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디지털 사진예술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 전시 기획 〈Mechanical Echo〉를 중심으로 / 정효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770 -16-11
형태사항
ii, 7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5230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순수사진전공, 2016.8. 지도교수: 천경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6

1. 연구 배경과 목적 6

2. 논문 구성 9

II. 디지털 사진의 발전 11

III. 전시 개념 17

1. 기획의도 및 전시 설정 17

2. 작가 및 작품 선정 20

1) 챕터 1. 디지털 사진의 표현 20

2) 챕터 2. 실재와 가상 29

3) 챕터 3. 사진의 확장 37

IV. 전시 구성 47

1. 공간 설정 47

2. 작가 및 작품 최종 선정 49

3. 작품 배치 50

1) 작품 위치 선정 50

2) 축소 모형 제작 & 가상 구현 63

V. 결론 70

참고문헌 72

국문초록 79

ABSTRACT 81

[도판 1] 1975년 Steve Sasson이 최초로 제작한 디지털 카메라 13

[도판 2] Oscar Gustav Rejlander, 〈The Two Ways of Life a moralistic〉 20

[도판 3] Jerry Uelsmann, 〈Untitled〉 22

[도판 4] Oleg Dou, 〈Another face - Clown〉 23

[도판 5] Loretta Lux, 〈The Walk〉 24

[도판 6] 박찬민, 〈BL212373113127061324〉 25

[도판 7] Olivier Ratsi, 〈701 v1〉 25

[도판 8] Andrea Gursky, 〈Pyong Yang I〉 27

[도판 9] 김상길, 〈Accession Number_March 20,1998 + March,20,1998〉 28

[도판 10] Corinne Vionnet, 〈Photo opportunities - Roma〉 31

[도판 11] Thomas Ruff, 〈JPEGS - RI05〉 32

[도판 12] 하태범, 〈WHITE - 파키스탄 폭탄 테러〉 33

[도판 13] 홍순명, 〈Sidescape - Berlin. May 30〉 35

[도판 14] Gerhard Richter, 〈Atlas-Panels 470-479〉 36

[도판 15] 최초의 X-레이 사진 38

[도판 16] Laszlo Moholy Nagy의 Photogram 40

[도판 17] Man Ray의 Rayograph 〈'Champs délicieux' n°03〉 40

[도판 18] Hiroshi Sugimoto, 〈Lightning Field〉 구성 012 41

[도판 19] Thomas Ruff, 〈Zycles 4〉 43

[도판 20] Saint Orlan, 〈Mask, Peking Opera Facial Designs n° 9〉 44

[도판 21] 시민단체 Hong Kong Cleanup에서 진행한 캠페인 〈Face of litter〉 45

[도판 22]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소재의 토탈미술관 입구 전경 49

[도판 23] 토탈미술관 Ground Floor 전개도 및 작품 배치 구상도 51

[도판 24] 토탈미술관 Mezz Floor 전개도 및 작품 배치 구상도 53

[도판 25] Mezz Floor 오른쪽 공간 파노라마 전경 55

[도판 26] MICHEL REIN Paris/Brussels에서 열린 Saint Orlan의 개인전 〈Masques, Pekin Opera facing... 57

[도판 26] 토탈미술관 Basement Floor 전개도 및 작품 배치 구상도 58

[도판 27] 2013년 리움미술관 〈Hiroshi Sugimoto〉전에서 작품 〈Lightning Field 012〉가 설치된 모습 60

[도판 28] Thomas Ruff, 〈Cassini 01〉 61

[도판 29] 가상공간으로 설정한 토탈미술관 전시장 축소 모형도.(Ground) 64

[도판 30] 가상공간으로 설정한 토탈미술관 전시장 축소 모형도.(Mezz) 64

[도판 31] 가상공간으로 설정한 토탈미술관 전시장 축소 모형도.(Basement) 64

[도판 32] Ground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JPEGS〉, Corrine Vionnet의 〈Photo Opportunity〉(모형도) 65

[도판 33] Ground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JPEGS〉, Corrine Vionnet의 〈Photo Opportunity〉(사진합성) 65

[도판 34] Ground Floor 전경 - Corrine Vionnet의 〈Photo Opportunity〉(모형도) 65

[도판 35] Ground Floor 전경 - Corrine Vionnet의 〈Photo Opportunity〉(사진합성) 65

[도판 36] Mezz Floor 전경 - 하태범의 〈WHITE〉, Gerhard Richter의 〈Atlas-Panel 470-479〉(모형도) 65

[도판 37] Mezz Floor 전경 - 하태범의 〈WHITE〉, Gerhard Richter의 〈Atlas-Panel 470-479〉(사진합성) 65

[도판 38] Mezz Floor 전경 - Loretta Lux(모형도) 66

[도판 39] Mezz Floor 전경 - Loretta Lux(사진합성) 66

[도판 40] Mezz Floor 전경 - Oleg Dou의 〈Another Face〉(모형도) 66

[도판 41] Mezz Floor 전경 - Oleg Dou의 〈Another Face〉(사진합성) 66

[도판 42] Mezz Floor 전경 - Saint Orlan의 〈Peking Opera Facial Designs〉(모형도) 66

[도판 43] Mezz Floor 전경 - Saint Orlan의 〈Peking Opera Facial Designs〉(사진합성) 66

[도판 44] Mezz Floor 전경 - Heather Dewey-Hagborg의 〈Stranger Visions〉, 〈The Face of Litter〉(모형도) 67

[도판 45] Mezz Floor 전경 - Heather Dewey-Hagborg의 〈Stranger Visions〉, 〈The Face of Litter〉(사진합성) 67

[도판 46] Basement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Cassini〉(모형도) 67

[도판 47] Basement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Cassini〉(사진합성) 67

[도판 48] Basement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Zycles〉(모형도) 67

[도판 49] Basement Floor 전경 - Thomas Ruff의 〈Zycles〉(사진합성) 67

[도판 50] Basement Floor 전경 - Hiroshi Sugimoto의 〈Lightning Field〉(모형도) 68

[도판 51] Basement Floor 전경 - Hiroshi Sugimoto의 〈Lightning Field〉(사진합성) 68

[도판 52]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Ocean〉(모형도) 68

[도판 53]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Ocean〉(사진합성) 68

[도판 54]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Pyong Yang〉(모형도) 68

[도판 55]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Pyong Yang〉(사진합성) 68

[도판 56]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Ocean〉, Thomas Ruff의 〈Zycles〉(모형도) 69

[도판 57]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Ocean〉, Thomas Ruff의 〈Zycles〉(사진합성) 69

[도판 58]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Pyong Yang〉, Hiroshi Sugimoto의 〈Lightning Field〉(모형도) 69

[도판 59] Basement Floor 전경 - Andrea Gursky의 〈Pyong Yang〉, Hiroshi Sugimoto의 〈Lightning Field〉(사진합성) 69

[도판 60] Basement Floor 전경 - 김상길의 〈Association Number〉(모형도) 69

[도판 61] Basement Floor 전경 - 김상길의 〈Association Number〉(사진합성) 69

초록보기 더보기

 〈Mechanical Echo〉는 디지털화됨에 따라 접근 및 수용 방식이 변화하고 있는 사진 매체의 양상을 담은 예술작품들을 탐색하기 위한 논자의 전시 기획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사진의 계보를 추적하고, 관련된 작가들을 리서치하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사진이 단지 아날로그 사진과의 연장선상에 머무르지 않고 독자적인 맥락에서 개념을 조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실재하는 공간을 빌려 전시의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해당 논지를 집약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디지털 사진이라는 명칭은 발명 초기 당시 디지털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모든 이미지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면서 카메라의 '촬영'에 의존한 사진 매체의 정의와 논지를 해체시켰다. 또한 1970년대를 당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운용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킹이 점진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디지털 사진은 물성을 전제로 하지 않는 형태로 가상공간(Web)에서 활발히 운용되기 시작했다.

논자는 디지털 사진의 확장성에 관련된 작가들의 작품을 탐색하기 위해 〈1. 디지털 사진의 표현〉, 〈2. 실재와 가상〉, 〈3. 사진의 확장〉으로 총 3개의 세부 주제를 설정하여 작가들을 리서치를 진행했다. 〈1. 디지털 사진의 표현〉에서는 카메라의 '촬영'에 대한 의존성을 탈피하고 디지털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확장된 표현 방법을 탐구한 작가들로 Andrea Gursky, Loretta Lux, Oleg Dou 등의 작가를 탐구했다. 그리고 〈2. 실재와 가상〉은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사진이 작동하는 방식이나, 사진을 향유하고 소비하는 세태를 작품으로 담아낸 작가들로 Thomas Ruff(JPEGS), Corinne Vionnet, 하태범 등의 작가를 언급했다. 마지막 세부 주제인 〈3. 사진의 확장〉에서는 디지털 기법을 이용하여 사진적 이미지를 완성한 Thomas Ruff(Zycles), Saint Orlan, Heather Dewey-Hagborg의 작품을 통해 사진의 개념과 범주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전시 〈Mechanical Echo〉는 3개의 층으로 나누어진 토탈미술관의 전시장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전시를 염두하여 시각화하고자 했다. 전시의 시각적 구현은 크게 두가지로 1:400의 전시장 목업을 제작하여 공간감 및 전체 구성을 검토하고, 실제 공간을 촬영한 사진에 작품 이미지를 삽입하여 보여주는 과정을 거쳤다. 작품의 배치는 실제 작품의 크기 및 공간을 감안함과 동시에 위 세 가지 챕터의 맥락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관람객의 이동 동선과 작품 간의 구성을 고려했다.

디지털 사진의 개념적 확장은 현재 진행형이며 특정 구분이나 분류로 단정 지을 수 없다. 또한 작품의 선정과 구성이 보편적인 사진적 프레임의 형태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사진에 대한 본 논의는 편협한 부분만을 다루는 것일지 모른다. 하지만 디지털 사진의 계보를 짚어보고 디지털화에 따른 사진 매체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보는 과정은 기존의 전통적인 담론과 논의에서 보다 폭넓은 시선으로 사진 매체를 조망하는 기틀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