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제1장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4
2. 연구 목적 18
3. 연구의 흐름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1
1. 전통적인 가계부채관련 이론 21
1.1. 항상소득가설과 생애주기가설 21
1.2. 다기간 소비자선택이론 23
2. 소비자의 비합리성에 대한 이론 27
2.1. 전망이론 28
3. 가계부채의 개념과 유형 33
3.1. 가계부채의 개념 33
3.2. 가계부채 유형 36
4. 가계부채변화와 관련된 요인 40
4.1. 가계부채 보유여부 및 규모와 관련된 요인 40
4.2. 가계부채의 동태적 행태에 관련된 요인 47
5. 가계부채평가 53
5.1. 객관적 가계부채 평가방법 53
5.2. 주관적 가계부채 평가방법 56
5.3. 가계부채 평가와 관련된 비합리성 60
제3장 연구방법 66
1. 연구문제 66
2. 연구모형 67
2.1. 가계특성 68
2.2. 자계자원 70
2.3. 가계부채 평가에 대한 비합리성 71
2.4. 가계부채변동유형 72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74
3.1. 가계부채변동유형 74
3.2. 가계특성 변인 76
3.3. 가계자원 변인 77
3.4. 가계부채 평가에 대한 비합리성 78
4. 자료 및 분석방법 82
4.1. 분석자료 82
4.2. 분석방법 83
4.3.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 84
제4장 연구결과 88
1. 조사대상가구의 일반적 특성 88
2. 가계부채변동에 따른 가계유형 분류 92
3.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가계특성 96
3.1. 가계부채변동유형에 따른 가계특성 비교 96
3.2. 가계특성별 가계부채변동유형 분포 101
4.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가계자원 106
4.1. 가계소득 106
4.2. 가계자산 109
5.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가계부채상태평가 117
5.1. 객관적 가계부채 특성 117
5.2. 가계부채평가에 대한 비합리성 124
6. 가계부채변동유형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129
6.1. 가계부채변동유형 여부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129
6.2. 부채확장과 부채감소 가계에 속할 가능성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143
6.3. 부채확장 가계에 속할 가능성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146
6.4. 가계부채평가에 대한 비합리성이 부채확장 가계에 속할 가능성에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149
제5장 결론 152
1. 주요 연구결과 요약 152
2. 결론 및 시사점 158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과제 163
참고문헌 165
ABSTRACT 177
〈그림 1-1-1〉 연구의 흐름 20
〈그림 2-1-1〉 생애주기에 따른 가계의 자산축척과 현금의 흐름 23
〈그림 2-1-2〉 다기간 소비자선택이론 24
〈그림 2-2-1〉 가치함수 30
〈그림 2-2-2〉 확률 가중 함수 32
〈그림 3-2-1〉 연구 모델 73
〈그림 3-3-1〉 가계부채변동유형 75
〈그림 4-2-1〉 임대보증금 포함 유무에 따라 분류한 가계부채변동유형 94
〈그림 4-3-1〉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가구주 연령 분포 97
〈그림 4-3-2〉 가구주 연령별 가계부채변동유형의 분포 102
〈그림 4-3-3〉 가구주 교육수준별 가계부채변동유형의 분포 103
〈그림 4-3-4〉 가구원수별 가계부채변동유형의 분포 104
〈그림 4-4-1〉 가계부채변동유형별 소득규모 108
〈그림 4-4-2〉 가계부채변동유형별 소득비중 109
〈그림 4-4-3〉 가계부채변동유형별 총자산 규모 110
〈그림 4-4-4〉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금융자산 규모 111
〈그림 4-4-5〉 가계부채변동유형별 금융자산 비중 112
〈그림 4-4-6〉 가계부채변동유형별 실물자산 규모 115
〈그림 4-4-7〉 가계부채변동유형별 실물자산 비중 116
〈그림 4-5-2〉 가계부채변동유형별 부채보유액과 연간원리금상환액 120
본 연구는 가계내부에서 일어나는 가계특성, 가계자원, 그리고 부채평가에 대한 비합리성이 가계부채의 규모와 보유 여부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가를 동태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가계금융·복지조사」 2014년도 2015년도 두 개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6,667가구를 분석하였다. 가계를 부채상태 변화에 따라 유형화시키기 위해 두 기간 동안 가계의 부채보유 여부와 부채규모의 변화를 기준으로 삼아 총 6개의 가계부채변동유형을 도출하였다. 가계부채변동유형은 유형1(무부채, 33.9%), 유형2(무상환, 7.1%), 유형3(신규부채, 6.0%), 유형4(부채확장, 19.1%), 유형5(부채감소, 26.1%), 유형6(부채탈피, 7.1%)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의 부채이용은 초기에 가계가 가지고 있었던 경제적인 상황들이 안정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라 평가된다. 즉 30대 이하일 때, 교육수준, 직업, 소득, 결혼상태 등이 안정적인 경우에 부채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젊은 연령층에서 부채이용에 적극적이었다는 것은 미래에 벌어들이는 소득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집단에서 이용하였기에 생애주기 가설과 일부 부합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생애주기 가설과 가계부채변동이 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가계가 부채를 얻고, 증가시키고, 감소시키고, 상환하는 일련의 과정이지만 하나의 과정이 끝나면 그다음 단계가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부채이용 후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신규부채 가구의 평균 연령이 부채확장 가구보다 높다는 점과 연령별 분포가 고르게 되어있다는 점에서 가계의 부채이용이 생애주기 초기에 처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필요 때문에 상환과 대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무부채 가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각 가계부채변동유형에 속할 가능성과 관련된 요인들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보유 경험이 있는 가계와 전혀 보유하지 않은 가계의 특징은 명확하게 구분되었지만, 해당기간 동안 부채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모든 가계유형은 예상과는 다르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무부채 가계는 은퇴한 노인가구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가계의 부채상환 여력이 있는 가계와 없는 가계로도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주거점유형태의 변동은 가계부채를 이끄는 주된 관련요인이라 할 수 있다. 가계는 대출을 통해 주거상태를 월세에서 전세나 자가로 안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반대로 주거점유형태를 축소하는 경우에 가계는 부채를 갚아나가고 있었다. 주택보유의 여부뿐만 아니라 주택을 보유하지 않았지만 주거점유형태가 월세에서 전세로 또는 전세에서 월세로 축소되었는지도 부채상태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넷째, 비거주부동산의 소유여부 변동은 가계의 부채이용 변화를 역동적으로 전개시키고 있었다. 가계는 부채를 확장하여 비거주 부동산을 보유하였고, 반대로 비거주 부동산을 보유에서 미보유로 전환함으로써 부채탈피를 경험하고 있었다. 즉 비거주 부동산의 소유 여부는 가계의 부채증감과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계가 비거주 부동산을 구매할 때에 지급해야 하는 대출이자상환과 비거주 부동산이 창출해 낼 수 있는 임대소득 중 어느 것이 더 큰 이득을 주는지를 명확하게 판단해야 한다.
다섯째, 재무비율로 평가한 가계부채변동유형별 평균부채상태는 단기인 1년 사이에도 큰 차이를 보였다. 부채탈피 가계의 경우는 부채를 상환했기 때문에 재정건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부채를 모두 상환하기 바로 전년도에 저량적 측면과 유량적 측면에 모두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가계부채를 평가할 때 동일한 기준으로 부채사용기간의 모든 단계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부채이용의 초기, 중기, 말기 단계마다 각기 다른 부채평가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여섯째, 가계가 부채를 확장하는데 비합리적인 심리적 요인들 또한 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가계가 평가하는 주관적인 부채규모가 객관적인 부채규모와 차이가 있는 것은 가계가 자신의 부채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필요 없는 부채를 얻거나 부채상환을 제때 하지 못해 또 다른 피해를 겪게 될 수 있다. 부채관리는 부채를 얻는 시기부터 사용하고 상환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채용도, 부채규모, 사용 시기 등이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채관리에 대한 교육을 통해 가계가 재무목표에 맞게 부채를 이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주택담보 대출 심사에서 채무자의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기존보다 심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가계가 대출을 얻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12). 주관적 부채부담에 따른 부채증가 가구 특성과 영향요인. 소비자문제연구, 43, 157-175. | 미소장 |
2 | 기획재정부. 시사경제용어사전. Retrieved from http://www.mosf.go.kr/mi/socecowd/TbCurEcnmyWordList.do | 미소장 |
3 | 국내가계의 부채증가 추세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미시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4 | Consumer Credit Use and Credit Problems in Korea | 소장 |
5 | (2015). 우리나라 가계부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국내경제이슈, 46-65. | 미소장 |
6 | Financial Status and Debts Repayment Possibility of the Retirement Households that have Debts : Considering Funds Needed for Retirement Living | 소장 |
7 |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Default Risk in Korea ![]() |
미소장 |
8 | (2010).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결정요인과 평가 (pp. 3-42) | 미소장 |
9 | (The)effects of housing wealth on the household debt | 소장 |
10 | 가계금융·복지조사에 기반한 부채유무 분류 및 부채액 예측 연구 | 소장 |
11 | 고령층 가계부채의 구조적 취약성 | 소장 |
12 | 가계특성을 반영한 가계부채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소장 |
13 | Anlysis of Household Debt Burden by Income Classes | 소장 |
14 | (2013).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증가원인 및 지속가능성 분석. BOK경제리뷰, | 미소장 |
15 | (2011). 행동 경제학. 서울: 지형. | 미소장 |
16 | 가계의 부채보유여부 및 부채액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소장 |
17 | Households' Financial Structures and the Propensity to Save over the Life Cycle Stages | 소장 |
18 | Households' Subjective and Objective Debt Burden : Comparison analysi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Classes ![]() |
미소장 |
19 | Determinants of Households with Risky Debts | 소장 |
20 | Analysis of the Changes in Debt Burden of Salary and Wage Earners' Households in Urban Area | 소장 |
21 | An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Debt ![]() |
미소장 |
22 |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Changes in Household Debts Using Panel Data | 소장 |
23 |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Holding of Different Purposes | 소장 |
24 |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with a Loan for Repaying Others? ![]() |
미소장 |
25 | 가계의 부채부담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26 | (2006). 소비자재무설계 및 상담교과과정의 발전적 운영을 위한 소고. 소비자정책교육연구, 2(1), 21-39. | 미소장 |
27 |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Use of Different Types of Debt | 소장 |
28 | middle-old aged empty nest households’ debts holding and financial status | 소장 |
29 | (2001). 재무비율을 이용한 가계의 재정상태 분석. 영남지역발전연구, 28, 73-97. | 미소장 |
30 | A Comparis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Deficit Types | 소장 |
31 | 국내 재무설계전문가(FP: Financial Planner)를 대상으로 한 가계재무지표값 조사 ![]() |
미소장 |
32 | 산술적 저량과 재무비율 측정을 중심으로 한 가계의 재정상태 분석 | 소장 |
33 | Household credit Card choice | 소장 |
34 | Analysis of Stress Level of Korean Household Members due to Household Debt | 소장 |
35 | (2009). 가계부채 문제에 관한 분석. 경제분석, 15(4), 1-32. | 미소장 |
36 | (2014). 가계부채의 리스크 요인과 정책 대응. 캠코리뷰, 1(1), 47-90. | 미소장 |
37 | (2009).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의 진단과 평가. (No. 2009-3). 서울: 보험연구원. | 미소장 |
38 | (2006). 소비자 경제심리의 법칙. 서울: 북코리아. | 미소장 |
39 | 윤정혜, 손상희, 성영애 (2009) | 미소장 |
40 | 가계부채 현황 및 추이와 시사점 ![]() |
미소장 |
41 | (2009). 소비자재무설계. 서울: 학현사. | 미소장 |
42 | (2000). 가계재무관리의 이해 (pp. 131-133) 학지사. | 미소장 |
43 | (2011). 우리나라 가계부채 현황과 조달구조 분석. 연구보고서, 1-23. | 미소장 |
44 | Korean Households' Delinquent Behavior and the Determinants of Debt Repayments | 소장 |
45 | (2014). EastFlow 회귀분석. 한나래 | 미소장 |
46 | 소득분위 및 부채상환비율에 따른 가계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 소장 |
47 | (2012).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제2판). 청람. pp.411 | 미소장 |
48 | Comparisons between the Households Which Were Having Increased Debt and Decreased Debt | 소장 |
49 | 중기부채부담수준에 따른 가계의 자산포트폴리오 비교 | 소장 |
50 |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indebtedness in Korea : analysis of KLIPS data | 소장 |
51 | Study of the Over-indebtedness Problem and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 소장 |
52 | (2009). 재무설계를 위한 행동재무학. FPBooks. | 미소장 |
53 | 가계의 부채부담과 경제적 대처행동 | 소장 |
54 |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Objective Debt Burden Variables on the Subjective Debt Burden for Setting the Guidelines for Household Debt Management | 소장 |
55 | 소비와 투자의 경제심리학 : 심리학·재무금융학·경제학·회계학의 새로운 만남 | 소장 |
56 | (2011). 투자 구매 협상의 심리. 탑북스. | 미소장 |
57 | (2006). 금융투자와 심리. 무역경영사. | 미소장 |
58 | 재무비율을 이용한 농촌 중ㆍ노년기 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 소장 |
59 |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mand for Credit and the Effects of Credit on Consumption Expenditures | 소장 |
60 | 가계의 부채관리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가계 부채문제의 규명 | 소장 |
61 | Development of the Indexes and Guidelines for Evaluating Financial Status of the Household Using Financial Ratios | 소장 |
62 | 한국은행 (2005). 통화신용정책보고서. (No. ISSN 2005-2693). 한국은행. | 미소장 |
63 | 한국은행 (2015). 금융안정보고서 | 미소장 |
64 | 한국은행 (2016. 4). 통화신용정책보고서. (No. ISSN 2005-2693). 한국은행. | 미소장 |
65 | 금융소외가계의 부채부담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66 | (2013). 소비자의 신용카드 대출서비스 이용유형과 이용의도. 소비자정책교육연구, 9(4), 135-157. | 미소장 |
67 | Winning the Battle But Losing the War: The Psychology of Debt Management ![]() |
미소장 |
68 |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 |
미소장 |
69 | Effects of Family Life-Cycle Stages on Consumer Debts ![]() |
미소장 |
70 | (2016). Internet, consumer spending, and credit card balance: Evidence from US consumers. Review of Financial Economics, | 미소장 |
71 | (2005). Debt and distress: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cost of credit.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6(5), 642-663. | 미소장 |
72 | Household debt and financial assets: evidence from Germany, Great Britain and the USA ![]() |
미소장 |
73 | Assets and Debts in a Consumer Portfolio ![]() |
미소장 |
74 | (1985). Recent developments in credit card holding and use patterns among US families. Journal of Retail Banking, 7(3), 63-74. | 미소장 |
75 |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
미소장 |
76 | The demand for household debt in the USA: evidence from the 1995 Survey of Consumer Finance ![]() |
미소장 |
77 | The Determinants of Unsecured Borrowing: Evidence from the British Household Panel Survey ![]() |
미소장 |
78 | Household insolvency: A review of household debt repayment, delinquency, and bankruptcy ![]() |
미소장 |
79 | (1994). The usefulness of financial ratios as predictors of household insolvency: Two perspective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5, 5-24. | 미소장 |
80 | (2015). Piecemeal repayment: Paying toward specific purchases promotes higher repayments toward debt balances.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43. | 미소장 |
81 | (1957).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A study by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82 | Household Debt Quintiles: Explaining Changes 1983-1989 ![]() |
미소장 |
83 | (1985). Personal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 modest beginning. In Proceedings,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Education, 3, 123-131. | 미소장 |
84 | (1980). Regressio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Dekker, New York. | 미소장 |
85 | Mental Budgeting and Consumer Decisions ![]() |
미소장 |
86 | Changes i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debt among Scottish families, 1984?1987 ![]() |
미소장 |
87 | A 12-month study of policosanol oral toxicity in Sprague Dawley rats ![]() |
미소장 |
88 | Experience, prediction and recollection of loan burden ![]() |
미소장 |
89 | Precautionary Saving and Social Insurance ![]() |
미소장 |
90 |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 |
미소장 |
91 | (1997). Effects of mental accounting on inter-temporal choice. Göteborg Psycological Report. (No. 27:5). Göteborg, Swedden: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Göteborg. | 미소장 |
92 | Performance of Rural Credit and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Credit Sources ![]() |
미소장 |
93 | (1992). Mass consumption and personal identity: everyday economic experience.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94 | How Credit Access Has Changed Over Time for U.S. Households ![]() |
미소장 |
95 | (1991). How to use financial ratios when advising clients.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2(1). | 미소장 |
96 | Borrowing Capacity and Financial Decisions of Low‐to‐Moderate Income First‐Time Homebuyers ![]() |
미소장 |
97 | (1995). Americans and their debt: Right_sezing for the ‘90s. Journal of Financial Planning, 8, 20-28. | 미소장 |
98 | THE BEHAVIORAL LIFE-CYCLE HYPOTHESIS ![]() |
미소장 |
99 | Exploring the causes of comparative optimism ![]() |
미소장 |
100 | (1986). 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consumer debt use Credit Research Center, Purdue University. | 미소장 |
101 | Mental accounting matters ![]() |
미소장 |
102 | Gambling with the House Money and Trying to Break Even: The Effects of Prior Outcomes on Risky Choice ![]() |
미소장 |
103 | The Optimum Lifetime Distribu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s ![]() |
미소장 |
104 |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 |
미소장 |
105 | Consumer confidence, expenditure, saving, and credit ![]() |
미소장 |
106 | (2005). Household debt over the life cycle. Financial Services Review, 14(4), 28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