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3
2. 연구문제 16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6
1) 연구의 범위 16
2) 연구의 방법 17
4. 용어의 정의 17
1) 중년기 여성 17
2) 사회봉사활동 18
3) 삶의 만족 18
4) 우울감 18
5) 심리적 안녕감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중년기 여성의 개념과 특징 20
1) 중년기 여성의 개념 20
2) 증년기 여성의 특성 20
2.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23
1)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 참여이론 23
2)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 25
3. 삶의 만족 30
1) 삶의 만족의 개념 30
2) 중년기 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34
4. 심리적 안녕감 37
1)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 37
2) 심리적 안녕감의 영역 42
3)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44
5.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 47
1) 우울감의 개념 47
2)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 49
3) 중년기 여성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6. 사회봉사활동, 삶의 만족,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55
III. 연구 방법 60
1. 연구모형과 가설 60
1) 연구모형 60
2) 연구 가설 61
2. 측정도구 62
1) 독립변수 62
2) 매개변수 63
3) 종속변수 64
4) 통제변수 64
3. 표집 및 자료 수집 방법 65
4. 분석 방법 65
IV. 분석 결과 67
1.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67
1) 사회봉사활동 요인분석 67
2) 심리적 안녕감, 우울감, 삶의 만족 요인분석 70
2. 측정도구의 신뢰도 73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74
4. 주요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76
5.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77
6.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에 따른 사회봉사활동 특성 차이분석 78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의 신체적 요인 차이 78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의 가족관계 요인 차이 8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의 대인관계 요인 차이 84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 요인 차이 87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 요인 차이 90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요인 차이 92
7. 영향관계 분석 95
1) 모형1 :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사회봉사활동 특성 회귀분석(삶의 만족, 우울감 제외) 95
2) 모형2 : 매개변수(삶의 만족, 우울감)에 대한 사회봉사활동 특성의 회귀분석 97
3) 모형3 : 사회봉사활동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삶의 만족, 우울감 포함) 100
4) 매개효과 분석 104
5) 심리적 안녕감의 총효과(인과적 효과) 106
6) 삶의 만족, 우울감 매개모형의 경로분석 107
8. 가설검증 111
V. 결론 113
1. 요약 및 논의 113
2. 제언 117
참고문헌 119
부록_설문지 135
ABSTRACT 143
【그림 IV-1】 연구모형 60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은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2016년 2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3일간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016년 2월 5일부터 2월 14일까지 15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40세-64세 사이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6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분석결과는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중년기 여성이 스스로 자긍심과 성취감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인적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 내에 중년기 여성 사회봉사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고 일상생활에서 정서적 경험이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일 때,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분석한 권중돈(2012)의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좋아질수록 우울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신체적으로 만족하고, 가족관계나 대인관계가 잘 유지되면 우울감이 줄어든다는 공보금(2004), 이현주(2001), 김미례(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
넷째,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 우울감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처럼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짐으로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정책적 노력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