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A study 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Vietna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 Le Kieu Trang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1 온라인자료 : PDF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5969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학과 다문화교육전공, 2016.8. 지도교수: 김영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3. 선행연구 검토 15

II. 이론적 배경 19

1. 베트남 문화와 교육 19

1.1. 베트남 사회와 문화다양성 19

1.2. 베트남의 교육 제도 25

2. 문화정체성과 상호문화주의 34

2.1. 문화정체성 34

2.2. 상호문화주의 36

III. 연구방법 42

1. 연구 절차 42

2. 연구참여자 44

2.1. 전문가 44

2.2. 교육경험자 47

3. 자료수집 방법 50

4. 자료 분석 53

5. 연구의 신뢰성과 윤리적 고려 55

IV.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실제 57

1. 문화다양성교육의 지원 57

1.1. 문화다양성에 대한 현장자료의 수집 57

1.2. 문화다양성교육 지원을 위한 범주화 63

1.3. 문화다양성교육 정책의 실현 67

1.4. 문화다양성의 요소와 평가 72

2.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미 76

2.1. 보통교육에서 나타난 '근원'과 대립 77

2.2. 교육 외 경험에 따른 보충과 보완 81

2.3. 보통교육 이후 이해를 위한 노력 87

3. 소결 93

V. 결론 95

1. 요약 95

2. 논의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5

부록 112

Abstract 120

〈표 2-1〉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헌법(2013), 제 1장 정치제도, 제 5조 27

〈표 2-2〉 베트남 문화다양성을 위한 교육 정책 33

〈표 2-3〉 Banks(2008)는 설명하는 민족정체성의 6단계 35

〈표 2-4〉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교육 40

〈표 3-1〉 전문가 연구참여자의 정보 45

〈표 3-2〉 일반인 연구참여자의 정보 47

〈표 3-3〉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 52

〈표 3-4〉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접근 54

〈표 4-1〉 김영순 외(2013)을 기준으로 한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이... 72

〈표 4-2〉 베트남 일반인 참여자들의 문화다양성정책에 의한 교육 경험의 의미 76

[그림 3-1] 연구의 절차 43

[그림 3-2] 연구참여자들의 베트남에서의 생활지역 51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 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다양성 속에의 통일'을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지원 특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살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노동자와 결혼이주자를 비롯한 이주민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한국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에 국내 이민자 수가 한국 전체인구의 약 3%를 차지하며, 그 중 베트남 출신은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한국통계청 2016.4.14.). 또한 1990년대 초부터 맺어온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관계 증진을 위해서는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측면에서의 상호협력이 촉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상호협력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먼저 베트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한국 내 베트남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경제·사회적 측면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에 대응하는 교육정책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베트남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1) 전문가 인터뷰, 2) 일반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이며,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 6명의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베트남에서 교육받은 6명의 일반인 연구참여자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에서는 베트남 교육경험자들의 문화다양성 교육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의 경험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교육지원을 위한 과정은 총 6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베트남에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지원정책은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을 토대로 한다. 둘째, 베트남의 문화 다양성정책 수립의 과정은 현장성과 전문성 그리고 체계성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정책 수립과정의 체계에서 벗어나거나 정치적 혹은 경제적 입장에 따라서 전문가들의 제안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이 인식한 문화요소는 언어와 역사, 문화공간, 생활문화, 풍습과 종교, 전통예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섯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에 기반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노력은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는다. 여섯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대외적인 호평과 달리 내부적으로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또한 베트남 교육경험자인 일반인 연구참여자를 통해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일반인 참여자들은 보통 교육을 통해 소수민족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나와 다른'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보통교육을 벗어난 개인적인 경험 속에서 자신의 관점을 규정하고, 보통교육을 통해 이해한 것을 보완하거나 보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셋째, 보통교육 이후 참여자들은 진로 진학과 관련하여 생활범위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넷째, 베트남 일반인 참여자들이 전문가들이 제시한 문화다양성 요소를 인식하는 수준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요소별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공간, 종교, 전통예술 등의 문화다양성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여섯째, 앞서 넷째와 다섯째에서 제시한 결과는 전문가 인터뷰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의 문화다양성교육 경험은 '개인적 경험에 따른 보통교육의 발전적 이해'로 의미화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를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에 유의하다고 판단되는 시사점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에 있어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에 대한 심층인터뷰가 이워지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과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발전에 좀 더 의미가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