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I장 서론 11

1. 문제제기 11

2. 연구목적 13

3. 논문의 구성 14

제II장 이론적 논의 16

1. 토크 프로그램 16

(1) 토크 프로그램 16

(2)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21

(3) 토크쇼 패널 24

(4) 토크쇼 구성 25

(5) 토크쇼 주제 26

(6) 토크쇼 영상 27

2. 토크쇼와 종합편성채널 출범 이후에 관한 기존 연구 29

3. 지상파 심야 토크쇼의 역사적 변천 33

(1) 1980년대 33

(2) 1990년대 전반(1990-1995) 37

(3) 1990년대 후반(1996-2000) 40

(4) 2000년대 44

제III장 연구결과 51

1. 연구문제 51

2. 연구방법 52

(1) 조사절차 53

(2) 분석유목 53

3. 방송사별 심야 토크쇼의 현황 54

(1) KBS 54

(2) MBC 68

(3) SBS 75

(4) JTBC 75

(5) MBN 99

(6) 채널A 113

(7) TV조선 124

4. 종편 출범 이후 심야 토크쇼의 변화 134

(1) 토크쇼 134

(2) 출연진 137

(3) 구성 140

(4) 주제 141

(5) 영상 144

5. 변화 요인 144

(1) 시대상황적 요인 145

(2) 내용적 요인 148

(3) 기술적 요인 149

(4) 방송환경 요인 151

제IV장 결론 및 논의 154

1. 결론 및 요약 154

2. 한계점 및 제언 163

참고문헌 165

Abstract 168

표목차

〈표 1〉 토크 프로그램의 기능 19

〈표 2〉 1980년대 토크쇼 34

〈표 3〉 1990년대 전반(1990-1995) 토크쇼 38

〈표 4〉 1990년대 후반(1996-2000) 토크쇼 41

〈표 5〉 2000년대 토크쇼 44

〈표 6〉 2016년 9월 방영되고 있는 밤 11시대 토크 프로그램 52

〈표 7〉 토크 프로그램 분석 유목 53

〈표 8〉 KBS 심야 토크 프로그램 55

〈표 9〉 KBS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57

〈표 10〉 KBS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59

〈표 11〉 KBS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60

〈표 12〉 KBS의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62

〈표 13〉 M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68

〈표 14〉 M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69

〈표 15〉 M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71

〈표 16〉 M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71

〈표 17〉 M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73

〈표 18〉 JT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75

〈표 19〉 JT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79

〈표 20〉 JT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82

〈표 21〉 JT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85

〈표 22〉 JTBC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88

〈표 23〉 MBN 심야 토크 프로그램 99

〈표 24〉 MBN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102

〈표 25〉 MBN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104

〈표 26〉 MBN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107

〈표 27〉 MBN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109

〈표 28〉 채널A 심야 토크 프로그램 113

〈표 29〉 채널A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115

〈표 30〉 채널A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117

〈표 31〉 채널A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119

〈표 32〉 채널A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120

〈표 33〉 TV조선 심야 토크 프로그램 124

〈표 34〉 TV조선 심야 토크 프로그램 진행자 특성 126

〈표 35〉 TV조선 심야 토크 프로그램 패널 특성 128

〈표 36〉 TV조선 심야 토크 프로그램 구성 129

〈표 37〉 TV조선 심야 토크 프로그램 주제 130

초록보기

 텔레비전 속 사회와 현실 사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은 이제까지의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왔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사회생활을 반영하여 제작되는 것을 넘어서 반대로 사회의 모습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특성이 밝혀진지 오래인 것이다. TV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특정 시대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당시의 사회상에 대해서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말은 현재의 TV 프로그램을 분석해봄으로 인해 현 시대의 상황을 알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오래전부터 미디어 시장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현 미디어 시장의 급변 원인으로는 종합편성채널의 등장, 발전하는 미디어 기술, 세분화되어가는 소비자들의 욕구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여러 미디어들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참신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TV 프로그램 또한 예외는 아니다. 각 방송사들은 새로운 얼굴의 출연진을 발굴해내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시청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장르의 특성을 혼합시킨 프로그램들을 배출해내는 것에 힘쓰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이 새롭게 등장하고, 빠르게 사라지는 TV 환경 속에서 제작자와 시청자 모두 많은 변화를 겪어내고 있다.

끊임없이 쏟아지는 여러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것 중의 하나를 꼽아보자면 토크쇼를 들 수 있다. 토크쇼는 타 프로그램에 비해 저렴한 제작비와 보다 쉬운 제작 방법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다는 점에서 제작자들에게 매력적이다. 또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토크쇼는 시청자들에게 있어서도 친근하고 쉬운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시청하기에 별 다른 어려움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생 방송인 종합편성채널에 있어서 토크쇼가 여러 개 편성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종합편성채널 출범 이후 심야토크쇼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TV 토크쇼는 타 프로그램에 비해 제작 특성상 사회상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TV 토크쇼를 살펴보면 타 장르의 프로그램보다 그 시대 상황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기도 하다. 따라서 종합편성채널이 방영되기 시작한지 약 5년이 지난 현재, 각 방송사의 토크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 시대의 이슈, 심야 토크쇼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