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1. 서론 10
가.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0
나. 연구범위 및 방법 15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8
가.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의의 18
나.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원인 18
1) 자본시장 참여자의 비합리성 18
2) 거래 제약 요인 20
3) 기타 요인 21
다. 자본시장의 효율성과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관련성 22
라. 한국의 시장효율성 향상과 회계발생 이례현상 25
1) 시장효율성과 관련한 회계제도개선 25
2) 공정공시제도 시행 27
3) 재무분석가 현금흐름예측치 제공 28
3. 연구방법 30
가. 연구가설 30
1)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 30
2)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 감소 관련요인: 공정공시 32
3)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 감소 관련요인: 재무분석가 현금흐름예측치 33
나. 표본 선정 및 변수측정 35
1) 표본 선정 35
2) 주요변수의 측정 36
다. 연구설계 44
1)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존재 44
2)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 46
3)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 관련요인 48
4) 자본시장 참여자의 합리성 검증(Mishkin 검증) 51
4. 실증분석 58
가. 기술통계 58
1) 표본의 구성 및 기술통계량 58
2) 상관계수 61
나. 회계발생 이례현상 검증결과 63
1)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존재 63
2)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 65
3)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와 관련요인 검증결과 72
4) 자본시장 참여자의 합리성 검증(Mishkin 검증) 결과 77
다. 추가분석 86
1) 대체적 기간구분에 따른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 검증 86
2) 기간효과와 관련요인효과의 구분 90
3) 회계발생변수의 측정(percent accruals) 93
5. 결론 98
가. 분석결과 요약 98
나. 연구의 공헌 및 한계 101
참고문헌 102
Abstract 111
부록 116
첨부 1. 회계발생 세부항목의 측정 (Richardson et al. 2005) 116
첨부 2. KSIC-9 중분류 기준 산업구분 117
[그림 1] 회계발생을 이용한 연도별 헤지수익률 분포 68
[그림 2] 회계발생(percent accruals)을 이용한 연도별 헤지수익률 분포(이익표본 N=7,870) 95
[그림 3] 회계발생(percent accruals)을 이용한 연도별 헤지수익률 분포(손실표본 포함 N=9,614) 96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효율성 증진과 관련된 변화에 따라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가 감소하는가를 연구하였다.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원인으로 Sloan(1996)은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이익에 고착화되어 발생항목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비효율성을 언급하였다. Hirshleifer et al.(2011)은 투자자들이 제한된 주의력으로 인해 이익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성을 간과하여 시장이례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따라서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비합리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시장시스템의 개선은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Richardson et al.(2010)과 Green et al.(2011)은 미국 시장의 전반적인 효율성 증진과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를 관련지어 설명하였다. 이 외에도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가 공시정보의 품질 및 이익구성요소에 대한 추가정보 공시와 관련되며, 재무분석가 현금흐름예측치 제공과도 관련된다고 보고되었다(Louis et al. 2008; Drake et al. 2009; Mohanram 2014). 따라서 그동안 효율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된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국내 자본시장은 외환위기 이후 회계정보 효율성과 관련한 외감법(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개정과 회계제도 선진화 방안 등 제도적인 개혁이 꾸준히 이루어졌다(박종찬 2005). 이러한 제도적 개선이 회계정보의 질적 양적 향상을 가져왔고 그 결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과 회계투명성이 증가하였다고 선행연구들은 보고하였다(박종성과 이은철 2003; 이세용 2009; 이세용과 노밝은 2011; 김영준 외 2015). 또한 최관과 최성호(2010)는 이러한 회계환경의 변화로 회계정보의 신뢰성과 자본시장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본시장 효율성의 증진이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 감소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4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표본기간에 대한 검증결과 회계발생 포트폴리오수익률이 유의한 양의 값을 보이고, 회계발생과 차기수익률이 유의한 음의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에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연도별 헤지수익률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고, 2004년 이후 기간의 헤지수익률이 이전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 또한 최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의 초과수익률이 0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아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OLS 검증결과도 회계발생항목과 차기수익률과의 음의 관계가 이전기간에 비해 이후기간에 유의하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나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참여자에게 제공되는 회계정보의 품질이 증가하고 이익구성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주어지는 경우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한다는 Miao et al.(2015)과 Radhakrishnan and Wu(2014)의 연구에 근거하여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감소와 관련된 요인으로 공정공시제도 시행과 재무분석가 현금흐름예측치 제공여부를 고려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공정공시제도를 시행한 집단에서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가 작게 나타났고, 재무분석가의 현금흐름예측치가 제공된 집단에서도 유의하지 않지만 회계발생 이례현상의 크기가 작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를 통한 회계정보의 제공과 이익구성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인 재무분석가의 현금흐름예측치 제공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이익구성요소를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제도개선으로 인한 시장효율성 증진이 회계발생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투자자의 비합리성을 개선시켜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실시한 Mishkin 검증결과 이전기간에는 시장이 회계발생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비합리성을 보였으나, 이후기간에는 회계발생의 지속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장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도개선 이후 시장구성원들의 합리성이 향상되어 회계발생 이례현상이 감소한 것으로 여겨진다. 공정공시를 시행한 집단에서 회계발생의 지속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무분석가가 현금흐름예측치를 제공하는 집단에 대해 시장이 회계발생의 지속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를 통한 회계정보의 제공과 재무분석가의 현금흐름예측치 제공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회계발생 정보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데 전반적으로 도움을 주었다는 해석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여겨진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