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II. 인상주의 17
1. 인상주의 예술 17
1) 인상주의 미술 18
2) 상징주의 문학 21
2. 인상주의 음악 31
III. 드뷔시 38
1. 드뷔시의 생애 38
2. 드뷔시의 음악어법 39
3. 드뷔시의 음악적 색채감 52
IV.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60
1. 음악적 특징 60
1) 형식 62
2) 음계 및 선율 64
3) 조성 및 화성 74
4) 리듬 81
5) 기악적 색채감 84
2. 연주법 고찰 92
1) 무반주 주제선율 비교 분석 92
2) 주요 악구 비교분석 103
V. 결론 120
참고문헌 123
ABSTRACT 127
[도표 1] 반음계적 진행 66
[도표 2] 3개의 온음으로 인한 증4도 67
[도표 3] 온음음계의 두 가지 유형 70
[악보 1] '전주곡 제2권' 중 제 12곡 〈불꽃〉 mm. 64-65 34
[악보 2] '전주곡 제 1권'중 제 2곡 〈돛〉 mm. 10-14 35
[악보 3] '판화'중 제 2곡 〈그라나다의 황혼〉 mm. 119-123 36
[악보 4] 〈가라앉은 사원〉 mm. 1-3 40
[악보 5] '잊혀진 노래들' 중 제5곡 〈초록〉 mm. 1-4 40
[악보 6] 'prelude' 중 〈음과 향기는 저녁 대기 속에 감돌고〉 mm. 1-3 41
[악보 7] 'Prelude' 중 〈가라앉은 사원〉 mm. 42-43 43
[악보 8] 〈눈 위의 발자국〉 mm. 1-4 43
[악보 9] 〈가라앉은 사원〉 4도 부가화음 mm. 22-25 44
[악보 10] 'Prelude' 중 〈가라앉은 사원〉 mm. 1-3 45
[악보 11] 〈가라앉은 사원〉 병행5도 mm. 14-15 45
[악보 12] 'prelude' 중 〈가라앉은 사원〉 병행4도 mm. 84-85 46
[악보 13] 〈가라앉은 사원〉 mm. 28-41 47
[악보 14] 〈가라앉은 사원〉 (C# Doriann) 49
[악보 15] 〈가라앉은 사원〉 mm. 16-18 (B Pentatonic) 50
[악보 16] 〈피아노를 위하여〉 mm. 127-128 54
[악보 17] 'Prelude' 중, 〈아나카프리의 언덕〉 mm. 95-96 54
[악보 18] 'Prelude' 중, 〈중단된 소야곡〉 mm. 25-28 55
[악보 19] 관현악곡 '밤' 중, 〈축제〉 mm. 1-3 55
[악보 20] 'Prelude' 중, 〈서풍이 본 것〉 mm. 68-71 56
[악보 21] 'Image' 중, 〈라모를 찬양하여〉 mm. 65-68 56
[악보 22] 'Image' 중, 〈라모를 찬양하여〉 m. 31, mm. 49-51 57
[악보 23] 'Prelude' 중, 〈돛〉 mm. 32-41 59
[악보 24]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mm. 1-4 61
[악보 25] 주제 선율 및 음계 mm. 1-4 64
[악보 25-1] mm. 1-4 66
[악보 26] mm. 1-4 65
[악보 27] 제 1변주 mm. 11-14 67
[악보 28] 제 2변주 mm. 21-25 68
[악보 29] 제 3변주 mm. 26-30 69
[악보 30] 제 4변주 mm. 31-33 70
[악보 31] 제 5변주 mm. 32-37 71
[악보 32] 제 6변주 mm. 79-83 72
[악보 33] 제 7변주 mm. 87-90 72
[악보 34] 제 8변주 mm. 94-99 73
[악보 35] 제 9변주 mm. 100-105 74
[악보 36] 주제선율 mm. 1-5 75
[악보 37] mm. 8-12 76
[악보 38] mm. 17-20 77
[악보 39] m. 21, m. 23, m. 26 78
[악보 40] m. 27 79
[악보 41] m. 27 비올라와 첼로의 반감7화음의 병행진행 79
[악보 42] m. 27, m. 34 80
[악보 43] 제 6변주 mm. 79-81 80
[악보 44] 제 7변주 m. 100 81
[악보 45] m. 102 83
[악보 46] mm. 94-95 86
[악보 47] mm. 76-80 88
[악보 48] mm. 55-58 91
[악보 49] 무반주 주제선율 연주 mm. 1-4 102
[악보 50] mm. 11-14 112
[악보 51] mm. 21-25 113
[악보 52] mm. 26-30 114
[악보 53] mm. 31-37 115
[악보 54] mm. 49-52 115
[악보 55] mm. 55-58 116
[악보 56] mm. 61-64 116
[악보 57] mm. 85 117
[악보 58] mm. 96-99 118
[악보 59] mm. 102-105 119
[악보 60] mm. 107-110 119
클로드 드뷔시(Debussy, Claude Achille, 1862-1918)는 인상주의 미술이나 상징주의 문학운동의 특징을 음악에 접목한 독창적인 음악영역의 개척자라는 음악사적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드뷔시의 음악적 특징을 인상주의 회화에서 도출되는 '색채감'으로 규정하고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통해서 음악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플루트의 음색이 인상주의 회화의 음악적 색채감에 많은 기여를 한 것에 의의를 두고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이 실제로 어떻게 연주되어지는지를 음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캬라안 (Herbert von Karajan)의 지휘로 1964년 제작된 베를린 필 (Berliner Philharmoniker)의 연주와, 2010년 녹음된 죠루즈 프레트르(Georges Pretre)가 지휘하는 슈튜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Stuttgart Radio Sinfonieorchester)의 연주를 비교 분석하여 같은 나라의 오케스트라가 시간의 흐름과 국적이 다른 지휘자에 따라 연주와 음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플루트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인상주의 미술에서 색채감을 규정짓는 '빛'이 음악에서는 어떤 요소에 해당하는지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자의 오케스트라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플루트의 본 고장인 프랑스 작곡가 드뷔시의 관현악곡인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통해 인상주의의 음악이 어떻게 연주 되고 있는지 음색, 호흡, 비브라토, 리듬 등에 초점을 맞추어 구체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 인상주의의 색채감을 연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작곡가의 음악어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연주자의 주관적 견해를 갖고 음색, 비브라토, 호흡, 리듬, 프레이징 등의 처리를 통해 악보 속에 내포된 의미를 재해석하여 다양한 표현에 중점을 두는 연구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플루트 연주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작곡가와 작품이 학문적으로나 연주 기법 측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져 플루트 연주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