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I. 서론 10
A. 연구의 목적 10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II. 이론적 배경 12
A. 일상 속 감정 12
1. 감정의 개념 13
2. 소소한 감정 18
B. 예술에서 나타나는 감정 18
1. 부정 감정 이미지 19
2. 긍정 감정 이미지 21
C. 회화에서 보여지는 감정 23
III. 내면의 형상화 방법론 25
A. 감정 표현으로서의 선(線) 25
B. 색채를 통한 감정 28
IV. 감정의 조형적 표현 방법 32
A. 즉흥적 드로잉 32
B. 흐르는 선과 색의 리듬 35
C. 중첩에 의한 추상적 구성 36
V. 작품 분석 38
VI. 결론 55
참고문헌 57
ABSTRACT 59
작품 1. [2016-05] 장지에 채색, 아크릴 162.2 x 130.3 ㎝, 2016 41
작품 2. [2016-14] 장지에 채색 각 65 x 162, 162.2 x 130.3 ㎝, 2016 43
작품 3. [2016-07] 장지에 채색, 목탄, 먹,162 x 130.3 ㎝, 2016 45
작품 4. [2016-08] 순지에 채색 160 x 50 ㎝, 2016... 47
작품 5. [2016-03] 장지에 채색, 방해말, 수정말 162 x 130.3 ㎝, 2016 49
작품 6. [2016-11] 장지에 채색 193.9 x 130.3 ㎝, 2016 51
작풍 7. [2016-10] 장지에 채색 233.6 x 91.0 ㎝, 2016 53
작품 8. [2016-09] 순지에 채색, 먹 72.7 x 90.9 ㎝, 2016 53
도판1. Edvard Munch 〈불안〉 1894 20
도판2. 〈절규〉 1893 20
도판3. Paul Klee 〈세네치오〉1922 22
도판4. Joan Mitchell 〈Yves〉1991 24
도판5. Joan Mitchell 〈Untitle〉1961 24
도판6. Joan Mitchell 〈Rivier〉 1990 24
도판7. 이인상 〈와운〉 18세기 26
도판8. 〈Untitle〉Cy Twombly,1970 27
도판9. 〈Leda and Swan Rome〉Cy Twombly,1962 27
도판10. 본인 작품, 전체 32
도판11. 본인 작품, 전체 32
도판12. 본인 작품, 전체 34
도판13. 본인 작품, 전체 34
도판14. 본인 작품, 전체 35
도판15. 본인 작품, 전체 35
도판16. 본인 작품, 전체 35
도판17. 본인 작품, 전체 36
도판18. 본인 작품, 전체 36
도판19. 본인 작품, 전체 36
도판20. 본인 작품, 전체 36
도판21. 본인 작품 [2016-01] 36
도판22. 본인 작품 [2016-02] 36
감정이란 어떤 현상이나 일을 접할 때 느끼게 되는 마음가짐이나 기분, 심리 상태를 뜻한다. 인간의 감정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발생하며 언제나 우리의 삶 속에 함께 자리한다. 흘러가버린 감정, 순간의 감정, 중첩되는 감정, 아직 오지 않는 감정 등 우리는 끊임없이 감정과 함께 한다. 본인은 일상의 사소하고 작은 것들을 바라보며 나와 관계된 일상적인 대상들과 사건들에서부터 마음의 변화가 일어나고 그것을 나만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을 통해 본인 안의 내적인 감정을 어떻게 표현 할 것인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일상이라는 단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의미 없는 사건들의 반복 일 수 있다. 일상을 다양한 방면으로 다시 바라보았을 때 평범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것들이 특별하게 다가오기도 하고 또는 일상에서 쉽게 느낄 수 있는 여러 심리적 감정상태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나타난 감정이 어떻게 정의 내려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예술과 감정과의 밀접한 관계를 짚어 보고자 하였다.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감정은 육체적 변화를 동반하는 유기체의 상태이며, 강렬한 느낌과 충동에 의해 나타나는 흥분 및 동요의 상태라고 하였다. 감정의 주체는 자기 자신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쪽으로만 유지하기란 쉽지 않고, 오히려 부정의 감정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인은 일상에서 느끼는 부정과 긍정의 감정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을 예술을 통해 바라보았을 때, 주관적 감정이 자유롭고 풍부한 표현을 가능하게 했던 표현주의 회화를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작가의 감정 표현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은 마음을 움직이고 내면에 잠재된 아련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보는 이에게 공감을 구하지는 않지만 그들에게 본인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일상에서 느끼는 내적 감정을 작업의 내용으로 삼으며 취하게 된 표현 방법은 추상적 형태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흐르는 선의 형태로 감정의 흐름을 표현하였다. 행위를 하면서 개념과 의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감정이 흐르는 대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인이 감정에 대한 작업을 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색이었다. 색은 감정 표현에 있어 힘을 실어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색을 통해 나만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감정도 표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상 속에서 접하는 대상 등을 통해 느끼는 내적인 감정들이 본인의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되어지는 분석하고 일상으로부터 비롯된 감정들에 접근하면서 작업을 조형 표현으로 시각화시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일상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과 경험을 통한 표현은 나를 나타내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일상 속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과 순간의 느낌이 결합되어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