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파급효과 연구 : 포트폴리오 평가방법과 영어 학습동기 / 안소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D 420 -17-154
형태사항
viii, 15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4371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2017.8. 지도교수: 이상국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1. 서론 13

1.1. 연구 배경 13

1.2. 연구 목적과 필요성 15

1.3. 연구 질문 17

1.4. 연구 가설 18

2. 이론적 배경 19

2.1. 포트폴리오 평가방법 19

2.2. Dörnyei의 둘째말 동기적 자아 체계 24

2.3. 파급효과 30

2.3.1. 파급효과의 배경과 정의 30

2.3.2. 파급효과와 학습 그리고 학습자 32

3. 선행연구 35

3.1. 학습 포트폴리오 35

3.2. 학습 포트폴리오와 영어 학습동기 37

3.3. 학습 포트폴리오와 파급효과 43

4. 연구 방법 49

4.1. 연구 참여자 49

4.2. 연구 배경 52

4.3. 실험 과정 53

4.3.1. 예비 연구 1 54

4.3.2. 예비 연구 2 60

4.3.3. 본 연구 61

4.4. 연구 도구 64

4.4.1. 파급효과 설문지 64

4.4.2.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 69

4.5. 자료 수집 및 분석 75

4.6. 연구의 한계점 75

5. 연구 결과 77

5.1. 영어 학습동기의 차이와 변화 77

5.1.1. 그룹별 영어 학습동기의 차이 77

5.1.2. 실험반 영어 학습동기의 변화 79

5.2.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와의 상관관계 82

5.2.1. 그룹별 상관관계 차이 82

5.2.2. 실험반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와의 상관관계 88

5.3. 영어 학습동기 영향력 비교 92

5.3.1. 그룹별 영어 학습동기의 영향력 비교 93

5.3.2. 실험반 영어 학습동기의 영향력 101

5.4. 영어 평가방법의 파급효과 106

5.4.1. 그룹별 평가방법 인식 차이 106

5.4.2. 실험반 평가방법 인식 변화 112

6. 논의 118

6.1. 평가방법은 영어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는가? 118

6.2. 파급효과를 일으키는 평가방법은 영어 학습동기와 상관관계가 있는가? 120

6.3. 학습결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치는 영어 학습동기는 무엇인가? 122

6.4. 영어 평가방법의 파급효과는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어떻게 나타나는가? 124

7. 결론 및 제언 129

참고문헌 134

부록 146

〈부록 1〉 파급효과 설문지(사전) 147

〈부록 2〉 파급효과 설문지(사후) 151

〈부록 3〉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 153

〈부록 4〉 학습 포트폴리오 예시 156

ABSTRACT 164

〈표 1〉 연구 참여자 성별 구분 50

〈표 2〉 수능 시험 등급 분류 50

〈표 3〉 토익 시험 점수 분류 51

〈표 4〉 영어 시험의 영향 51

〈표 5〉 교양영어 1,2 수업 커리큘럼 52

〈표 6〉 교양영어 1, 2 평가방법 53

〈표 7〉 연구 단계 및 상세내용 54

〈표 8〉 포트폴리오 평가기준과 점수의 상관관계(2014년 2학기) 56

〈표 9〉 포트폴리오 평가기준과 점수 사이의 회귀분석 모형 (2014년 2학기) 57

〈표 10〉 포트폴리오 평가기준 및 실시 방법(2015년 2학기) 59

〈표 11〉 독해 능력 동질성 검사 62

〈표 12〉 주차별 수업내용 및 평가일정 63

〈표 13〉 파급효과 설문지 구분 65

〈표 14〉 '파급효과 사전 설문지' 문항 세부 내용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 67

〈표 15〉 '파급효과 사후 설문지' 문항 세부 내용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 68

〈표 16〉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 요인 분석 결과 72

〈표 17〉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 구인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 73

〈표 18〉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 문항 내용 74

〈표 19〉 영어 학습동기 사후 설문지 기술 통계량 78

〈표 20〉 영어 학습동기 사후 설문지 집단별 통계량 79

〈표 21〉 실험반 영어 학습동기 대웅 T검정 80

〈표 22〉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세부 문항별 대응 T검정 81

〈표 23〉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기말고사) 피어슨 상관관계(실험반) 84

〈표 24〉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기말고사) 피어슨 상관관계(통제반) 86

〈표 25〉 그룹별 피어슨 상관관계 비교 87

〈표 26〉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포트폴리오) 피어슨 상관관계(실험반) 89

〈표 27〉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 피어슨 상관관계 비교(실험반) 91

〈표 28〉 학습 결과(기말고사) 독립 T 검정 92

〈표 29〉 독립 및 종속변수의 기술통계량 94

〈표 30〉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기말고사) 피어슨 상관관계(실험반) 95

〈표 31〉 실험반 다중 회귀분석 결과 96

〈표 32〉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기말고사) 피어슨 상관관계(통제반) 98

〈표 33〉 통제반 다중 회귀분석 결과 99

〈표 34〉 다중 회귀분석 결과 그룹별 비교 101

〈표 35〉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포트폴리오) 피어슨 상관관계(실험반) 103

〈표 36〉 실험반 다중 회귀분석 결과 104

〈표 37〉 언어 구사력 평가에 대한 인식 독립 T검정 107

〈표 38〉 언어 지식 평가에 대한 인식 독립 T검정 108

〈표 39〉 학습목표 인식 독립 T검정 109

〈표 40〉 그룹별 학습목표 인식 빈도표 109

〈표 41〉 학습활동 인식 독립 T검정 110

〈표 42〉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독립 T검정 112

〈표 43〉 언어 구사력 평가에 대한 학습자 인식 대응 T검정 113

〈표 44〉 언어 지식 평가에 대한 인식 대응 T검정 114

〈표 45〉 학습활동 인식 대응 T검정 115

〈표 46〉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대응 T검정 116

〈그림 1〉 실험반/ 통제반 분류 61

〈그림 2〉 다중 회귀진단(실험반) 96

〈그림 3〉 다중 회귀진단(통제반) 99

〈그림 4〉 그룹별 회귀방정식 그래프(실험반, 통제반) 101

〈그림 5〉 다중 회귀진단 105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방법과 영어 학습동기의 관계와 영향성을 파악하고, 파급효과가 학습 및 학습자에게 끼치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과정 중심의 평가방법인 포트폴리오 학습을 실험 연구하였고, Dörnyei의 '둘째말 동기적 자아 체계'를 이용하여 파급효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강력한 도구적 동기에 의한 학습을 수행하고 있었다. 실험반은 포트폴리오 학습을 경험한 후 영어 학습동기 구인들 중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항목의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지필평가 형식의 시험과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은 공통적으로 '도구적 동기'와 '이상적 둘째말 자아' 변수들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지필고사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도구적 동기들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은 도구적 동기와 함께 '이상적 둘째말 자아'와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변수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평가방법에 따른 동기발현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지필고사 평가방법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치는 변수는 실험반에서는 '이상적 둘째말 자아'와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통제반에서 '발전지향성 도구적 동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은 도구적 동기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장기적으로 긍정적 자아를 형성케 하는 '이상적 둘째말 자아'라는 새로운 영어 학습동기를 생성시키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외부적으로 수행해야만 하는 압력 때문에 포트폴리오 학습을 수행하는 '필연적 둘째말 자아'와 '예방 지향적 도구적 동기'가 강했었던 몇몇 학습자들이 '이상적 둘째말 자아'와 '발전 지향성 도구적 동기'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기변환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평가방법의 차이를 통한 파급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의 영역(언어 구사력, 언어 지식, 학습활동)과 학습자들의 인식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평가방법의 차이는 어휘나 문법적 언어 지식에는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는 평가방법의 변화가 있다고 할지라도 언어 학습의 지식을 측정하는 데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언어 구사력(읽기, 쓰기, 듣기)과 학습 활동에는 평가방법에 따른 차이와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방법이 학습자들의 인식에 끼치는 영향력은 독립적으로 혹은 양립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학습자들은 문법 번역식 방법에 대한 강한 비판과 함께, 다양한 평가방법을 수업시간에 사용하고, 발산적 학습을 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강력하게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평가방법이 쓰기와 발산적 학습을 이끌도록 만들며 다양한 학습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방법이라고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고부담 시험의 표준화 시험을 더 선호하는 쪽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파급효과는 학습자들에게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파급효과는 학습과 학습자 모두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은 '이상적 둘째말 자아'의 영어 학습동기를 생성시키는 장의 역할을 했고, 이러한 평가방법은 언어 구사력과 학습활동에 변화를 가져왔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