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미적 경험의 구조 요인이 관람객의 박물관 전시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tructure factor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n the museum visitors' experience / 신희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M 338.4791 -17-26
형태사항
viii, 11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0902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화관광학과 문화예술경영전공, 2017.2. 지도교수: 김세준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 질문 17

제3절 연구대상 및 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연구방법 20

제4절 연구의 구성(연구의 절차) 21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전시에 관한 이론적 접근 23

1. 전시의 정의 23

2. 전시의 구성 24

3. 전시의 특성 26

4. 전시의 유형 28

제2절 미적 경험에 관한 이론적 접근 34

1.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의 정의 34

2.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의 기준 41

3.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에 관한 선행연구 45

4.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의 구조 51

5.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의 측정 59

제3절 관람객에 관한 이론적 접근 61

1. 관람객의 정의 61

2. 관람객의 유형 62

제3장 연구방법과 설계 67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67

제2절 측정 항목 및 설문지 구성 69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항목 69

2. 설문지 개발 절차 71

3. 설문지 구성 73

제3절 조사 및 연구방법 74

1. 연구대상 74

2. 조사절차 76

3. 분석방법 77

제4장 분석결과 78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8

제2절 신뢰도 분석 및 타당성 검증 82

1. 신뢰도 분석 82

2. 타당성 검증 83

제3절 기술통계 86

1. 기술통계 86

2. 상관분석 87

제4절 연구가설 검증 89

1. 관람객 미적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향 관계 89

2. 미적경험의 세부 영역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향 관계 92

제5장 결론 및 제언 97

제1절 연구결과 및 논의 97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00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02

참고문헌 104

부록: 설문지 113

ABSTRACT 124

〈표1-1〉 관람객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13

〈표2-1〉 전시의 구성 요소 26

〈표2-2〉 관람객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 38

〈표2-3〉 몰입 경험과 미적 경험의 기준 비교 44

〈표2-4〉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1990)의... 50

〈표2-5〉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1990)의... 54

〈표2-6〉 Eversmann의 연극적 경험 구조와 내용 58

〈표2-7〉 연구자별 관람객 유형 정리 66

〈표3-1〉 미적 경험의 요인과 측정 항목 70

〈표3-2〉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관한 측정 항목 71

〈표3-3〉 설문지 구성 73

〈표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8

〈표4-2〉 전쟁기념관 응답자의 특성 79

〈표4-3〉 국립과천과학관 응답자의 특성 80

〈표4-4〉 신뢰도 분석 결과 82

〈표4-5〉 적합도 지수 85

〈표4-6〉 기술통계 86

〈표4-7〉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88

〈표4-8〉 미적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90

〈표4-9〉 전쟁기념관의 미적경험이... 91

〈표4-10〉 국립과천과학관의 미적경험이... 92

〈표4-11〉 미적경험의 세부 영역이... 94

〈표4-12〉 전쟁기념관에서 미적경험의 세부 영역이... 95

〈표4-13〉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미적경험의 세부 영역이... 96

[그림1-1] 연구의 흐름 22

[그림2-1] 작가, 작품, 관람객의 매개과정 24

[그림2-2] 전시의 구성요소 및 상호작용 25

[그림2-3] 전시 내용의 비율 28

[그림2-4] George Hein(1998)의 교육이론에 따른 전시 유형 30

[그림2-5] 몰입경험의 단계별 특성 42

[그림2-6] 분야에 따른 미적 경험의 다른 형태 55

[그림2-7] 전시회 관람자 분포도 62

[그림3-1] 연구 모형 67

[그림4-1]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84

초록보기 더보기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은 보통의 경험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미적인 특질(aesthetic quality)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경험 중에서 가장 완전하고 이상적인 경험으로 관람객이 전시를 관람하면서 작품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고, 즐거움을 주는 요소이다. 미적 경험이 인간의 경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선행연구에서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는 많이 다뤄지지 않았기에 실제적으로 관람객이 전시를 통해 어떻게 미적 경험을 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1990)의 미적 경험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을 제공하고 '미적 경험'의 요인(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중에서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visitors' overall judgment)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결정 요인을 찾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객의 지적 문화 욕구를 높임과 동시에 박물관 전시의 질적인 부분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하고 미적 경험의 요인 중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결정 요인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를 관람한 성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Hein(1998)의 교육 이론을 활용한 분류에 따라 상반된 유형의 전시를 택하였고, 설명/해석의 전시로 전쟁기념관과 구성주의 전시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상설전시를 택하였다. 2016년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으로 자료의 수집이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와 AMO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쟁기념관과 국립과천과학관의 각 기관별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미적 경험의 구조 요인인 세부 영역들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이 모두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기관별로 유의확률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전쟁기념관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인 세부영역은 지각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이며, 국립과천과학관의 경우 관람객의 지각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다.

Boerner, Jobst & Wiemann(2013)가 공연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경우 감정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의 차이는 전시에서 사용한 음향, 소장품, 전시 디자인 그리고 다양한 전시 체험물이 관람객의 지각적 영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전시의 경우 관람 목적과 가족 단위 전시 관람 행태가 미적 경험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관람객 연구로써 기존의 관람객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전시의 미적 경험을 주제로 한 첫 연구이며, 박물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실증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서비스 측면의 평가로만 이루어졌던 관람객 만족도 조사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박물관 관계자와 전시 기획자에게 박물관의 정책 수립 과정에서 관람객 확보를 위한 전시 기획 운영과 개발의 자료로써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박물관 전시 특성에 맞게 측정도구를 정교화하고 관람객의 전시 관람 목적 및 행태와 같은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다면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대한 본 연구를 더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