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3
제3절 연구 흐름도 14
II.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15
제1.절 한부모가족의 개념 15
1. 한국 한부모가족의 개념 15
2. 일본 한부모가족의 개념 16
제2절 셰어하우스의 개념 18
1. 한국의 셰어하우스 개념 18
2. 일본의 셰어하우스 개념 18
제3절 선행연구 분석 21
1. 한부모가족에 관한 선행연구 21
2. 셰어하우스에 관한 선행연구 22
III. 한부모가족과 셰어하우스 현황 25
제1절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주거실태 25
1. 한국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주거실태 25
2. 일본 한부모가정의 현황과 주거실태 34
제2절 셰어하우스의 현황 41
1. 한국의 셰어하우스 현황 41
2. 일본의 셰어하우스 현황 49
IV.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사례분석과 활용방안 60
제1절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사례 분석 60
1.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범위 설정 60
2. 일반 셰어하우스와의 비교 61
3.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65
제2절 한부모가족을 위한 셰어하우스 활용방안 73
1. 공공임대주택 정책 73
2. 한부모가족 주거정책 78
3. 한부모가족을 위한 셰어하우스 활용방안 82
V. 결론 85
참고문헌 87
Abstract 91
〈표 1〉 한국의 한부모가족 가구 비율 26
〈표 2〉 한국 여성가구주의 주택 점유형태 30
〈표 3〉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주택 비소유 이유 30
〈표 4〉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주관적 주거비 부담 31
〈표 5〉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최저 주거기준 미달 수준 32
〈표 6〉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현재주택의 거주 층수 32
〈표 7〉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및 선호 유형 33
〈표 8〉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주거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이용경험 33
〈표 9〉 한국 여성한부모가구의 공공임대주택 등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 34
〈표 10〉 일본의 아동이 있는 세대 중 한부모가정의 비율 35
〈표 11〉 2011년 기준 일본 한부모가정의 세대 구성 36
〈표 12〉 2011년 기준 일본 한부모가정의 주된 요인 37
〈표 13〉 일본의 한부모가정 주거형태 39
〈표 14〉 일본 싱글맘의 거주방식 39
〈표 15〉 일본 싱글맘의 월세 부담 수준 40
〈표 16〉 한국의 공동체주택별 공급 현황 42
〈표 17〉 한국의 공급유형별 공동체주택 현황 43
〈표 18〉 WOOZOO 점포 현황 46
〈표 19〉 두레주택 세대별 현황 및 임대료 48
〈표 20〉 일본의 세대별 셰어하우스 거주 현황 53
〈표 21〉 일본의 셰어하우스 거주자 설문조사 주요 내용 54
〈표 22〉 일본의 정기借家계약과 보통借家계약 비교 56
〈표 23〉 일반셰어하우스와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비교 62
〈표 24〉 PH TAKATSU 입주자 설문조사 내용 요약 63
〈표 25〉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사례 요약 66
〈표 26〉 사례분석_PH TAKATSU 68
〈표 27〉 사례분석_STYLIO WITH DAIKANYAMA 70
〈표 28〉 사례분석_ POTARI 72
〈표 29〉 정부지원 공공임대주택 74
〈표 30〉 공공임대주택의 한계 76
〈표 31〉 행복주택의 한계 77
〈표 32〉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개요 78
〈표 33〉 한부모가족 시설 유형별 제공 내용 79
〈표 34〉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주거지원 80
〈표 35〉 동작구 한부모 모자안심주택 81
〈표 36〉 참여 주체별 역할 및 지원 84
〈그림 1〉 연구 흐름도 14
〈그림 2〉 한국의 한부모가족 가구수 추이 25
〈그림 3〉 한국의 한부모가족 혼인상태 27
〈그림 4〉 한국의 이혼 건수 및 이혼율 추이 27
〈그림 5〉 OECD 회원국 이혼율 현황_한국 28
〈그림 6〉 한국 한부모가족의 거주 형태 29
〈그림 7〉 일본의 세대구성별 세대수 구성비율 추이 34
〈그림 8〉 일본의 이혼 건수 및 이혼율 추이 37
〈그림 9〉 OECD 회원국 이혼율 현황_일본 38
〈그림 10〉 한국의 셰어하우스 등 공동체주택 공급사례 41
〈그림 11〉 부천 소행주 실내 44
〈그림 12〉 부천 소행주 공용공간 44
〈그림 13〉 부천 소행주 외관 45
〈그림 14〉 부천 소행주 커뮤니티 행사 45
〈그림 15〉 WOOZOO 1호점 Entrepreneur 47
〈그림 16〉 WOOZOO 9호점 Movie 47
〈그림 17〉 WOOZOO 25호점 Exercise 47
〈그림 18〉 WOOZOO 29호점 Nordic 47
〈그림 19〉 방학동 393-16 시공 전 48
〈그림 20〉 방학동 393-16 시공 후 48
〈그림 21〉 일본 전국 셰어하우스 물건 수 추이 51
〈그림 22〉 동경 및 수도권 셰어하우스 추이 52
〈그림 23〉 일본 장래 추계 인구 57
〈그림 24〉 일본의 총 주택 수 및 빈집 추이 58
〈그림 25〉 일본의 향후 셰어하우스 운영 타겟층 59
〈그림 26〉 운영자 관점에서의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 65
〈그림 27〉 여건변화에 따른 정책 패러다임 전환 75
〈그림 28〉 한부모가족전용 셰어하우스 포지셔닝 82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로 경제활동이 늘어나면서 만혼, 비혼 및 이혼 등의 증가로 여성가구주와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주거 실태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해 한부모가족과 셰어하우스라는 주거형태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를 연구하기 위해 일본의 구체적인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공임대주택은 한부모가족의 증가라는 세대의 변화와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한부모가족을 위한 셰어하우스와 같은 주거형태의 보급으로 새로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인식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본의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의 운영사례를 참고하여 정부(지자체) 외에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셰어하우스를 도입 및 확대해 간다면 자립을 원하는 한부모가족은 새로운 주거형태로서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과 운영자의 임대수익에 대한 새로운 모델로서 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한국형 한부모가족 전용 셰어하우스의 탄생 및 보급이 점차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