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13

1. 아버지의 양육행동 13

2.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19

III.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1) 유아교사 배경변인별 대상자 수 24

2. 연구도구 26

1) 아버지의 양육행동 26

2) 사회적 유능성 27

3. 연구절차 28

1) 예비조사 28

2) 본 조사 29

3) 자료분석 29

IV. 연구결과 31

1. 배경변인별 아버지 양육행동 31

1) 아버지 양육행동 일반적 경향 31

2) 배경변인별 아버지 양육행동 차이 32

2)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일반적 경향 37

3) 부모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41

4) 부모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41

2.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42

3. 아버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45

V. 논의 및 제언 47

1. 논의 47

2. 제언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6

부록 59

표목차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특징 25

〈표 2〉 아버지의 양육행동 신뢰도 27

〈표 3〉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신뢰도 28

〈표 4〉 아버지 양육행동 일반적 경향 31

〈표 5〉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 양육행동 차이 32

〈표 6〉 유아 출생순위에 따른 아버지 양육행동의 차이 34

〈표 7〉 부모 연령에 따른 아버지 양육행동 차이 35

〈표 8〉 부모 학력에 따른 아버지 양육행동의 차이 36

〈표 9〉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일반적 경향 37

〈표 10〉 유아 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38

〈표 11〉 유아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40

〈표 12〉 부모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41

〈표 13〉 부모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차이 42

〈표 14〉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44

〈표 15〉 아버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46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홍천군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10곳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남아106명, 여아 94명)과 아버지 200명 담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Crase, Clark와 Pease(1978)의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 Mother form (IPBI:Mother form)을 번안·수정한 손승희(2002)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LaFreniere와 Dumas(1996)의 '사회적 유능성과 행동평정(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SCBE)'의 간편형을 번역한 권연희(200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버지의 양육 행동과 유능성의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나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평균 3.76으로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성별, 유아출생순위, 아버지연령, 부모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평균 3,89로 대체적으로 높은 평균이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유아성별, 유아출생순위, 부모학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하위요인인 긍정-친사회적 행동, 불안-위축된 행동, 불안-위축된 행동, 사회적 유능성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아버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표집대상을 다양하게 선정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질문지의 이상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아동이 평가하는 아버지의 양육행동, 가정방문을 통한 관찰 등 의 방법을 사용하여 객관성을 높힐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교사의 평가를 통해 산출되었으므로 담임교사의 주관성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또래유아가 평정하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관찰, 부모의 평가 등을 함께 사용한다면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변인만을 살펴보았는데 최근 한 부모 가정,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한 조부모의 양육참여 등 다양한 가족형태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이해하고 정서적 측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사회적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을 위해 유아의 개별적 지원을 위한 부모 상담과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