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4

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4

2. 선행 연구 14

3. 연구 방법 및 범위 15

II. Muczynski의 생애와 피아노 작품의 개요 16

1. Muczynski의 생애 16

2. 피아노 작품의 개요 21

3. 대표적인 피아노 작품 23

1) 〈Suite, Op. 13〉 23

2) 〈Toccata, Op. 15〉 24

3) 〈Maverick Pieces, Op. 37〉 24

4) 〈Masks, Op. 40〉 25

5) 〈Dream Cycle, Op. 44〉 26

6) 〈Desperate Measures(Paganini Variations), Op. 48〉 26

4. 피아노 작품의 특징 27

1) Tcherepnin의 영향 27

2) 미국 음악의 요소 28

3) 형식 28

4) 리듬과 선율, 화성 31

III. Muczynski의 피아노 소나타 구조 분석 32

1. 〈Sonata No. 1, Op. 9〉 33

1) 제1악장 33

2) 제2악장 46

2. 〈Sonata No. 2, Op. 22〉 53

1) 제1악장 54

2) 제2악장 71

3) 제3악장 76

4) 제4악장 87

3. 〈Sonata No. 3, Op. 35〉 97

1) 제1악장 98

2) 제2악장 109

3) 제3악장 118

IV. 결론 128

부록 131

부록 1. R. Muczynski의 전체 작품목록 131

부록 2. 작품번호가 없는 작품목록 135

부록 3. 기록영화음악 (Documentary Film Scores) 작품목록 136

참고문헌 137

Abstract 140

표목차

〈표 1〉 Muczynski의 피아노 작품 목록 22

〈표 2〉 Muczynski의 대표적인 피아노 작품 목록 23

〈표 3〉 Muczynski의 피아노 독주곡 목록 30

〈표 4〉 Muczynski 의 피아노 소나타 32

〈표 5〉 〈Sonata No. 1〉 제1악장 구조 34

〈표 6〉 〈Sonata No. 1〉 제2악장 구조 47

〈표 7〉 〈Sonata No. 2〉 제1악장 구조 54

〈표 8〉 〈Sonata No. 2〉 제2악장 구조 73

〈표 9〉 〈Sonata No. 2〉 제3악장 구조 78

〈표 10〉 〈Sonata No. 2〉 제4악장 구조 90

〈표 11〉 〈Sonata No. 3〉 제1악장 구조 99

〈표 12〉 〈Sonata No. 3〉 제2악장 구조 110

〈표 13〉 〈Sonata No. 3〉 제3악장 구조 119

악보목차

〈악보 1〉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4, 서주 35

〈악보 2〉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5-13, 제1주제 35

〈악보 3〉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5-13 36

〈악보 4〉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23-24 37

〈악보 5〉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34-37, 제2주제 37

〈악보 6〉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67-75 38

〈악보 7〉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73-89 39

〈악보 8〉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91-96, 혼합 박자 40

〈악보 9〉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97-98, 서주의 요소 41

〈악보 10〉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04-106, 서주의 요소 41

〈악보 11〉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12-113, 서주의 요소 41

〈악보 12〉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19-122, 리듬 강조 42

〈악보 13〉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19-129, 제2주제와 서주의 요소 43

〈악보 14〉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39-155, 새로운 선율 44

〈악보 15〉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60-163, 제1주제 재현 45

〈악보 16〉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78-182, 7화음 45

〈악보 17〉 〈Sonata No. 1〉 제2악장 , 마디 1-5, 박자표의 변화 48

〈악보 18〉 〈Sonata No. 1〉 제2악장, 마디 17-18, 헤미올라 48

〈악보 19〉 〈Sonata No. 1〉 제2악장, 마디 79-86, 오스티나토 패턴 49

〈악보 20〉 〈Sonata No. 1〉 제2악장, 마디 96-100, 유니즌 49

〈악보 21〉 〈Sonata No. 1〉 제2악장, 마디 161 -165, D pedal point 50

〈악보 22〉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4, 서주 50

〈악보 23〉 〈Sonata No. 1〉 제1악장, 마디 173-174, 제1악장 서주의 요소 51

〈악보 24〉 〈Sonata No. 1〉 제2악장, 마디 273-277, 제1주제의 리듬 강조 52

〈악보 25〉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 제1주제 55

〈악보 26〉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의 제1주제 주요 요소 55

〈악보 27〉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2, 동형 진행 55

〈악보 28〉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3-17, 제1주제 변형 56

〈악보 29〉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3-17, 장7화음과 4도씩 쌓아올린 화음 57

〈악보 30〉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23-29, 베이스 순차 진행 58

〈악보 31〉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58-64, 제1주제 변형 -3 59

〈악보 32〉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65-72, 제2주제 59

〈악보 33〉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70-72, 제2주제 60

〈악보 34〉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80-86, 제2주제 61

〈악보 35〉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87-88, 제2주제 음가 확장 61

〈악보 36〉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3, 제1주제 62

〈악보 37〉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95-98, 제1주제의 변형 62

〈악보 38〉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01-107 63

〈악보 39〉 S. Barber 〈Sonata, Op. 26〉 제4악장, 마디 64-67 64

〈악보 40〉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19-121, 제1주제 4도 하행 65

〈악보 41〉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25-126, 제1주제 4도 상행 65

〈악보 42〉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39-143 66

〈악보 43〉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42-145 67

〈악보 44〉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49-153, 제1주제 68

〈악보 45〉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70-72, 제2주제 68

〈악보 46〉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74-177, 반주 변형 69

〈악보 47〉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87-193, 반복적 리듬과 증4도 70

〈악보 48〉 〈Sonata No. 2〉 제1악장, 마디 194-196, 4도 강조 71

〈악보 49〉 〈Sonata No. 2〉 제2악장, 마디 1-13 72

〈악보 50〉 S. Barber 〈Sonata, Op. 26〉 제2악장 마디 1-9 72

〈악보 51〉 〈Sonata No. 2〉 제2악장 , 마디 1-12, 4도와 7도의 강조 74

〈악보 52〉 〈Sonata No. 2〉 제2악장, 마디 1-6, 오스티나토 패턴 74

〈악보 53〉 〈Sonata No. 2〉 제2악장, 마디 34-39, 5/8 박자 75

〈악보 54〉 〈Sonata No. 2〉 제2악장, 마디 83-94, a¹부분 75

〈악보 55〉 〈Sonata No. 2〉 제2악장, 마디 116-121, 블루스 음계 76

〈악보 56〉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1-6 77

〈악보 57〉 F. Chopin 〈Sonata No. 2, Op. 35〉 제3악장 마디 1-10 77

〈악보 58〉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1-8, 4도 음정 79

〈악보 59〉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19-21, 즉흥적 표현 80

〈악보 60〉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31-35, 즉흥적 표현 81

〈악보 61〉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39-40, 넓은 음역 82

〈악보 62〉 S. Barber 〈Sonata, Op. 26〉 제4악장 마디 35-39, 넓은 음역 83

〈악보 63〉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45-50 84

〈악보 64〉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53-55, 증4도 85

〈악보 65〉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60-63, 옥타토닉 음계 85

〈악보 66〉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1-2의 오른손 선율 86

〈악보 67〉 〈Sonata No. 2〉 제3악장, 마디 63, 4도와 D pedal point 86

〈악보 68〉 Muczynski가 사용한 4도 관계 화음 87

〈악보 69〉 A. Scriabin의 신비 화음 87

〈악보 70〉 〈Sonata No. 2〉 제4악장 마디 1-11 88

〈악보 71〉 S. Barber 〈Sonata, Op. 26〉 제4악장 마디 1-4 89

〈악보 72〉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1-3, 주제 90

〈악보 73〉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16-19, a¹부분 91

〈악보 74〉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36-43, a²부분 92

〈악보 75〉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60-65, 서정적 정서 93

〈악보 76〉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98-104, 4도 음정과 2도 음정 93

〈악보 77〉 〈Sonata No. 2〉 제4악장, 마디 114-121, 유니즌 기법 94

〈악보 78〉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122-125, 쉼표의 사용 94

〈악보 79〉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138-146, 제1악장 1주제 95

〈악보 80〉 〈Sonata No. 2〉의 제4악장, 마디 152-157, 유니즌과 화성 결합 96

〈악보 81〉 S. Barber 〈Sonata, op. 26〉 제4악장, 마디 141-146, 곡의 종결 97

〈악보 82〉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6, 4도 7도 9도 100

〈악보 83〉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7-9, 블루스 음계 101

〈악보 84〉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0-12, 4도 음정과 2도 음정의 결합 101

〈악보 85〉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49-56, 헤미올라 102

〈악보 86〉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74-79, 베이스 지속음과 오른손 3도 반복 103

〈악보 87〉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14-120, 박자표의 변화 103

〈악보 88〉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91-99, 제1주제 104

〈악보 89〉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21-124, 제2주제 105

〈악보 90〉 〈Sonata No. 3〉 제1악장마디 1-4, 마디 142-144, 주제 성격 변화 105

〈악보 91〉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53-158, 제1주제 변형 106

〈악보 92〉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170-181, 독립적인 선율 107

〈악보 93〉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202-219 108

〈악보 94〉 〈Sonata No. 3〉 제1악장, 마디 220-223, 반감 7화음 109

〈악보 95〉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1-6 111

〈악보 96〉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1, 음정의 역행 111

〈악보 97〉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1, 완전 5도 112

〈악보 98〉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1, 5 도와 6도의 혼합 112

〈악보 99〉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6-9, 개성있는 불협 화음 113

〈악보 100〉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35-42, 사진행 114

〈악보 101〉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76-79, 음형 반복 114

〈악보 102〉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76-79, 5음 음계와 온음 음계 115

〈악보 103〉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1-3, 주제의 성격 변화 115

〈악보 104〉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98-100, 주제 선율 116

〈악보 105〉 〈Sonata No. 3〉 제2악장 마디 98-106 117

〈악보 106〉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 제1악장의 4도 음정의 발전 120

〈악보 107〉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21-28, a¹부분 121

〈악보 108〉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42-47, 2, 3, 4도 음정 122

〈악보 109〉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54-55, 재즈 요소 122

〈악보 110〉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54-55, F₁₁ 화음 123

〈악보 111〉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60-62, 5음 음계 123

〈악보 112〉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10-113 124

〈악보 113〉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27-128 124

〈악보 114〉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27-128 오른손의 화성 124

〈악보 115〉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3 125

〈악보 116〉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33-139, 주제의 변형 125

〈악보 117〉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33-139, 타악기적 효과 126

〈악보 118〉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48-151, 16분음표 연속 사용 126

〈악보 119〉 〈Sonata No. 3〉 제3악장, 마디 169-172 127

초록보기

 Robert Muczynski(1929-2010)는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그의 작품은 작품번호가 있는 곡이 총 48곡이며 피아노 독주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독주 악기를 위한 곡,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피아노와 관련된 작품이 독주곡 17곡, 피아노를 포함한 실내악곡 9곡, 피아노 협주곡 2곡으로 전체 작품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특별히 피아노 소나타는 약 10년을 주기로 세 곡이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나타 제1번(Sonata No. 1>(1957), <소나타 제2번(Sonata No. 2>(1966), <소나타 제3번(Piano Sonata No. 3>(1973~1974) 피아노 소나타 전곡의 형식 분석과 작품에서 나타나는 Muczynski의 음악적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Muczynski의 주요 피아노 작품에 대한 정보는 그가 직접 연주하여 녹음한 LP <Muczynski plays Muczynski, LR-114, 124>(1980, 1983)과 CD <Muczynski plays Muczynski, LR-863, 864)>(2000)를 참고하였다. 이 LP와 CD의 노트에는 Muczynski 자신이 그의 작품에 대한 생각과 작곡 배경, 작품의 해설을 기술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나타 전곡 분석에 앞서 Muczynski의 생애를 알아보고 그의 피아노 작품을 전체 작품과 대표적인 작품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그는 뛰어난 피아니스트 이자 작곡가였기 때문에 피아노에 많은 관심을 두어 피아노를 포함한 작품 수가 전체 작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Muczynski의 피아노 작품의 주요특징은 러시아 작곡가인 Tcherepnin과 Prokofiev의 영향, 미국의 대중적 요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소나타 세 곡은 각각의 형식과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Muczynski의 음악성향과 작곡어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나타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Muczynski는 자신만의 다양한 리듬과 패턴을 위해 헤미올라, 오스티나토, 복합 리듬, 불규칙한 박자를 사용하였으며, 선율을 작곡 할 때 5음 음계, 온음 음계, 블루스 음계를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화성적인 측면에서는 감화음과 7화음 등의 전통 화성은 물론 부가음을 사용한 화성의 사용도 자주 나타난다. 또한 4도 음정을 높은 비중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수평적으로는 선율에서 4도를 빈번히 사용하며 연속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음정과 결합하였고 수직적으로는 화성을 4도 간격으로 쌓아올렸다.

Muczynski가 자신의 작품에서 전통적인 어법과 새로운 작곡어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그만의 독특한 작곡세계를 펼침은 그를 신고전주의 작곡가로 분류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논문은 Muczynski의 생애와 피아노 주요 작품을 살펴보고 세 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중심으로 한 그의 음악어법의 특징을 정리하여 동시대 작곡가와 차별화 되는 Muczynski 고유의 음악 양식을 연구함에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