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6

I. 서론 8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8

B. 기존 연구 현황 10

C. 연구방법 13

II. 중국고전명구의 교육적 가치 15

A. 문학적 체험으로서의 가치 15

B. 사회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 17

1) 자연지리의 자료 17

2) 전통명절, 풍속의 자료 17

3) 고대 생활양식의 자료 18

4) 현대 사회문화의 자료 19

C.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 20

III. 중국고전명구의 선정 및 지도방법 24

A. 고전명구의 선정 24

B. 고전명구의 지도방법 48

1) 발음 지도 48

2) 어휘 지도 49

3) 문법 지도 49

4) 한자 지도 50

5) 문화 지도 51

IV. 교과서별 명구 활용방안 53

A. 정진출판사 고등학교 중국어 I (이종민 외) 53

1) 발음 지도 55

2) 어휘 지도 55

3) 문법 지도 56

4) 한자 지도 56

5) 문화 지도 57

B. (주)교학사 고등학교 중국어 I (모해연 외) 59

1) 발음 지도 60

2) 어휘 지도 61

3) 문법 지도 61

4) 한자 지도 61

5) 문화 지도 62

C. (주)다락원 고등학교 중국어 I (정상률 외) 64

1) 발음 지도 66

2) 어휘 지도 66

3) 문법 지도 66

4) 한자 지도 67

5) 문화 지도 67

D. 시사중국어사 고등학교 중국어 I (심형철 외) 69

1) 발음 지도 71

2) 어휘 지도 71

3) 문법 지도 71

4) 한자 지도 72

5) 문화 지도 72

E. 천재교육 고등학교 중국어 I (신승희 외) 74

1) 발음 지도 75

2) 어휘 지도 76

3) 문법 지도 76

4) 한자 지도 77

5) 문화 지도 77

V.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1

中文提要 84

표목차

〈표1〉 제7차, 2007개정,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 I 교과서에 수록된... 9

〈표2〉 선정된 고전명구 리스트 28

〈표3〉 정진출판사 고등학교 중국어 I 54

〈표4〉 (주)교학사 고등학교 중국어 I 60

〈표5〉 (주)다락원 고등학교 중국어 I 65

〈표6〉 시사중국어사 고등학교 중국어 I 70

〈표7〉 천재교육 고등학교 중국어 I 75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중국어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중국고전명구 지도방안을 구성하는 데 있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고전의 가치를 알고 초등학생부터 고전교육을 하고 있으며, 대학교 입학시험, 공무원 시험 등의 인재를 선발할 때에도 고전에 대한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고전은 중국인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일상생활, 광고, 드라마, 영화, 가요, 외교 석상 등에서 고전을 활용하여 의사를 표현하거나 정보를 표현한다. 문학적, 사회 문화적,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중국 고전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수-학습에서는 도외시되고 있다. 한자 암기의 어려움, 시간적·공간적 거리감 등등의 이유로 중국 고전의 교육보다 의사소통 위주의 중국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언어 학습은 언어의 기능을 갖출 뿐 아니라 언어가 생성된 나라의 문화를 아는 것 또한 배제할 수 없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诗国이라 불리는 중국에서 고전시가, 고전문학 등을 제외하고는 완전한 중국어 학습을 논하기 어렵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현행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고전교육이 거의 없음을 인식하고, 고전작품이 아닌 고전명구로 그 대안을 찾아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흐름을 살펴보면,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서 고전을 거의 다루지 않고 있음에 주목하여, 고전의 난이도를 고려하고 선입견을 완화하기 위하여 작품 전체가 아닌 꼭 가르쳐야 하는 명구로 교육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장르로는 기존 고전시가에서 사(诗), 문(文) 등으로 확대하여 다양한 고전명구를 학습 자료로 활용하는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고전명구의 문화적, 사회 문화적, 언어적 자료로서의 고전이 갖는 가치와 장점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학습 가능한 고전명구를 선정하고 고전명구의 지도방안을 알아보았다. IV장에서는 앞 장에서 선정한 명구를 현행 5종 교과서 단원별로 배치하였으며, 언어적·문화적 교육의 활용방법을 찾아보았다.

최근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외교관계에서 중국고전명구가 언급되고 있듯이 고전명구는 과거에서 전해져 내려온 골동품이 아닌 중국인의 삶에 그대로 녹아 있는 인류 지혜의 정수이기에 중국을 알아가는 데 필수조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중국어 고전명구교육의 자료를 발굴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노력이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서의 고전교육을 진일보시키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