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I.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2. 연구 문제 24

3. 연구 범위와 제한점 27

II. 관련문헌 검토 28

1. 선취업·후진학 체제 개관 29

가. 추진 배경 29

나. 정책 목표 30

다. 정책 개관 및 경과 31

2.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변화 34

가. 직업교육 관점의 변화와 직업교육 34

나. 관점 변화 후 직업교육 양상 38

3. 특성화고등학교의 상황 40

가. 학생측면 43

나. 교사측면 44

다. 학교경영 측면 46

4. 학교변화와 동인 47

가. 학교변화 47

나. 변화 동인 63

다. 학교변화 동인과 학교변화 요소 사이의 관계 77

III. 연구 설계 80

1. 연구방법 80

가. 사례연구 80

나. 연구자료 81

2. 연구대상 81

가. 연구대상 선정 81

나. 연구대상 소개 83

3. 연구절차 83

가. 1단계 예비연구 84

나. 2단계 예비연구 85

다. 3단계 본 연구 89

라. 연구의 신뢰성 확보 및 신빙성 높이기 방안 92

IV. 학생변화 양상과 그 동인 93

1. 변화 양상 93

가. 학생 자원 93

나. 학습태도 99

다. 생활태도 105

라. 진로 110

2. 변화 동인 114

가. 정책 수단의 명확성: 고졸 일자리 발굴 및 취업지원 114

나. 학교장: 상징적 리더십 115

다. 교사 116

라. 학생의 지위경쟁 : 보다 나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획득하려는 욕구 119

3. 소결 122

가. 변화 양상 122

나. 변화 동인 126

V. 교사 변화 양상과 그 동인 130

1. 변화 양상 130

가. 수업 130

나. 생활지도 137

다. 진로지도 141

라. 학생교육관 144

2. 변화 동인 148

가. 정책 수단의 명확성 : 취업중심 직업교육, 고졸 일자리 발굴 및 취업지원 148

나. 학교장: 분산적 리더십 150

다. 교사 151

3. 소결 155

가. 변화 양상 155

나. 변화 동인 157

VI. 학교경영변화 양상과 그 동인 160

1. 변화 양상 160

가. 교육프로그램 160

나. 행·재정 169

다. 인사 174

2. 변화 동인 176

가. 정책 수단의 명확성 : 직업교육선진화 방안/ 고졸 일자리 발굴 및 취업지원 177

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178

다. 교사 180

3. 소결 182

가. 변화 양상 182

나. 변화 동인 184

VII. 종합 논의 186

1. 변화 양상의 특징 186

가. 영역별 변화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차이 186

나. 핵심적인 변화 요소 : 취업률과 양질의 취업 증가 187

다. 역전 현상들 : 정책관점 변화의 결과 187

2. 동인의 특징 189

가. 동인 요소의 다른 의미 189

나. 학교 변화를 이끄는 또 하나의 동인 : 지위경쟁 193

다. 학교변화와 동인의 관계 202

3. 학교변화와 정책의 의의 207

가. 학생 207

나. 교사 211

다. 학교 : 정체성 회복 212

VIII. 요약 및 결론 213

1. 요약 및 결론 213

2. 제언 223

가. 취업중심의 선취업·후진학 체제의 지속적인 추진 필요 223

나. 교육 정책 입안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요소 : 핵심적 변화 요소, 지위경쟁 224

다. 취업률과 양질의 취업에 대한 학교차원의 자생력 확보 필요 225

참고문헌 226

부록 236

[부록 1] 면담 지침서 및 질문지 236

[부록 2] 1단계 예비연구 분석 내용 239

[부록 3] 2단계 예비 연구 분석 내용 241

[부록 4] 면담에서 분석된 동인과 핵심단어 245

〈표 II-1〉 선취업·후진학 정책 33

〈표 II-2〉 전문고와 일반고의 학교 수 및 학생 수 비교 35

〈표 II-3〉 5.31 교육개혁 이전과 이후의 교육정책 방향 비교 37

〈표 II-4〉 특성화고등학교의 상황에 대한 선행연구자들의 제시내용 42

〈표 II-5〉 학교변화와 변화요소 50

〈표 II-6〉 학교문화의 4가지 구성요소 51

〈표 II-7〉 영역별 학교변화 요소 52

〈표 II-8〉 정책 집행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60

〈표 II-9〉 인적 및 정치·문화적 요인 63

〈표 II-10〉 변화의 동인과 특징 67

〈표 II-11〉 교육열과 교육관의 차이점 71

〈표 II-12〉 동인, 교육관, 현상, 행위의 차이점 73

〈표 III-1〉 면담 참여 교사의 인적사항 86

〈표 III-2〉 면담 참여 학생의 인적 사항 86

〈표 III-3〉 분석영역과 분석 단위-1 89

〈표 III-4〉 분석영역과 분석 단위-2 90

〈표 IV-1〉 연도별 입시성적 96

〈표 IV-2〉 학업중단률 97

〈표 IV-3〉 재학생의 진로희망 110

〈표 IV-4〉 졸업생의 진로 112

〈표 IV-5〉 취업 기관과 취업자 수 113

〈표 VI-1〉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입학 연도별 이수 단위 161

〈표 VI-2〉 전문교과 관련 동아리 169

〈표 VI-3〉 진로체험 활동 및 취업중심 직업교육 관련 재정 변화 172

〈표 VI-4〉 학교 공간구성의 변화 173

〈표 VII-1〉 영역별 동인 요소 190

〈표 VII-2〉 영역별 동인 요소의 의미 193

[그림 II-1] 선취업·후진학 직업교육 체제도 31

[그림 II-2]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단계별 정책 추진 과정 32

[그림 II-3] 교육열의 심층 구조 71

[그림 IV-1] 학생변화와 동인 관계 127

[그림 V-1] 교사변화와 동인 관계 158

[그림 VI-1] 학교경영 변화와 동인 185

[그림 VII-1] 학생변화 동인주체와 변화 요소 203

[그림 VII-2] 교사변화 동인주체와 변화 요소 204

[그림 VII-3] 학교경영변화 동인주체와 변화 요소 205

[그림 VII-4] 동인 주체와 학교변화 요소의 관계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