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I. 서론 15

1. 연구목적 15

2. 연구방법 20

II.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경향과 공공성 25

1. 곤잘레스-토레스의 생애와 작품경향 25

2. 그룹 머터리얼과 공공성 개념 34

III. 빌보드 작업의 공공성 전략과 의미 40

1. 빌보드와 장소성 41

2. 기억의 재구성 51

3. 공적인(public) 것과 사적인(private) 것의 탈경계 60

IV. 권위에 대한 도전과 제도비판 68

1. 진품 확인서와 작가 권위주의 파괴 68

2. 미술관 제도공간의 탈피 79

V. 결론 89

참고문헌 93

참고도판 103

ABSTRACT 120

도판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88. 103

도판2. 로버트 메이플 소프, 완벽한 순간》전시전경, 1984. 103

도판2-1. 로버트 메이플 소프, 〈허니〉, 1976. 103

도판2-2. 로버트 메이플 소프, 〈제스 맥 브라이드〉, 1976. 103

도판3.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좌)〈무제(재향군인의 날)〉, 1989. (우)〈무제(전몰장병 기념일)〉, 1989. 104

도판4. 도널드 저드, 〈무제〉, 1971. 104

도판5.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공공의견)〉, 1991. 104

도판6. 칼 안드레, 〈100개의 구리 사각형〉, 1968. 104

도판7. 그룹 머터리얼, 〈삽입광고〉, 1988. 105

도판8. 그룹 머터리얼, 〈민주주의: 에이즈와 민주주의〉, 1989. 105

도판9. 그룹머터리얼, 〈타임라인(Timelines)〉, 1989. 105

도판10. 그룹 머터리얼, 〈상금〉, 1991. 106

도판10-1. 다이너스티 드라마의 신문광고 이미지, 1981. 106

도판11. 그룹 머터리얼, 〈대자보〉, 1982. 106

도판11-1. 그룹 머터리얼, 〈대자보〉 상세이미지, 1982. 106

도판12. 그룹 머터리얼, 〈여기 당신의 메시지〉, 1990. 107

도판12-1. 그룹 머터리얼, 〈여기 당신의 메시지〉, 1990, 설치지도 이미지. 107

도판13.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89. 108

도판13-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89, 텍스트 상세이미지. 108

도판14.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헬스케어)〉, 1990. 108

도판15.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시간의 문제)〉, 1992. 109

도판15-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시간의 문제)〉, 1992. 109

도판16.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오스트리안 항공의 초상화〉, 1993. 109

도판16-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오스트리안 항공의 초상화〉, 1993,... 109

도판17.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1. 110

도판18.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새로운 계획)〉, 1991. 110

도판19. 〈무제(제프를 위하여)〉, 1992. 111

도판20.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2. 111

도판20-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2, 사진 상세이미지. 111

도판2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2. 112

도판22.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이상한 새)〉, 1993. 112

도판23.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4. 112

도판24.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5. 112

도판25.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5. 113

도판26.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5. 113

도판27.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무제〉, 1995. 113

도판28. 프레드릭 워커, 〈눈 속의 여인〉, 1987. 114

도판29. 제임스 몽고메리, 〈엉클 샘〉, 1917. 114

도판30. 액트업 〈침묵=죽음〉, 1987. 114

도판31. 그랜퓨리, 〈정부의 손에 피를 묻히다〉, 1988. 114

도판32. 바바라 크루거, 〈무제〉, 1987. 115

도판33. 조셉 코수스, 〈텍스트/컨텍스트〉, 1979. 115

도판33-1. 〈텍스트/컨텍스트〉, 1979, 텍스트 상세이미지. 115

도판34. 《프로젝트 34: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빌보드 설치전시 전경, 1992. 116

도판34-1. 《프로젝트 34: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전시위치 상세이미지. 116

도판35. 스트렌지 카고, 〈다른 사람의 사진〉, 2008. 117

도판36. 《확실한: 예술의 진품증명서》전시전경, 2011. 117

도판37. 《확실한: 예술의 진품증명서》의 뒤샹 진품증명서. 117

도판38. 《확실한: 예술의 진품증명서》의 솔르윗 진품증명서. 118

도판39. 《확실한: 예술의 진품증명서》의 피에르 만조니 진품증명서. 118

도판40. 진품확인서와 소유권에 적힌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사인 이미지. 118

도판41.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셰리던 빌보드 설치설명서 이미지. 119

도판42. 빌보드 블리드방법. 설명이미지. 119

도판43. 세스 시글럽, 〈예술가의 작품매각 및 소유전환 권리문서〉, 1971. 119

도판44.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TRAVEL#1》전시전경, 1993. 119

초록보기

 본 논문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미국에서 활동한 설치미술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빌보드'설치작업에 대한 연구이다. 곤잘레스-토레스는 쿠바에서 태어나 푸에르토리코를 거쳐 뉴욕으로 이주한 유색인종, 동성애자, 에이즈환자로서 사회 속에서 억압 받았던 차별과 자유를 작품 속에서 실현하고자 했다. 곤잘레스-토레스는 예술 속에서 진정한 공공성 개념에 대해 의문을 갖고 다양한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작업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는 미술관 안에서 사탕과 종이를 쌓아 올린 작업을 통해 대중들이 직접 가져가고, 만지고, 맛을 보는 행위를 도입시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빌보드를 통해 미술관 밖으로 장소를 확장하여 보다 넓은 범주의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작업을 하였다.

곤잘레스-토레스가 사용했던 빌보드는 일상 속에서 접근 하기 쉽고, 가시성이 뛰어나 최대한 많은 대중들과 상호소통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커뮤니케이션 매체였다. 또한 빌보드는 필연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공적인 성격이 나타나는 장소성이 두드러진다. 그는 이러한 빌보드를 통해 에이즈의 문제를 선정적 공포감으로 재현하기 보다 그것이 광고인지 예술인지 뚜렷한 정보를 보여주지 않는 텍스트와 사진을 기입하였다. 그는 관람자에게 최대한 다양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하였으며 대중들의 참여를 강화하였다.

곤잘레스-토레스의 다수 빌보드 작품은 불특정 장소에 설치 되지만 동성애 보호와 권익을 위한 항쟁을 기억하고자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성격도 고려했다. 사건의 나열은 선형적인 역사 서술의 관습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해석할 수 있는 다양성을 열어두었다. 또한 시간이 흐르면서 장소가 갖는 의미는 변화하기 때문에 빌보드는 한정 기간만 설치되었다 사라지는 일시적인 특징을 취하면서 대중의 개개인의 기억 또한 재구성되는 자율적인 소통의 방식을 의도하였다. 그리고 그는 공공영역에 사적인 기억을 담아 경계를 흐리고자 했으며, 이는 현실에 존재하는 유토피아의 공간, 즉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라는 미학적 공간으로 해석되어 나타났다. 이는 곤잘레스-토레스가 차별에서 벗어나 자유와 희망이 존재하는 미학적 공간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곤잘레스-토레스는 자유를 억압하는 제도적인 규칙에서 벗어나고자 '진품 확인서와 소유권(Certificates of Authenticity and Ownership)'을 만들었다. 그는 이 증명서를 통해 소유자에게 작품의 설치와 방법을 작가의 동의 없이 선택할 수 있도록 권한를 부여했다. 그는 소유자들의 의견을 수용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이 시대 맞게 변화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작품의 고정적인 의미를 해지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미술관의 장소를 탈피하여 광의의 대중을 정의하며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곤잘레스-토레스가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것은 작품과 대중이 최대한 규제와 억압을 받지 않는 자유로움 속에서 민주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개념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곤잘레스-토레스는 빌보드 작업을 통하여 예술의 공공성의 개념을 실현하고 있는 작가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