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집단에너지 사업에 대한 2개의 소논문 : 열수요함수 추정 및 지역난방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Two essays on the integrated energy business : estimation of the heat demand function and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s of district heating system investment / 이경실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D 333.79 -17-19
형태사항
vii, 100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4718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2017.8. 지도교수: 유승훈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10

2. 연구의 목적과 구성 10

II. 집단에너지 사업의 현황 및 전망 12

1. 개요 12

1) 집단에너지 12

2) 지역난방 12

2.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의 수립 15

1) 제1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1993년 9월) 16

2) 제2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2002년 11월) 18

3) 3차 에너지공급 기본계획(2009년 11월) 19

4) 제4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2014년 12월) 24

3. 지역난방사업자의 현황 및 전망 30

1) 지역난방의 도입 및 확대 30

2) 지역난방사업 운영현황 32

3) 지역난방 열요금제도 35

4. 한국지역난방공사의 현황 및 전망 38

1) 회사의 창립 38

2) 지역난방사업 개시 39

3) 수도권 신도시사업 40

4) 지역난방사업의 전국화 40

5) 중대형 CHP 사업 41

6) 한국지역난방공사의 경영현황 42

7)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지역냉난방 보급현황 45

5. 지역난방의 효과 46

1) 높은 에너지효율 46

2) 에너지소비절감 및 환경개선 효과 47

3) 분산형 전원 47

4) 신재생에너지 활용 48

III. 지역난방 기반 주택용 열에 대한 수요함수의 추정 49

1. 연구개요 49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51

3. 방법론 52

1) 수요함수의 추정모형 52

2) 자료 53

3) 분석모형 63

4. 분석결과 63

5. 소결 65

IV.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67

1. 연구개요 67

1) 연구배경 67

2) 지역난방의 개황 68

3) 개별난방의 개황 68

4) 연구목적 73

2. 연구방법론 73

1) 산업연관분석 73

2) 수요유도형 모형 76

3. 분석결과 및 시사점 79

1) 자료 79

2) 수요유도형 모형 분석결과 81

3) 선행연구와의 비교 90

4. 소결 92

V. 결론 94

참고문헌 96

Abstract 102

Table 2.1.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의 개요 16

Table 2.2. 제1차 공급 기본계획에 의한 지역난방 공급계획 및 실적 17

Table 2.3. 제2차 기본계획에 의한 지역난방 공급계획 19

Table 2.4. 제2차 공급 기본계획 기간중 산업단지 열·전력 판매량 19

Table 2.5. 지역난방 공급계획 20

Table 2.6. 지역난방 연도별 투자비 소요액 21

Table 2.7. 산업단지 연도별 공급계획 21

Table 2.8. 산업단지 연도별 투자비 소요액 21

Table 2.9. 제4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 기간중의 지역난방 공급계획 25

Table 2.10. 연도별 지역난방 투자비 소요액 25

Table 2.11. 산업단지 연도별 공급계획 25

Table 2.12. 산업단지 연도별 투자비 소요액 25

Table 2.13. 집단에너지 규제 관련 정책 추이 29

Table 2.14. 집단에너지 공급대상지역 지정(2014년 말기준) 31

Table 2.15. 공급세대 수 연평균 성장률 : 11% 32

Table 2.16. 지역난방 사업자 현황(2016년말 기준) 33

Table 2.17. 한국지역난방공사 연혁 39

Table 2.18.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생산 및 판매현황(2015~2016년) 43

Table 2.19. 한국지역난방공사 최근 3년의 손익계산서 44

Table 2.20.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사용자 현황 45

Table 2.21.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지역냉방 공급현황(2015년말 기준) 46

Table 3.1. 주택용 열원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한 국내선행연구 52

Table 3.2. 한국지역난방공사의 17개 사업장 54

Table 3.3.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지사 설비현황(2016년 기준) 55

Table 3.4. 본 연구에서 사용한 17개 사업장의 연간 열 판매량(2006~2016) 57

Table 3.5. 변수의 정의와 표본 통계량 56

Table 3.6. Random effect model과 fixed effect model의... 64

Table 4.1.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사례 74

Table 4.2. 재분류된 산업 부문표 80

Table 4.3.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 비교 83

Table 4.4.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임금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비교 86

Table 4.5.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90

Table 4.6.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연도별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91

Fig. 2.1. 지역난방 공급계통도 13

Fig. 2.2. 지역난방 공급현황 31

Fig. 2.3. 열요금 체계도 37

Fig. 2.4.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조직도 43

Fig. 2.5. 요금조정내역(2006~현재) 44

Fig. 2.6. 한국지역난방공사의 18지사(사업장) 분포 45

Fig. 2.7. 일반발전과 열병합발전(지역난방)의 효율비교 47

Fig. 2.8. 2014~2018년 에너지소비절감 및 환경개선 효과(안) 47

Fig. 3.1. 17개 사업장의 1분기 열 판매량(2006~2016) 58

Fig. 3.2. 17개 사업장의 2분기 열 판매량(2006~2016) 59

Fig. 3.3. 17개 사업장의 3분기 열 판매량(2006~2016) 60

Fig. 3.4. 17개 사업장의 4분기 열 판매량(2006~2016) 61

Fig. 3.5. 분석에 사용된 수요량과 가격(2006-2013) 62

Fig. 4.1. (a) 지역난방 및 (b) 개별난방 투자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84

Fig. 4.2. (a) 지역난방 및 (b) 개별난방 투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비교 85

Fig. 4.3. (a) 지역난방 및 (b) 개별난방 투자의 임금유발효과 비교 87

Fig. 4.4. (a) 지역난방 및 (b) 개별난방 투자의 취업유발효과 비교 88

Fig. 4.5.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부문별 경제적 파급효과(2014년 기준) 89

Fig. 4.6.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부문별 경제적 파급효과(2011년 기준) 90

초록보기 더보기

 집단에너지 사업은 열병합발전소, 첨두부하 보일러, 자원회수시설 등에서 생산되는 에너지(열 또는 전기)를 주거, 상업, 산업단지 내의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크게 지역냉난방사업과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으로 구분된다. 특히 지역난방사업이란 집중된 열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열을 지하에 매설된 열수송관을 통해 밀집된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내의 다수 사용자에게 대규모로 공급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에너지 사업 중 특히 지역난방사업에 집중하여 주택용 열 수요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하고 지역난방 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다양한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 소논문에서는 지역난방 기반 주택용 열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한다. 주택용 열은 주택에서의 난방 및 온수 사용을 위해 활용되는 필수재 성격의 재화이다. 특히 국가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개별난방에 비해 훨씬 더 효율적이기에 대규모 택지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난방의 보급이 확대되어 왔다. 지역난방 기반 주택용 열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주택용 지역냉난방 부문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지역방공사 2006년부터 2013년 동안의 지사별·분기별 주택용 열 실적 자료를 이용한다. 따라서 분석대상 자료의 성격은 패널자료가 된다. 주택용 열수요함수를 추정하면 수용가의 열 수요행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서 열 요금과 같은 주요 정책변수의 효과를 사전적으로 진단하고 수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패널분석을 위하여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 REM) 및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FEM)을 함께 적용하였는데, Hausman-정형검정 결과 'REM이 적절하다는 귀무가설이 유의수준 1%에서 기각되어 개별적 이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FEM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함을 알 수 있다. FEM을 추정한 결과, 수요의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은 각각 -0.89 및 0.32이며 모두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주택용 열 수요는 가격 변화 및 소득 변화에 대해 모두 비탄력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주택용 열 수요가 가격이나 소득의 변동에 대해 빠른 속도로 조정되기 어려움을 의미하며 주택용 열이 갖고 있는 필수재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두 번째 소논문에서는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대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난방 방식은 크게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으로 구분된다. 특히 신도시 건설, 재개발, 재건축시 불필요한 경쟁 및 비효율을 막기 위해 두 난방 방식 중 하나를 미리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특정 난방 방식의 선택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파악하는 데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소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4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투자가 여타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하고자 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임금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4가지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1원 투자 또는 생산의 생산유발효과는 각각 1.4972원 및 1.0110원으로 전자가 후자의 1.5배다. 둘째,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1원 투자 또는 생산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각각 0.5259원 및 0.1295원으로 전자가 후자의 4.1배다. 셋째,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1원 투자 또는 생산의 임금유발효과는 각각 0.1130원 및 0.0236원으로 전자가 후자의 4.8배다. 넷째,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10억원 투자 또는 생산의 취업유발효과는 각각 2.8381명과 0.4337명으로 전자가 후자의 6.5배다. 따라서 동일한 금액을 투자한다면 지역난방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개별난방의 경제적 파급효과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집단에너지는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공급되고 있는 정책 에너지이므로 지역난방 열에 대한 가격 및 보급 정책 등 산업적 관점에서의 정책 수립 및 시행은 집단에너지 사업의 확대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량적으로 다룬 열 수요의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 지역난방사업 투자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는 집단에너지 정책 수립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주택용 열 수요함수의 추정을 통해 주택용 열이 갖고 있는 필수재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임금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관점에서 지역난방에 대한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개별난방에 대한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보다 큼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다양한 분석결과는 에너지기본계획, 집단에너지공급기본계획 상위 국가계획의 수립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제학적 접근법에 근거한 본 논문의 주요 분석결과가 열 수요의 성격 및 지역난방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둘러싼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면서 정책 의사결정에서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