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이란의 에너지·광물자원 시장 현황 분석 및 우리기업의 진출 방안 =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Iranian energy & mineral resources and strategies for the Korean firms / 박 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621.042 -16-328
형태사항
ix, 9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5505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에너지자원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전공, 2016.8. 지도교수: 김진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제1장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1.2. 연구 내용 및 방향 14

제2장 이란의 에너지·광물 자원 현황 16

2.1. 석유 17

2.2. 천연가스 21

2.3. 광물 자원 25

제3장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의 산업구조 31

3.1. 석유 및 천연가스 부문 31

3.2. 광업 부문 34

제4장 이란 자원개발법규 현황 35

4.1. 석유법 35

4.1.1. 적용대상 및 정의 35

4.1.2. 석유자원 및 관련 자산의 국가귀속성 37

4.1.3. 석유부의 권한 및 의무 37

4.1.4. 자본투자 적용법률 및 소유권 양도 제한 39

4.1.5. 석유사업 관련 권리 취득 39

4.1.6. 무효조항 39

4.2. 광업법 41

4.2.1. 산업광업교역부의 권한 및 책임 41

4.2.2. 탐광(Exploration) 42

4.2.3. 개발(Exploitation) 44

4.2.4. 일반사항(General regulations) 47

제5장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의 Sanction 해제 이후 최근 동향 49

5.1. 석유 및 천연가스 부문 49

5.2. 광업 부문 55

5.3. 주요 개발계획 58

5.3.1. 석유 및 천연가스 Up-stream 부문 58

5.3.2. 석유 및 천연가스 Down-stream 부문 63

5.3.3. 광업 부문 69

5.4. 에너지 자원 산업 관련 주요 이슈 70

5.4.1. 이란석유계약(IPC) 도입 추진 70

제6장 이란 Sanction 해제 이후 경제전망과 한계 74

6.1. 이란의 Sanction 해제 이후 경제 전망 75

6.1.1. Sanction 해제 이후 주요 경제정책 75

6.1.2. 원유·천연가스 부문 전망 78

6.2. 국제 에너지시장에서의 이란 Sanction 해제 영향 및 한계 86

제7장 우리기업의 이란 에너지·광물시장 진출 방안 92

7.1. 우리기업의 이란 에너지·광물자원시장 진출 시 고려사항 92

7.2. 결론 96

참고문헌 98

ABSTRACT 100

〈표 2-1〉 주요 산유국의 석유 매장량(확인 매장량) 17

〈표 2-2〉 현재 생산 중인 이란의 주요 유전 19

〈표 2-3〉 주요 산유국의 천연가스 매장량(확인 매장량) 21

〈표 2-4〉 South Pars 광구 개발 현황 23

〈표 2-5〉 이란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 27

〈표 3-1〉 NIOC社의 주요 자회사 현황 32

〈표 3-2〉 IMIDRO社의 주요 자회사 현황 34

〈표 5-1〉 South Pars 가스광구의 개발 현황 및 계획 51

〈표 5-2〉 이란의 경제제재 이전부터 추진 중인 LNG 프로젝트 52

〈표 5-3〉 IMIDRO가 외국기업 투자 유치를 추진 중인 주요 프로젝트 55

〈표 5-4〉 IMIDRO社의 Iron 정광관련 프로젝트 56

〈표 5-5〉 IMIDRO社의 동(copper)관련 프로젝트 57

〈표 5-6〉 이란의 주요 신규 유전 개발 프로젝트 59

〈표 5-7〉 추진 중인 이란의 주요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60

〈표 5-8〉 이란의 정제시설 현황 65

〈표 5-9〉 신규 건설 추진 중인 정유시설 66

〈표 5-10〉 이란의 인근 국가들과 추진 중인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68

〈표 5-11〉 Buy-Back 계약방식과 이란석유계약(IPC) 계약방식의 차이 73

〈표 6-1〉 이란의 발전 잠재력 3대 요소 75

〈표 6-2〉 이란 6차 5개년 개발계획(2016~2021) 76

〈표 6-3〉 이란의 저항경제(the economy of resistance) 기반 구축 방안 78

〈표 6-4〉 중동 주요 산유국의 에너지 수출의존도 비중 79

〈표 6-5〉 20개 주요 산유국의 원유생산 원가 80

〈표 6-6〉 이란의 원유·천연가스 생산 동향 및 전망 82

〈표 6-7〉 이란 천연가스 부문별 소비 현황(2014) 88

〈그림 2-1〉 이란의 원유 및 천연가스 매장지역 현황 16

〈그림 2-2〉 이란의 유전지대 분포 현황 18

〈그림 2-3〉 South Pars 광구 개발 개요 22

〈그림 2-4〉 이란 광물자원 분포도 25

〈그림 2-5〉 이란의 주요 광물 분포 및 광화대 현황 26

〈그림 2-6〉 동 생산량 추이 28

〈그림 2-7〉 아연 생산량 추이 29

〈그림 2-8〉 이란의 현재 광산 운영 현황 30

〈그림 5-1〉 이란의 석유 생산·소비 변동 추이(2011년~2014년) 49

〈그림 5-2〉 외국기업에 개방 가능성 있는 이란의 주요 유전 및 가스전 62

〈그림 5-3〉 이란의 유전지대, 정제소 및 인프라 현황 64

〈그림 5-4〉 이란의 간선 가스 파이프라인 현황 67

〈그림 6-1〉 이란의 광업 부문 가치총액 전망 84

〈그림 6-2〉 이란의 광산물 소비 관련 요인 전망(2014~2020) 85

〈그림 6-3〉 2016년 전 세계 원유수급 추정 86

〈그림 6-4〉 이란 천연가스 생산·소비 현황 87

〈그림 6-5〉 이란 및 경쟁국 원유 수출 비교(2010 vs 2015) 89

〈그림 6-6〉 이란 vs 경쟁국, 중질유 OSP 90

초록보기 더보기

 세계 4위의 원유 매장량 및 세계 1위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세계적인 자원 부국이자 석유수출국기구(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PEC) 제 3위의 산유국인 이란이 지난 10여 년간의 긴 국제사회의 경제제재에서 벗어나 세계적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고성장이 예상되는 가장 유망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란은 자원 부국이기도 하지만 지정학적으로 아시아·유럽·중동을 연결하는 허브로 7개국과 인접하고 있는 지리적 요충지이자 인구 8,000만 명을 보유한 중동 제2의 내수시장, 그리고 중동 제1의 제조기반을 가진 국가로서 경제제재 해제 이전부터 최근까지 유럽,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각국의 기업들은 이란의 석유·천연가스 개발 사업뿐만이 아니라 대규모 투자를 동반하는 인프라, 플랜트 등의 분야에 참여 협의를 진행하고, 일부는 추진되고 있다. 또한 이란 정부 역시 경제제재 해제 이후, 경제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외개발과 경제개발 계획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투자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제상황 하에서 이란의 에너지·광물자원 시장의 현재 자원 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 기업의 이란 에너지·광물 시장 진출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추진 방향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란 정부는 최근 국가 산업 전반에 대한 개발 계획들을 발표하고 있고, 이 계획들에 외국 투자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란 정부의 이러한 계획들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실 이란 정부는 재정적으로 아직 재정적자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에너지·광물자원 분야의 개발 계획은 외국 자본을 유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로 석유·천연가스 분야에서는 프로젝트의 사업성에 의존하는 Off-take 방식의 발주가 예상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외국 기업들의 파이낸싱 능력이 프로젝트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광물 분야에서는 이란 내수 시장의 활성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란 정부의 주요 전략광물들을 중심으로 투자 참여 기회를 확보하는 것이 유의미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10여 년 동안, 이란이 경제제재로 인해 많은 산업 기반시설 및 인프라 등이 매우 낙후되었고 수많은 개발 프로젝트들이 지연되어 있었던 것 만큼 향후 이란 내 사회 전반에 걸쳐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발주될 것이고, 이 과정에서 많은 원자재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란 정부도 이러한 주요 원자재들을 생산할 수 있는 광물들을 중심으로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에 많은 외국 정부들 및 기업들이 참여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며 우리 정부 및 기업들도 이란 진출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 및 기업들의 경우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고 이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단독으로 사업 참여하기에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이란 시장에 기 진출한 외국 기업들 및 이란 내 기업들과의 합작을 통한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란의 경우, 이제야 시장이 개방된 만큼 행정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으로 많은 부분 국제 기준에는 못 미치거나 아직은 생소한 격차가 있는 만큼 타 국가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리스크 분산 및 헷지를 통한 진출이 현 시점에서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중요한 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이 많은 가능성과 기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많은 리스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란 시장 진출은 여느 타 자원 국가로의 진출 준비보다도 더 많은 조사/검토가 필요하며, 항상 이란의 시장 변화 및 정치적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란 시장 진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으로 우리 기업의 진출 방안을 조사/연구하면서 에너지·광물 자원 분야에서의 국가 정부의 지원/참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란 에너지·광물 자원 시장의 적극적인 진출 고려로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사업 확대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