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용산공원 조성에 따른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연구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 (A)study on how to utilize modern structures in establishing Yongsan Park : focused on a survey on Seoul citizens / 권영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792.068 -16-35
형태사항
vii, 9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6181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공연예술경영전공, 2016.2. 지도교수: 조남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1.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1.1. 연구의 배경 11

1.1.2. 연구의 목적 12

1.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14

1.2.1. 연구의 방법 14

1.2.2. 연구의 제한점 15

2. 이론적 배경 16

2.1. 근대건축물의 역사적 특징 및 가치 16

2.1.1. 근대건축물의 특징 및 가치 16

2.1.2.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근대건축물의 활용사례 19

2.2. 용산기지의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 37

2.2.1. 용산기지의 지정학적 특성 37

2.2.2. 용산기지의 역사적 배경 39

2.3. 도시공원의 개념과 조성의 필요성 44

2.3.1. 도시공원의 개념 및 종류 44

2.3.2. 도시공원 조성의 필요성 54

2.4. 도시공원 조성지역 내 주요문화재 현황 55

3. 군기지내의 공원전환 시 근대건축물 활용사례 58

3.1. 군기지내 공원 전환 시 국내 근대건축물 활용사례 58

3.2. 군기지내 공원전환 시 해외 근대건축물 활용사례 62

3.3. 사례를 통한 시사 및 논의점 69

4.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수요조사 분석 70

4.1.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수요조사를 위한 설문 설계 70

4.1.1. 연구과제 70

4.1.2. 수요조사를 위한 설문 설계 71

4.2. 수요조사 결과 74

4.3. 사례 및 수요조사 결과를 통한 용산공원 내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83

5. 결론 85

참고문헌 87

Abstract 88

부록 91

〈부록 1〉 용산공원 조성에 따른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설문조사 91

〈부록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96

〈표 2-1〉 건축물과 역사적 유물의 차이점 17

〈표 2-2〉 근대건축물의 가치 종류 17

〈표 2-3〉 문화재 종류 구분 및 내용 19

〈표 2-4〉 지정문화재 제도와 등록문화제 제도의 비교현황 21

〈표 2-5〉 등록문화재 신청 시 구비서류 23

〈표 2-6〉 문화재(지정·등록) 총괄 현황 25

〈표 2-7〉 등록문화재 지역별 현황 26

〈표 2-8〉 일본에 의해 점령당한 용산의 시기 구분 40

〈표 2-9〉 용산기지 내 근대건축물 목록 및 현황 41

〈표 2-10〉 조사대상 건축물의 용도 및 분포지역 42

〈표 2-11〉 용산공원 정비구역 범위 43

〈표 2-12〉 우리나라와 서구의 공원도입 개념차이 비교 현황 45

〈표 2-13〉 도시공원 법제도의 변천과정 및 특징 46

〈표 2-14〉 도시공원 시설유형 47

〈표 2-15〉 공원관련 총괄 현황 48

〈표 2-16〉 도시공원 개소 현황 49

〈표 2-17〉 도시공원 조성 현황 50

〈표 2-18〉 도시자연공원·구역 결정 및 지정 현황 51

〈표 2-19〉 2013 서울시 공원총괄 현황 52

〈표 2-20〉 서울시 자치구별 공원면적 53

〈표 4-1〉 설문설계 문항 72

〈표 4-2〉 설문문항 구성표 74

〈표 4-3〉 서울 각 구별 설문조사 응답자 분포 82

[그림 2-1] 문화재 등록절차 22

[그림 2-2] 문화재 등록신청 24

[그림 2-3] 등록문화재 현황 26

[그림 2-4] 고지도에서의 도성도 19세기 용산 38

[그림 2-5] 고지도에서의 경조오부도 1856년 구용산과 신 용산 38

[그림 3-1] 부산시민 공원 조감도 61

[그림 3-2]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 마스터플랜 64

[그림 3-3] Downsview park 당선 현상 설계안 68

[그림 4-1] 연령대별 분포도 75

[그림 4-2] 공원조성에 따른 인지방법 분포도 76

[그림 4-3] 일제강점기 근대문화재 처리방안에 대한 국민의식 77

[그림 4-4] 민족성 및 역사문화성 구현에 대한 국민의식 78

[그림 4-5] 연령대별 인지도 78

[그림 4-6] 연령대별 인지수단 79

[그림 4-7] 연령대별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건축물의 처리 방안 80

[그림 4-8] 연령대별 여가·휴식공간 조성 시 필요한 기능 분석 80

[그림 4-9] 연령대별 자연생태공간 조성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81

[사진 2-1] 구 서울역사 27

[사진 2-2] 철원 노동당사 28

[사진 2-3] 창경궁 대온실 29

[사진 2-4] 철원 승일교 30

[사진 2-5]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회관 30

[사진 2-6] 제주 가마 오름 일제 동굴진지 31

[사진 2-7] 대봉동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 31

[사진 2-8] 일본 메이지 무라 야외박물관 32

[사진 2-9] 중국 따산쯔 798 예술 구 33

[사진 2-10] 네덜란드 국립야외박물관 34

[사진 2-11] 외국의 침탈 관련 해외 문화재 36

[사진 2-12] 악해독단(남단) 56

[사진 2-13] 선농단 57

[사진 3-1] 부산시민 공원 공원역사관(舊 미군장교클럽) 61

[사진 3-2] 플레시오 & 크래시 필드(presidio and Cruises Field) 공원 63

[사진 3-3] 보른슈테터 펠트(Bornstedter Feld) 공원 65

[사진 3-4] 쇼와기념공원 일본정원 67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용산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한 후, 조성하는 용산국가공원 내 근대건축물의 합리적인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설문조사의 방법과 분석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 부분으로는 근대건축물의 역사적 특징 및 가치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특히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사례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용산기지의 지정학적인 특성과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도 시대별로 정리를 하였다. 아울러 도시공원의 개념과 종류, 필요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도시공원 조성지구 내 문화재 보존현황을 조사 하였다. 국내외적으로 군사기지를 공원화한 사례를 중심으로 기존 건축물 및 시설의 처리현황,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활용사례 공원조성 현황 등을 기술하였다. 사례별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과 용산공원 조성 시 벤치마킹 할 부분을 알아보았다. 서울시민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용산기지 내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파악 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은 SPSS(PASW 18)을 활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시민들의 요구사항과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조사 및 현황파악,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용산국가공원조성에 대하여 활동적이고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연령대와 학력으로는 대졸이상에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직장인, 전문직, 공무원, 전업주부 순으로 나타났다. 공원조성에 대한 인지수단으로는 젊은 층은 인터넷 비율이 높고 장년층일수록 신문·방송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00년대 초 건립된 근대건축물의 존재와 가치에 대하여는 응답자의 약 80% 정도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보존 및 재활용 여부에 대하여 젊은 세대와 중장년층 모두 아픈 역사도 우리의 역사라는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60대 이상에서는 30%이상이 모두 철거를 주장하였다. 근대건축물의 보전 및 재활용 방안으로는 기념관, 박물관, 역사관 등교육과 전시 등의 용도를 선호하였다. 여가·휴식공간은 대부분 연령대가 녹지와 수변공간 등 자연스러운 공간을 선호하였으나 젊은 층일수록 레저활동과 가족·연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사적 공간 및 시설 등을 선호하여 젊은 층의 자기중심적인 가치관을 엿볼 수 있었다. 향후 공원시설 및 콘텐츠의 배치 시 연령대별 선호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민족성 및 역사문화성의 구현을 위해서는 기존 자원의 재활용과 역사적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콘텐츠 운영을 전 연령대에서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울시민의 대부분이 용산국가공원이 조성되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조성될 공원은 자연친화적이고 넓은 공간과 녹지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용산공원 내에 있는 근대건축물에 대해서는 가능한 보전하여 재활용하며, 활용방안으로는 기념관, 박물관, 역사관 등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전통, 문화성과 연계된 부분으로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결과는 근대건축물의 활용사례 및 군사기지를 공원화한 사례,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제강점기에 건축한 근대건축물이 존재하는 지역을 개발하거나 보존하려고 하는 경우, 합리적인 활용과 보존이라는 가치를 지키면서 조화롭고 균형 있는 대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