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 문제 13
3. 용어의 정의 14
II. 이론적 배경 17
1. 교사상의 개념 17
2. 교사상의 구성요소 19
가. 정체성 22
나. 교사의 역할 32
다. 교사의 권리 · 의무에 대한 관점 101
다. 교사에 대한 역량·열정 50
라. 교사의 권리·의무에 대한 관심 55
마. 선행연구 63
III. 연구방법 67
1. 연구자료로서 신문사설 67
2. 자료수집 69
3. 자료코딩 72
4. 분석방법 80
IV. 연구결과 86
1. 1990~2016년까지의 연도별 추이 86
2. 대통령 임기별 변화 추이 112
3. 교육정책 시점별 추이 126
V. 논의 및 결론 157
참고문헌 170
Abstract 177
부록 1. 제3자 검증자를 위한 상호평가 연습문제 180
부록 2. 동아일보·중앙일보·경향신문·한겨레신문 신문사설 일자별 사설제목 분류표 186
〈표 II-1〉 선행연구에 제시된 교사의 교사상에 관한 내용 19
〈표 II-2〉 교사의 정체성을 바라보는 관점 24
〈표 II-3〉 선행연구에 제시된 전문직관에 관한 내용 29
〈표 II-4〉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노동직관에 관한 내용 32
〈표 II-5〉 선행연구에 제시된 학습지도에 관한 내용 37
〈표 II-6〉 선행연구에 제시된 생활지도에 관한 내용 39
〈표 II-7〉 선행연구에 제시된 학급경영에 관한 내용 41
〈표 II-8〉 선행연구에 제시된 학교경영에 관한 내용 43
〈표 II-9〉 교육 분야에서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46
〈표 II-10〉 사회적 및 비판적 기능 49
〈표 II-11〉 교육 분야에서의 비판적 기능에 관한 연구 49
〈표 II-12〉 선행연구에 제시된 교사의 역량에 관한 내용 53
〈표 II-13〉 선행연구에 제시된 교사의 열정에 관한 내용 55
〈표 II-14〉 선행연구에 제시된 교사의 권리에 관한 내용 60
〈표 II-15〉 선행연구에 제시된 교사의 의무에 관한 내용 62
〈표 III-1〉 4개 신문사 분석 현황 70
〈표 III-2〉 4개 신문사별 수집 현황 71
〈표 III-3〉 자료코딩-성직관 73
〈표 III-4〉 자료코딩-전문직관 74
〈표 III-5〉 자료코딩-노동직관 74
〈표 III-6〉 자료코딩-학습지도 75
〈표 III-7〉 자료코딩-생활지도 75
〈표 III-8〉 자료코딩-학급경영 76
〈표 III-9〉 자료코딩-학교경영 76
〈표 III-10〉 자료코딩-사회적 기능 77
〈표 III-11〉 자료코딩-비판적 기능 77
〈표 III-12〉 자료코딩-교사의 권리 78
〈표 III-13〉 자료코딩-교사의 의무 78
〈표 III-14〉 자료코딩-교사의 역량 79
〈표 III-15〉 자료코딩-교사의 열정 79
〈표 III-16〉 상호평가-일치도 84
〈표 III-17〉 상호평가-일치도 85
〈표 IV-1〉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90
〈표 IV-2〉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91
〈표 IV-3〉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3년 단위 중첩 그래프 91
〈표 IV-4〉 교사의 역할에 대한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97
〈표 IV-5〉 교사의 역할에 대한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98
〈표 IV-6〉 교사의 역할에 대한 3년 단위 중첩 그래프 98
〈표 IV-7〉 변화주도 차원에 대한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99
〈표 IV-8〉 변화주도 차원에 대한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00
〈표 IV-9〉 변화주도 차원에 대한 3년 단위 중첩 그래프 100
〈표 IV-10〉 교사의 권리·의무에 대한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04
〈표 IV-11〉 교사의 권리·의무에 대한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05
〈표 IV-12〉 교사의 권리·의무에 대한 3년 단위 중첩 그래프 105
〈표 IV-13〉 교사에 대한 역량·열정에 대한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10
〈표 IV-14〉 교사에 대한 역량·열정에 대한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11
〈표 IV-15〉 교사에 대한 역량·열정에 대한 3년 단위 중첩 그래프 111
〈표 IV-16〉 '교사의 정체성' 대통령 임기별 변화추이 123
〈표 IV-17〉 '교사의 역할' 대통령 임기별 변화추이 123
〈표 IV-18〉 '변화주도 차원' 대통령 임기별 변화추이 124
〈표 IV-19〉 '교사의 권리·의무' 대통령 임기별 변화추이 124
〈표 IV-20〉 '교사의 역량·열정' 대통령 임기별 변화추이 125
〈표 IV-21〉 '교육정책별-정체성'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47
〈표 IV-22〉 '교육정책별-정체성'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48
〈표 IV-23〉 '교육정책별-정체성' 3년 중첩 추이 그래프 148
〈표 IV-24〉 '교육정책별-역할'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49
〈표 IV-25〉 '교육정책별-역할'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50
〈표 IV-26〉 '교육정책별-역할' 3년 중첩 추이 그래프 150
〈표 IV-27〉 '교육정책별-변화주도'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51
〈표 IV-28〉 '교육정책별-변화주도'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52
〈표 IV-29〉 '교육정책별-변화주도' 3년 중첩 추이 그래프 152
〈표 IV-30〉 '교육정책별-권리의무'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53
〈표 IV-31〉 '교육정책별-권리의무'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54
〈표 IV-32〉 '교육정책별-권리의무' 3년 중첩 추이 그래프 154
〈표 IV-33〉 '교육정책별-역량열정' 6개월 단위 추이 그래프 155
〈표 IV-34〉 '교육정책별-역량열정' 1년 단위 추이 그래프 156
〈표 IV-35〉 '교육정책별-역량열정' 3년 중첩 추이 그래프 156
[그림 II-1] 교사상의 차원 18
지난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공급자 중심에서 교육수요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개혁이 이뤄졌다. 특히, 교육개혁안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개혁이 중심이었었고, 우리 사회는 교사에게 더 많은 요구와 책임을 부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개혁이 교육현장에서 수긍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정치논리나 경제적 논리로 흘러감으로써 교사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이나 역할에 혼란스러워 했고, 불만과 고충이 점차 늘어만 갔다. 교육수요자들 역시도 교사상에 대해 혼란을 겪게 됐고, 정책가들 또한 제대로 된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한 채 정책을 집행하게 됐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우리 사회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추이가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우리 사회가 기대하는 교사의 정체성이나 교사의 역할 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199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보수 및 진보 성향의 4개 신문사 사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해 지난 25년 여 간의 연도별, 대통령 임기별, 교육정책별로 교사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렇게 수집된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도별 흐름 속에서 교사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우나 위상 등의 전통적인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과거에서 현재로 가까워질수록 약화되고 있는 반면, 우리 사회가 바라보는 교사에 태도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강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현재로 가까워질수록 실제적이면서 동시에 이상적인 모습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우리 사회는 역대 대통령들의 집권 시기에 따라 보수 및 진보 성향의 정부로 나누고 있는데, 교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사회적 관점에 있어 정권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 사회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의 중심에는 교육 정책에 의한 영향이 컸다. 정부의 교육 정책은 교육 수요자들이 보다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목표를 갖고 시행되지만, 막상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와 교육 수요자 간의 생각이 정부의 입법 취지와는 다른 복잡한 상황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는 전문직인 교사의 권리나 자율권을 존중해 주고 있다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지금까지는 정책주도 교사상의 변화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셋째, 그 동안의 교사상 및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규범적인 논의에 국한 돼 있었을 뿐 실제적인 부분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 분석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갖고 있다. 첫째, 4개 신문사의 사설에 대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 양적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더 자세한 심층 분석을 진행하지 못했다. 이에 연구 결과가 자칫 왜곡되거나 한쪽 방향으로 해석될 여지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둘째, 1990년부터의 객관성이 보장되는 명확한 신문 사설 자료에 대한 검색은 이뤄졌지만, 그 이전의 1980년대 자료에 대해서는 객관적 사설 자료 수집이 불가능함에 따라 검색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우리 사회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분석을 하는데 제한적이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4개 신문사만을 선정했는데, 보다 더 자세한 추이 분석을 위해 추가로 연구 대상 신문사를 확장 채택해 사설 수를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