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구조모형분석 61

3.3. 유의미한 변인간의 관계를 실증적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62

제5장 연구결과 63

제1절 각 변인별 측정유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64

1.1. 브랜드디자인의 미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 인식 차원 64

1.2.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 73

제2절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한 연구가설의 검증 79

2.1.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연구가설의 검증과 적합성 검증 79

제3절 회귀분석을 통한 유의미한 가설에 대한 구체적 검증 84

3.1.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소비자 인식유형과 지각된 혁신성간의 관계 85

3.2.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소비자 인식유형과 추가비용 지불의향 간의 관계 87

제6장 결론 및 논의 90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함의점 91

1.1. 연구결과의 요약 91

1.2. 연구의 함의점 96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100

참고문헌 103

부록 117

Abstract 127

〈표 1〉 디자인에 대한 기업들의 새로운 인식 21

〈표 2〉 브랜드디자인에 나타난 미적가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 23

〈표 3〉 브랜드디자인에 나타난 미적가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재분류 27

〈표 4〉 구성차원의 조작적 정의 29

〈표 5〉 지각된 품질에 대한 정의 31

〈표 6〉 제품 브랜드 선정과 분류 49

〈표 7〉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측정 척도 52

〈표 8〉 지각된 혁신성의 측정 척도 54

〈표 9〉 추가비용 지불의향의 측정 척도 55

〈표 10〉 브랜드별 표본의 구성분포 64

〈표 11〉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 66

〈표 12〉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구성 요인에 대한 측정 모형의... 68

〈표 13〉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확인적 요인... 69

〈표 14〉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구성 요소의 구성요인간의 Φ행... 71

〈표 15〉 최종 확정된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 측면에 대한 문항 71

〈표 16〉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4

〈표 17〉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의 구성 요인 측정 모... 75

〈표 18〉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 76

〈표 19〉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의 구성요인간의 Φ행렬 77

〈표 20〉 최종 확정된 지각된 혁신성과 추가비용 지불의향에 대한 문... 78

〈표 21〉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와 적합도 지수 81

〈표 22〉 지각된 혁신성 매개모형의 잠재변수간 직접효과, 간접효과,... 83

〈표 23〉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소비자 인식유... 85

〈표 24〉 브랜드디자인의 미적가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소비자 인식유... 88

[그림 1] 디자인경영의 정의 16

[그림 2] 브랜드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포지셔닝 19

[그림 3] 연구 모형 40

[그림 4] 자료 분석 절차 57

[그림 5] 본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 80

초록보기 더보기

 I intended to suggest frame work for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s the measure regarded as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in the phenomenon that improvement of consumption level and technology level are standardized. Especially, I tried to examine what recognition consumers actually have on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side from perspective of the company. Lastly, I intended to see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veness, that recognition level shown in aesthetic design of brand design perceived,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I suggested 5 kinds of initial composition factor about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of majors in 20s and experts. But, through the process of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I finally deducted 4 things(aesthetic, practicality, identity, briefness) as recognition level to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The survey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was conducted targeting 351 students and company workers who live in Seoul and capital area from 18th April to 3rd May in 2016. Firstly, I eventually composed measurement questions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I used SEM(Structu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and Multiple Regression to verify relation between meaningful factors empirically.

As a result of research, the relation among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perceived innovativeness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was shown all positive. Therefore,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is shown to affect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directly and i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between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while the path through perceived innovativeness which is mediator variable shown significantl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