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 정서조절·자아존중감·공감능력 중심으로 = (The)application of self-understanding creative drama program for improving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 focused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elf-esteem, empathic ability / 윤혜미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792.6 -16-24
형태사항
v, 8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5574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뮤지컬/연극제작·연출·연기전공, 2016.8. 지도교수: 김윤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의 목적과 제한점 13

II. 이론적 배경 16

1. 청소년의 특성 16

1)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16

2) 스마트 시대의 청소년 특징 18

2. 정서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공감능력의 개념 23

1) 정서조절능력 23

2) 자아존중감 25

3) 공감능력 26

3. 자기이해 개념과 관련이론 27

1) 자기이해 개념 27

2)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인간이해 28

3)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자기이해지능 30

4. 연극놀이 32

1) 연극놀이의 개념이해 32

2) 연극놀이 관습(Drama Convention) 34

III.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38

1.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구성 38

2.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운영 39

1) 1회기 〈나 이런 사람이야〉 41

2) 2회기 〈감정~ 어디까지 가봤니?〉 44

3) 3회기 〈내 감정 버튼 찾기〉 47

4) 4회기 〈미래의 나를 위해〉 50

IV. 연구방법 54

1. 연구대상 54

2. 연구절차 54

1) 프로그램 계획 2015.10 ~2016. 1.27 54

2) 연구대상 모집 2016.1.28.~ 2016. 2.1 54

3) 예비모임 2016.2.2. 54

4) 사전검사 2016.2.2. 54

5) 프로그램 실시 2016.2.3.~2016.2.5. 55

6) 사후검사 2016.2.5. 55

7) 추후 설문지 2016.4.10.~17 55

3. 연구측정도구 55

1) 정서조절능력 검사 55

2) 자아존중감 검사 56

3) 공감능력 검사 56

4. 연구 설계 57

5. 분석방법 58

1) 통계분석 58

2) 내용분석 58

V. 연구결과 59

1. 정서조절능력 검사 분석 59

2. 자아존중감 검사 분석 61

3. 공감능력 검사 분석 63

4. 내용분석 65

1)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분석 65

2) 참여자 소감문·추후 만족도 설문지 내용분석 69

VI. 결론 및 제언 76

참고문헌 78

부록 7

〈부록 1〉 설문지 81

〈부록 2〉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추후 만족도 설문지 86

〈부록 3〉 청소년 소감문 원본 86

Abstract 89

〈표 1〉 기성세대와 스마트세대의 청소년 특징 18

〈표 2〉 청소년이 고민하는 문제 21

〈표 3〉 청소년(15~24세) 사망원인 22

〈표 4〉 프로그램 단계별 주제 및 내용 38

〈표 5〉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39

〈표 6〉 감정카드에 구성된 감정단어 60가지 44

〈표 7〉 『미움 받을 용기』 자기긍정이 아닌 자기수용을 하라 50

〈표 8〉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5

〈표 9〉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6

〈표 10〉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7

〈표 11〉 연구 설계 57

〈표 12〉 정서조절능력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표 59

〈표 13〉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표 61

〈표 14〉 공감능력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표 63

〈표 15〉 각 내용분석을 통한 하위요인별 효과 73

[그림 1] 사전-사후 하위요인별 변화와 정서조절능력 변화 60

[그림 2] 사전-사후 하위요인별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62

[그림 3] 사전-사후 하위요인별 변화와 공감능력 변화 64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은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의 향상에도 모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청소년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에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에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면,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9명의 단일군 실험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연극놀이 프로그램 경험이 없는 일반 청소년들이다. 실험집단에는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총 4회기로 진행하였고, 본 프로그램의 양적결과에 판단을 위한 세 가지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분석에 사용한 세 가지 척도인 정서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양적검증의 객관적 신뢰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의 관찰일지 및 활동사진자료와 청소년 소감문, 추후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 내용분석을 결과에 보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정서조절능력은 사전-사후검사에서 나타난 유의미한 차이로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내용분석에서도 하위요인별 점진적인 향상 및 특징적 향상을 근거로 이를 보충해주었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도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와 내용분석에서도 각 하위요인별 점진적인 향상 및 특징적 향상을 근거로 보충하며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서도 모두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셋째, 위와 같이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고, 청소년 자아존중감 향상 및 공감능력 향상도 함께 되었기에 본 연구의 두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넷째, 본 프로그램-종료 2개월 후에 실시된 설문지에서 만족도 평가는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변화에 대한 소감내용에서도 정서조절 능력 및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의 향상된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종료 후에도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찾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기대는 본 프로그램이 4회기로 구성되었던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해보면,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은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의 향상에도 모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찾은 의미는 현실적인 4회기 프로그램으로 사후 소감문 및 추후 만족도 설문지에서 높은 만족도를 받은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추후에 같은 주제로 접근하여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이해 연극놀이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