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몽골과 한국 간 경제 및 에너지 협력의 형태 분석 = A study on the pattern of economic and energy cooperation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 엥흐볼러르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M 333.79 -17-12
형태사항
ii, 2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2133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2017.2. 지도교수: 박중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I. 문제제기 6

II. 몽골의 경제 및 대외협력 현황 12

1. 몽골의 경제 현황 12

1) 몽골의 경제 현황 12

2) 몽골의 경제정책 현황 14

2. 몽골과 한국 간 경제협력 현황 16

1) 에너지·자원 16

2) 제조업 16

III. 선행연구 18

IV. 분석 방법론 21

1. 무역결합도 지수 21

2. 산업 내 무역지수 21

3. 자료수집 및 대상국가 선정 22

V. 분석결과 23

1. 무역결합도 지수 23

2. 산업 내 무역지수 24

1) 몽골-한국 산업 내 무역지수 24

3. 무역결합도 지수와 산업 내 무역지수로 패키지 가능성 26

VI.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28

참고문헌 30

Abstract 32

Table 1.1. 에너지안보를 위협하는 세계 및 지역 차원의 요인들 7

Table 1.2.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 8

Table 2.1. 몽골의 거시경제 동향 12

Table 2.2. 몽골의 광공업 및 에너지 산업구조 13

Table 2.3. 몽골의 수출구조: 2011-2016 14

Table 2.4. 몽골의 대외무역 추이 14

Table 2.5. 한국기업들의 몽골에 대한 직접투자 현황 16

Table 5.1. 몽골-한국 산업 내 무역지수 비교 25

Table 5.2. 한국기업들의 패키지형 자원개발 진출현황 26

Fig. 5.1. 몽골과 한국 간 무역결합도 지수 비교 24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한국과 한국기업이 진출하여 에너지자원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국가 간 무역의 형태를 통해 한국과 몽골 간 에너지산업과 제조업 간 패키지형 자원 개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한국이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시점에서 몽골과 패키지형 에너지자원개발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전략의 구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몽골의 여건과 한국이 강점을 가진 산업들을 전략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한국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자원개발 경험과 에너지자원 개발업체 관련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특히, 전력·가스 개발을 위해 에너지 플랜트(plant)를 수출할 경우 국내 관련 산업인 엔지니어링, 설비, 부품·소재 등의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건설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몽골 내에 여타 프로젝트의 연계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향후 몽골 내에서 추가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유리한 위치의 선점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현재 한국의 해외자원개발 정책은 단기성과 위주의 산발적 개별 프로젝트 수주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체계적인 자원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비전과 계획 하에 해외자원개발 전략을 보다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산광구 확대를 위해 정보력, 기술력, 인력, 재원조달 능력 등 종합적인 운영능력의 확충이 시급하다. 해외 자원개발에 있어 동종 혹은 이종 산업별로 기업, 개인, 또는 정부기관이 전략적 제휴를 맺어 경쟁우위 요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투자대상국이 필요로 하는 재화, 용역 등을 제공하여 투자대상국으로부터 자원, 기술, 시장, 인력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통계의 분류 및 수집의 제약으로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SITC) 2단위로 품목을 분류하여 산업 내 무역지수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통계의 세세분류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국제무역이 빠르게 변화하는데 대응하여 몽골과 한국 간 적절한 대응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추세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