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시작점 9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3. 연구문제 14

II. 이론적 배경 15

1.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 15

1) 미술치료 15

2) 미술치료사의 역할 17

2. 부모상담 19

1) 부모상담의 개념과 필요성 19

2) 부모상담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 22

3. 미술치료에의 부모상담 23

1) 미술치료에서의 부모상담 23

2) 미술치료 부모상담에서 치료사와 부모와의 관계 24

III. 연구방법 27

1. 현상학적 연구방법 27

2. 연구 참여자 30

3. 자료수집 및 방법 34

4. Moustakas의 분석과정 36

5.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39

IV. 연구 결과 40

1. 치료의 시작 42

1) 부모와의 첫 만남 42

2) 치료에 임하는 자세 48

2. 부모의 태도 51

1) 관계 저해요인 52

2) 관계 촉진 요인 61

3. 치료사와 부모의 역할 64

1) 치료사의 입장 66

2) 부모의 입장 68

4. 치료의 종결 72

1) 치료사의 성장 72

2) 부모의 성장 77

V. 논의 및 제언 82

참고문헌 88

Abstract 93

부록 8

부록 I. 연구 설명서 96

부록 II. 연구 참여 동의서 98

부록 III. 인터뷰 질문지 99

부록 IV. 현장노트 101

표목차

표 III-1. 연구 참여자의 특성 31

표 III-2. 연구 참여자를 통한 자료수집 34

표 III-3. Moustakas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과정 38

표 IV-1. 미술치료사의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 도출과정 41

그림목차

그림 II-1. 미술치료의 삼원적 관계구조 16

그림 IV-1. 참여자 B의 작품 '끊어질 수 있는 끈' 52

그림 IV-2. 참여자 G의 작품 '외로움' 55

그림 IV-3. 참여자 C의 작품 '선입견' 59

그림 IV-4. 참여자 G의 작품 '다시 새롭게' 63

그림 IV-5. 참여자 D의 작품 '부모와 치료사가 함께 만드는 아이의 행복' 65

그림 IV-6. 참여자 E의 작품 'Horao' 68

그림 IV-7. 참여자 F의 그림 '부모와 아이의 의미 있는 거리' 71

그림 IV-8. 참여자 D의 그림 '함께 가는 길' 80

그림 IV-9. 참여자 A의 작품 '뫼비우스의 띠' 81

그림 V-1. 미술치료에서의 부모상담 모형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