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방법 및 연구의 제한점 18

1) 연구방법 18

2) 연구의 제한점 20

II. 이론적 배경 21

1. 작곡가 윤이상 21

1) 윤이상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1

2) 윤이상 음악의 특징 27

2.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 37

1) 주요음 기법의 형식적 특징 37

2) 주요음 기법의 내용적 특징 46

III. 주요음 기법의 적용 방법 52

1. 무용창작과 음악 53

1) 무용과 음악, 그리고 인간 53

2) 무용과 음악의 연관성 57

2. 악보 분석의 활용 60

1) 악보 분석과 무용 60

2) 음악요소와 안무 62

3. 연주 주법의 활용 65

1) 연주 주법과 무용 65

2) 연주 주법과 안무 68

4. 선택적 적용 방법 72

1) 주요음 기법의 선택적 적용 72

2) 미학적 특성의 선택적 적용 74

IV. 윤이상의 음악기법을 이용한 무용창작 「농현」 77

1. 작품개요 및 안무의도 77

1) 작품개요 77

2) 안무의도 78

2. 〈농현〉의 구성 79

1) 〈농현〉의 내용구성 79

2) 〈농현〉의 음악 구성 89

3) 〈농현〉의 무대구성과 동선 97

3. 〈농현〉에 드러난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 100

1) 〈농현〉에 드러난 주요음 기법의 형식적 특징 100

2) 〈농현〉에 드러난 주요음 기법의 내용적 특징 104

4. 장면구성 및 분석 108

1) 1장 '장식음' 108

2) 2장 '공중으로 뛰어나온 음' 116

3) 3장 '비브라토' 131

4) 4장 '농현' 140

5) 5장 '제스처' 146

V. 결론 151

참고문헌 155

Abstract 160

표목차

표 1. 연구 방법 19

표 2. 기본 에포트에 어울리는 음악용어 69

표 3. 연주기법과 기본 에포트 요소 70

표 4. 〈농현〉의 작품개요 77

표 5. 각장의 동선과 조명 98

표 6. 1장 '장식음' 109

표 7. 2장 '공중으로 뛰어나온 음' 116

표 8. '반복 1'의 분석 120

표 9. '반복2'의 분석 124

표 10. '반복 3'의 분석 127

표 11. '이탈'의 분석 130

표 12. 3장 '비브라토' 132

표 13. 3장의 구성 136

표 14. 4장 '농현' 140

표 15. 4장의 기법 142

표 16. 5장 '제스처' 146

그림목차

그림 1. 윤이상이 그린 주요음의 원형 40

그림 2. 강서고분 벽화 〈사신도〉 서면의 백호 40

그림 3. 농현의 무대구성 97

그림 4. 주요음 원형의 표현 비교 101

그림 5. 1장의 장면 111

악보목차

악보 1. G#에서 머무는 첼로 솔로의 마지막 음 85

악보 2. 트럼펫의 A음 86

악보 3. A를 향해가는 G# 87

악보 4. 피치카토의 이용 90

악보 5. 주요음의 표현 90

악보 6. '외부세계'를 상징하는 음악 91

악보 7. 1장에 사용된 〈TogetherI〉 92

악보 8. 소리와 움직임의 대화 구성 음악 93

악보 9. 〈TogetherII〉의 사용 94

악보 10. 연주주법과 신체 움직임 95

악보 11. 〈Bow〉 96

악보 12. 두 가지 힘의 공존 112

악보 13. 연주주법과 신체 움직임 113

악보 14. 주요음 표현 115

악보 15. 피치카토의 이용 115

악보 16. '반복 1'의 분석 119

악보 17. '반복2'의 분석 123

악보 18. '반복 3'의 분석 126

악보 19. '이탈'의 분석 129

악보 20. 〈Bow〉 137

악보 21. 3장의 〈Glissées〉 138

악보 22. 4장 분석 144

악보 23. 4장 분석 145

악보 24-1. 제스처 간의 대화 149

악보 24-2. 제스처간의 대화 149

악보 25. A음까지의 상승과정 150

사진목차

사진 1. 활 제스처의 활용 114

사진 2. 집착을 의미하는 동작 122

사진 3. 하모닉스와 손의 움직임 122

사진 4. 대상에 대한 집착 123

사진 5. 의지하는 인간의 모습 125

사진 6. 활 제스처 128

사진 7. 상황에 휘둘리는 인간의 모습 139

사진 8. 활의 사용 145

사진 9. 제스처의 대화 148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살아있는 음 개념이 기반을 이루는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을 무용 창작 작품 〈농현〉에 적용하여, 작품을 구성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에 주요음 기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보다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작곡자 윤이상의 삶과 시대적 배경, 철학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윤이상 음악의 특징을 드러내는 주요음 기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윤이상의 음악은 생명력과 운동성을 내포하며, 구성과 시연에 있어서 제스처와 이미지의 개념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무용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음악기법인 주요음 기법을 무용창작에 대입하기 위하여 무용과 음악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 적용방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적용 방법으로는 첫째, 악보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둘째, 연주 주법을 활용하는 방법, 셋째 분석된 요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선택적 사용 방법은 무용과 음악 간의 상호적 관계를 의도하는 것으로, 단순한 적용에서 나아가 다양한 해석을 가져오기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주요음 기법이 적용된 작품 〈농현〉을 구성하고, 악보와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 기법을 무용 창작에 적용하는 것은 인간 본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신체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 무용과 음악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함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혀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은 무용 창작의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작곡자가 자신의 음악 색채를 드러내기 위해 고안해낸 음악기법은 무용창작에 적용되었을 때 안무의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음 하나하나가 생명력을 가지는 윤이상의 음악은 인간적이며, 신체적인 특성을 갖다. 이는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몸의 사용을 점차 잊어가는 현대인에게 예술과 인간의 신체가 갖는 연관성을 재인식시켜준다.

본 연구는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을 무용 창작 작품에 대입함으로써 무용과 음악, 신체에 대한 본질에 다가서고자 했다. 음악 기법을 무용 창작에 적용하는 것은 음악과 무용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표현의 다양성과 감각의 확장을 가져온다. 나아가 새로운 안무방법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